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gizzard weight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Brewery Waste Replacement of Concentrate on the Performance of Local and Crossbred Growing Muscovy Ducks

  • Dong, Nguyen Thi Kim;Ogle, R.Br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510-1517
    • /
    • 2003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brewery waste (BW) replacement of concentrate (C) in growing duck diets. In Exp. 1, which was carried out on-station, 300 ducklings were allocated in a $2{\times}5$ factorial experiment: Two breeds (local Muscovy and crosses of French and local Muscovy)${\times}5$ levels of C and with BW offered ad libitum. Concentrate only ad libitum as the control diet (C100), and levels of 75% (C75), 50% (C50), 25% (C25) and 0% (C0) of the amount of the control diet consumed, and with BW ad libitum. In Exp. 2, 200 ducklings were allocated in a $2{\times}2$ factorial experiment on five smallholdings: two breeds (local and crossbred Muscovy ducks)${\times}2$ diets (the C100 and C50 diets from Exp.1). In Exp.1 total dry matter (DM), BW, crude fiber (CF) and crude protein (CP) intakes were highest on the C0 diet and ME and lysine intakes lowest (p<0.001). Daily live weight gains were higher for the crossbred ducks than for the local Muscovies (p<0.05) and were highest for treatments C100 and C50, and lowest for treatment C0 (p<0.05). Weights of breast muscle, liver and abdominal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rossbred ducks. Breast and thigh muscle and abdominal fat weigh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100, C75 and C50 diets, while gizzard weights were highest for the C25 and C0 treatments. Net profits were higher for the crosses, and for treatments C50 and C25. In Exp. 2 total DM, CF and CP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50 diet, and ME intakes lower (p<0.001). Daily gains of the cros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ocal Muscovy ducks, and were similar for the C100 and C50 diets. The highest net profits were from the crosses and ducks fed the C50 diet. It was concluded that BW can replace 50% of the concentrate in growing Muscovy duck diets without reducing daily live weight gains and with improved economic benefits.

Utilization of Processed Pine Needle Powder in Broiler Chicken Diets

  • Kim, Eunjoo;Jung, Ji Young;Cho, Hyun Min;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Maceline, Shemil Pyrian;Shin, Taeg Kyun;Kim, Beomgyu;Heo, Jung Mi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67-174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processed pine needle tree powder (PPNP) on growth performance, visceral organ parameters, ileal digestibility, blood metabolites and ileal morphology of broiler chickens for 5-week after hatch. In total, 220 1-day-old male Ross 308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to 30 pens (seven birds per pen), and each pen was assigned to one of five dietary treatments, a diet without PPNP (control) and diets with 0.5%, 1.0%, 1.5% and 2.0% PPNP. The body weight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weekly. One bird from each pen was selected randomly and gently euthanized to collect the blood, visceral organs and digesta samples on 2, 3 and 5 week of age. Birds fed 2.0% PPNP showed decreased (P<0.05) overall body weight, average daily gain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compared to those fed control, 0.5 and 1.0% PPNP. The small intestine length increased (P<0.05) as the level of PPNP in the diet increased. A deeper crypt depth was observed (P<0.05) when birds fed 2.0% PPNP compared to those fed the control diet at week 2. A higher V:C ratio was observed (P<0.05) in birds fed 1.0% PPNP than in those fed other treatments at week 3. Ileal protein digestibility improved (P<0.05) when birds fed 0.5% and 1.0% PPNP compared to that in those fed the control diet at week 3. The feed conversion ratio, ileal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blood urea nitrogen and cholesterol, and gizzard and ceca weights were not affected (P>0.05) by supplementation of any levels of PPNP.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clusion of PPNP in broiler diets could be a possible factor in improving overall growth performance suggesting early gut development when 1% PPNP is supplemented.

