• 제목/요약/키워드: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649건 처리시간 0.026초

Traditional Korean Medicine Usage and Percep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disabilities

  • Han, Ji-Eun;Kim, Jihye;Kim, Kyeong Han;Lee, Ji-Yeon;Sung, Soo-Hyu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4-36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i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general population of Korea. Methods: Here, 5,000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a disability rating using the data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for the Usage of Korean Medic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KM usage status, recognition of TKM usage, and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KM treatment were analyzed based on the disease. The response reliability was verifi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alysis method. Results: Disabilities corresponded with low rates of high school or higher education (44%, 83.5%) and no jobs (56.9%, 33.5%), mostly the status of the low-income class with a monthly household income of < 1,500 USD (50.9%, 10.5%), poor health conditions (55.2%, 9.8%), high chronic disease prevalence rate (69.0%, 19.9%), high medical care rate (11.2%, 0.5%), and low commercial health insurance subscription rate (44%, 74.2%). Furthermore, people with disabilities visited TKM institutions more often (88.8%, 74.1%) with a high frequency TKM usage rate of ≥ 1-2 times a month (26.2%, 15.3%). They also reported that the cost of using the TKM was very high (14.7%, 8.8%) and that primarily the application of insurance benefits should be improved (52.6%, 47.5%). The treatment effectiveness for diseases was high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both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general population. Conclusion: Preferential application of insurance benefits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must be extended to the TKM treatment as well, as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a high recognition for these conditions with TKM. It is difficult to perform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people with disability. Therefore, large-scale observational and cohor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e hope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a suitable TKM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기룡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33-341
    • /
    • 2020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 중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종속변수로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6개 변인을 독립변수로 각각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의 성, 연령, 장애정도, 가족지지, 생활만족도, 수단적일상생활수행능력이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탐색되었다. 따라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관, 관련 인력 및 프로그램 확대와 같은 인프라 구축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이 평생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될 필요가 있다.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 직업능력 및 취업욕구관련 분석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Centering on Economic Status and Occupational Ability Variables)

  • 이현경;박효은;최만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65-277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08년부터 2010년 까지 장애인 고용패널조사에 3년간 참여한 정신적 장애인 298명(가중빈도적용:154,3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교육 참여희망은 남성일 때, 중졸 이상일 때, 자격증을 보유했을 때, 그리고 장애유형중 지적장애일 때 직업교육 참여희망이 높았다. 한편, 취업의사 관련요인은 남성일 때, 가구주일 때, 중등교육 이상 이수하였을 때,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을 때, 육체활동 능력이 높아질 때, 그리고 장애유형 중 자폐장애일 때 취업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정신적 장애인의 의사를 반영한 직업재활 서비스제공 및 사업주 주도적 직업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장애인의 이차장애 발생경험 및 대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erience and Response of Secondary Disabilities)

  • 전지혜;남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51-159
    • /
    • 2020
  • 장애인구의 고령화나 일차장애의 특성 및 사회환경적인 장애억압과 스트레스로 인해 장애인의 이차적 건강상태는 더욱 취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이차장애 경험이 어떠하며, 이차장애 발생시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13인의 이차장애를 가지고 있는 중증장애인을 초점집단면접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들은 노화와 일차장애의 경험의 변주, 일차장애 관리문제와 생활사고, 장애와 건강에 대한 노동시장의 몰이해, 이차장애 위험에 대한 이해 및 예방부족 속에서 이차장애 발생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장애인은 몸과 일, 몸과 학업사이에서 양자택일을 하거나, 개인차원에서 이차장애 악화를 예방하고자 애쓰거나, 병원 출입을 계속해나가거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삶을 선택하는 등 삶의 조율을 끊임없이 해나가고 있었다. 이차장애를 경험하면서 장애인들은 생의 위협을 경험하고, 삶을 끝까지 견디고 싸워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기도 하였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다름을 인정하고, 이차장애를 겪어내야 하는 삶에 초연해지기도 하였으며, 사회제도적 지원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적 차원의 방안, 노동시장에서의 제도적 지원 방안, 사회복지 실천상의 지원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loyment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Social Activities)

  • 정재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11-7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발달장애인의 사회통합 활동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391명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취업 여부와, 사회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교차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취업은 사회활동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79.7% 미취업 상태는 39.3%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신중하게 검증한 발달장애인의 취업은 사회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5.2배 증가하였다. 연구결과로 볼 때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의 적극적인 취업지원과 취업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원고용과 장애인 표준사업장 확대, 직무지도원 제도 도입과 관련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제언하였다.