By-product of Tropical Vermicelli Waste as a Novel Alternative Feedstuff in Broiler Diets

  • Rungcharoen, P.;Therdthai, N.;Dhamvithee, P.;Attamangkune, S.;Ruangpanit, Y.;Ferket, P.R.;Amornthewaphat,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2호
    • /
    • pp.1732-1741
    • /
    • 201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ermicelli waste (VW) and effect of VW inclusio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In experiment 1, VW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vermicelli industry in Thailand to analyze nutritional composition. Vermicelli waste contained 9.96% moisture, 12.06% CP, 32.30% crude fiber (CF), and 0.57% ether extract (EE), as DM basis. The ratio of insoluble:soluble non-starch polysaccharide (NSP) was 43.4:8.9. A total of 120 chicks (6 pens per treatment and 10 chicks per pen) were fed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or 20% VW substituted diet to determine th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corrected for nitrogen retention ($AME_n$) of VW. The $AME_n$ of VW was $1,844.7{\pm}130.71$ kcal/kg. In experiment 2, a total of 1,200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4 dietary treatments for 42-d growth assay. There were 300 chicks with 6 pens per treatment and 50 chicks per pen. The dietary treatments contained 0%, 5%, 10%, or 15% VW, respectively. Al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caloric and isonitrogenous. From 0 to 18 d of age chicks fed VW diets had higher (p<0.001) feed conversion ratio (FCR)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No difference was observed during grower and finisher phase (19 to 42 d). Chicks fed VW diets had lower relative weight of abdominal fat (p<0.001) but higher relative weight of gizzard (p<0.05) than those of chicks fed the control diet. Increasing VW inclusion levels increased ileal digesta viscosity (p<0.05) and intestinal villus height of chicks (p<0.001). For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ssay, there were 4 metabolic cages of 6 chicks that were fed experimental treatment diets (the same as in the growth assay) in a 10-d total excreta collection. Increasing VW inclusion levels linearly decreased (p<0.05)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M and CF.

유기 육계에 침엽수 부산물과 추출물의 급여가 성장, 장기 및 맹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Softwood By-products or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Organs and Cecal Microbes in Organic Broiler Chicks)

  • 최호성;박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21
    • /
    • 2007
  • 본 연구는 침엽수 추출물의 사료내 첨가 급여가 유기 육계의 생산성, 장기 변화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행하였다. 시험 설계는 대조구(C), 대조구+항생제 1.0%(+C), 침엽수 분말 3.0%(T1), 침엽수 추출물 0.05% (T2), 0.10%(T3) 첨가한 5개 처리구로 하였다.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전체 200수 1일령 육계($Ross\;{\times}\;Ross$)를 35일간 평사에 배치하였다. 실험 전 기간의 증체량은 항생제 첨가구인 +C구와 침엽수 추출물 0.1% 첨가구인 T3구에서 제일 높았으며, 대조구와 침엽수 분말을 첨가한 T1구는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사료 요구율은 T1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C와 T3에서 우수하였다. 소장무게는 대조구와 +C구가 제일 높았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소장의 길이는 T1이 제일 길었으며, +C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짧았다(P<0.05). 근위 중량은 T2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P<0.05), 비장 무게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지만(P<0.05), 맹장과 간 무게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융모 길이는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길게 나타났으며(P<0.05). 장내 미생물도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거나 (P<0.05),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에너지 및 단백질 소화율은 대조구와 T1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IgG 농도는 대조구와 T1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침엽수 추출물의 급여는 부산물과 대조구에 비하여 사료의 영양소 이용율을 개선하였고, 성장도 개선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항생제 처리구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항생제 대체재로서 가능성을 보였으며, 유기육계 사육에 생산 능력을 개선하는 사료 첨가제로써 가치가 있었다.

다양한 지방원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특성, 분내 미생물 조성 및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arious Fat Source Feeding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Fecal Microflora and Blood Profiles in Broilers)

  • 조진호;곽용철;이장형;노환국;김인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93-103
    • /
    • 2014
  • 본 연구는 급이 지방원의 차이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특성, 혈액특성 및 분내 미생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1일령 ROSS 308 768수로 공시하였고, 시험 개시 체중은 39.68 ± 0.14 g으로 32일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SBO, basal diet + soybean oil, 2) PF, basal diet + poultry fat, 3) TAL, basal diet + tallow 및 4) LARD, basal diet + lard로 4개 처리구로 나누고 처리당 12반복, 반복당 1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1-14일령의 생산성에 있어서는 증체량에서 TAL 처리구가 PF 및 LA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료섭취량에서 TAL 처리구가 SBO, PF 및 LA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 시험기간동안의 증체량에서 SBO 및 TAL 처리구가 LS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중 LDL cholesterol 함량은 우지 처리구가 돈지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체 특성은 가슴육의 적색도에서 PF 및 TAL 처리구가 LA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명도 및 황색도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장기 무게에 있어서 또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분내 미생물 조성에서도 Lactobacillus 및 Escherichia coli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중 LDL 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 TAL 처리구가 LA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혈중 AST, total triglycerides 및 HDL 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시험에서는 육계 사료내 대두유 및 우지 첨가시 증체량을 향상 시키고, 또한 우지 급여시 가슴육의 적색도를 유의적으로 낮춰 주고, 혈중 LDL cholesterol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육계 사료내 식물성 지방원인 대두유 첨가가 증체량을 개선시켜 주고, 혈중 LDL cholesterol이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은화 첨가가 육계 생산r성과 장기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Lonicera japonica Thunberg on Productivity md Development of Intestinal Organs in Broiler Chickens)

  • 조성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34
    • /
    • 1992
  • 항 세균 및 항 Virus의 작용을 하는 금은화(LJT)와oxytetracycline의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육계에 3주간 급여 시 영계의 성장률,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과 도체율 및 각종 장기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고자 초생리 숫병아리 75수를 공시하였다. 처리별 시험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을 거의 비슷하게 하고 첨가제로서 oxytetracycline을 0.04%와 0.34%, 금은화를 0.05%, 1.0%와 3.0%수준으로 첨가배합 하였다. 시험설계는 5처리 3반복 반복당 5수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하고, 철제 battery cage에 수용하였다. 3주령 영계의 증체량은 금은화(LJT) 0.5%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우수하였고, 가장 불량한 구는 oxytetracycline(OTC) 0.34% 첨가구이었다.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사료요구율은 OTC 0.34%첨가구에서 가장 높았고 LJT 1%첨가구에서 가장 낮았지만 유의성은 찾지 못했다. 영계의 도체율은 LJT 0.5% 첨가구에서 우수하게 나타났고 OTC 0.34% 첨가구에서 저조하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슴고기 생산비율에 있어서 생체중에 대한 가슴고기의 비율은 LJT 1.0% 첨가구에서 타구에 비해 높으면서 유의성은 없었으나 도체량에 대한 가슴고기 비율은 LJT 1.0% 첨가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3%의 LJT 첨가구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다리고기 생산비율 면에서는 생체중에 대한 비율은 LJT 0.5% 첨가구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며 유의성이 없으면서 처리수준 간에서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도체량에 대한 다리고기 생산비율은 OTC 0.34%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음에 비하여 OTC 0.34%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머리무게는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과 유의한 차이도 없었다. 가식장기의 생체중에 대한 비율에 있어서 간장은 OTC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LJT 1.0%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근위의 생체중 비율은 LJT 1.0%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유의성과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도 없었다. 심장의 중량비는 LJT 3% 첨가구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처리수준간에 일정한 경향과 큰 차이가 없었다. 면역기관인 강장과 활액낭의 중량비에서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과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복강과 근위주위의 지방축적 비율은 LJT 1.0%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

  • PDF

Soybean meal substitution by dehulled lupine (Lupinus angustifolius) with enzymes in broiler diets

  • Mera-Zuniga, Fredy;Pro-Martinez, Arturo;Zamora-Natera, Juan F;Sosa-Montes, Eliseo;Guerrero-Rodriguez, Juan D;Mendoza-Pedroza, Sergio I;Cuca-Garcia, Juan M;Lopez-Romero, Rosa M;Chan-Diaz, David;Becerril-Perez, Carlos M;Vargas-Galicia, Artemio J;Bautista-Ortega, Jaim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564-573
    • /
    • 2019
  • Objective: Evaluate the effects of i) dehulling of lupine seed on chemical composition an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 and ii) soybean meal substitution by dehulled lupine seed in broiler diets with enzymes on productive performance, size of digestive organs and welfare-related variables. Methods: Experiment 1, chemical composition and AME were determined in whole and dehulled lupine seed. Experiment 2, two hundred eighty-eight one-day-old male Ross 308 broilers were used. The experimental diets were maize-soybean meal (MS), MS with enzymes (MSE) and maize-dehulled lupine seed with enzymes (MLE). Die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units under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ight replicates per diet). The body weight (BW)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digestive organ weights, gait score, latency to lie down and valgus/varus angulation were evaluated. Results: The dehulling process increased protein (25.0% to 31.1%), AME (5.9 to 8.8 MJ/kg) and amino acid contents. The BW gain of broilers fed the MLE diet was similar (p>0.05) to that of those fed the MS diet, but lower than that of those fed the MSE diet. Feed intake of broilers fed the MLE diet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those fed the MS diet and similar (p>0.05) to those fed the MSE diet. Feed conversion of broilers fed the MLE diet was 8.0% and 8.7% higher (p<0.05) than that of those fed the MS and MSE diets, respectively. Broilers fed the MLE diet had the highest (p<0.05) relative proventriculus and gizzard weights, but had poor welfare-related variables.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soybean meal by dehulled lupine seed with enzymes in broiler diets, obtaining similar BW gains in broilers fed the MLE and MS diets; however, a higher feed intake is required. Additionally, the MLE diet reduced welfare-related variables.