중년기 뇌졸중 장애인의 삶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s of Middle-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after a Stroke)

  • 김미옥;최정민;강승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33-58
    • /
    • 2013
  • 이 연구는 중년기 뇌졸중 발병 후, 장애인으로 사는 삶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활용하여, 내부자 관점으로 그들의 삶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본질적 주제는 '반동강 난 삶', '단절과 고립', '거듭나는 삶', '재발의 두려움에 짓눌림', '가족의 울타리로 버텨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년기 뇌졸중 발병의 경험은 '가족을 지켜내야하는 삶에 드리워진 재발의 그림자'로 맥락화 하였다. 이 연구는 중년기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본질과 그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실천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있다.

  • PDF

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for the Economic Activ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정서;김현덕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235-242
    • /
    • 2013
  • 장애인에게 있어 취업은 개인적으로는 인권,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을 신장시키고 비장애인과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차이 감소,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 통계자료 검토 결과 장애인의 비중 증가 및 경제활동 참여 장애인 감소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장애인들의 취업활동 참여가 저조한 원인을 찾아내어 정책적 대안을 구할 필요가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를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수도권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은 기초생활 수급자일 때, 연령이 많을 때, 남성장애인보다는 여성장애인인 경우에는 경제활동 참여를 감소시키고, 직업훈련을 받는 경우와 기술 자격증이 있는 경우에는 경제활동 참여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취업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초생활 수급여부로 보는 빈곤정도,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요인은 물론, 인적자본 특성 및 직업훈련서비스 특성요인(자격증 취득, 직업훈련 경험)에 대한 심층적 분석에 기반한 차별화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 PDF

성곽문화재 보존환경을 고려한 장애인 편의시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영국 성곽문화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ility Desig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Considers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of Castle Heritage - Focused on the Castle Heritage in England -)

  • 이건하;이웅구;김영은
    • KIEAE Journal
    • /
    • 제12권5호
    • /
    • pp.63-70
    • /
    • 2012
  •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of providing facility for the utilization of castle heritage, as well as to establish the method for securing access and determine installation criteria in consideration of preservation environment,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cases of having secured acces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ngland for the advanced utilization of castle heritage.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lanning factors of the 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ngland for the utilization of castle heritage were deduced as follows: 1) The plan for facility was focused on the disabled using wheelchairs and visually impaired persons, rather than on services for hearing-impaired persons and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y. 2) As for audience movement line plan, regular route was used for audience movement line to lead them in a single direction. 3) As for the provision of prior access information, 3 stepwise access grades were established for the facility information plan of heritage. 4) As for information service by disability type, models were provided; and complementary explanation was provided by using text, drawing, picture, video and voice. 5) Rest spaces were secured where audience could look out upon castle heritage. For the utilization of castle herit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lanning factors of the facility desig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장애인과 비장애인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derly living alone)

  • 김예순;남영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9-8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of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derly living alone Methods: The study examines the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using over 65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ata. Subjects were 2,265 person among elderly living alone over 65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6.0 program. Results: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disabilities were 13.6% and 9.0%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disabilities had higher suicidal ideation (p<.05).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living alone with disabilities were employment and depress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living alone without disabilities were age, gender, number of chronic disease, economic state, SLCA(Society, leisure, culture, and activities) and depression. Depression was analyzed as a common factor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disabled and non-disabled elderly living alon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programs and community support systems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for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derly living alone.

농촌거주 시각장애인의 주택개조사례 과정을 통해 본 맞춤형 개조 방향도출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Through the Process for a case of Visually Impaired Person in Rural Area)

  • 이연숙;안소미;김민주;현지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55-67
    • /
    • 2018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on and expansion of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them,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show high adaptation to environments in comparison to people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thus a large percentage of them live in their own houses rather than residing in a c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housing statu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ratio of their residence in rural areas is high. In rural areas people who have disabilities often live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s, requiring much improvement. However, such improvement is too costly for them to pay, and home modification that does not fully consider the user, may cause less efficiency and another dangerous situat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empirical lessons for direction of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analysis of process of home modification including the execution as a intervention. This study used qualitative method to examine and analyzed the entir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proc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ome modification measures should be derived considering the suitability of the target building for the specific condition of residents. Second, discussions with various stakeholders from the early stage during which proper home modification measure is searched are essential for realizing appropriat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directio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empirical data that could reduce trials and error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