진도해역 낭장망의 어획물 실태에 따른 어업관리 방안 (Study for fishery management measure on gape net with wings with catch composition in the water of Jin-do)

  • 신종근;최문성;서영일;차형기;이선길;김희용;오택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4호
    • /
    • pp.404-418
    • /
    • 2013
  • In this study, we conducted field surveys to investigate and analyze species and length composition of catch from gape net with wings being set in two areas - Masari, Supomri - located in southern part of Jin-do for understanding fishing characteristics of gape net with wings fishery from March to September of 2011. And with those results, we attempted to propose fishery management strategy to harvest fisheries resources continuously. Catch obtained from field surveys comprised total 78 species, which accounted for 53 species of fish, 20 species of crustacean, 4 species of cephalopod and one of polychaete. As to species composition in weight, it showed that there was 88.5% for pisces, 9.0% for cephalopoda and 2.5% for crustacea. As to catch specifics by area, there was 36 species (596,891 individual, 456,551g) of pisces, 17 species (35,815 individual, 12,909g) of crustacea and 3 species (2,876 individual, 3,004g) of cephalopoda in Masari area. In Supumri area, there was 41 species (396,898 individual, 281,457g) of pisces, 15 species (16,113 individual, 7,772g) of crustacea and 4 species (6,792 individual, 72,329g) of cephalopoda and one polychaeta (36 individual, 11g). Catch of anchovy by month recorded on high level on June, July, September in both areas. When considering size composition by month, it was found that new populations recruit to these fishing grounds on June and September. Most of bycatch species including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dotted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conger eel (Leptocephalous), Pacific sandlance (Ammodytes personatus), horse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ere juvenile, and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Japanese sardinella (Sardinella zunasi) were also small in size.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gape net with wings fishery which is likely to catch juvenile needs to be set fishing prohibit period for conserving above stocks during the period excluding main fishing periods of anchovy or fisheries management such as expanding mesh size for preventing juvenile catch.

한국 재래계에서 초기 성장에 따른 소화기관 발달, 소장 미세융모의 소화 효소 및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 발현 (Early Development of Digestive Organs, Intestinal Microvilli Digestive Enzymes,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s after Hatching in Korean Native Chicks)

  • 남근희;이영빈;손시환;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7-116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 재래계에서 부화 후 일령(0-d, 3-d, 7-d, 14-d, 21-d 및 28-d)에 따른 소화 장기발달, 소장미세융모의 소화 효소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병아리 일령에 따른 체중과 증체량은 부화 후 0~3일령까지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3일령 이후 28일령까지 체중은 8.6배, 증체량은 281.2 g 증가하였다(P<0.05). 근위, 소장 및 간의 무게는 0~28일령까지 현저하게 증가하고, 선위 및 췌장 무게는 21일령까지 증가하였다(P<0.05). 체중에 따른 상대적 장기무게에서 선위, 근위 및 간은 3~7일령에서 최대로 증가하였고(P<0.05), 소장, 점막세포 및 췌장의 상대적 무게는 3~21일령에서 최대 발달률을 보였다. 소장 점막세포 maltase와 sucrase 특이적 활성도는 모두 0~3일령에서도 높게 유지되며, 14일령에서 최대활성도를 보였다(P<0.05). Leucine aminopeptidase(LAP) 특이적 활성도는 0일령부터 28일령까지 유의적 차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ALP) 특이적 활성도는 0일령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P<0.05), 그 이후 28일령까지 일정 수준의 활성도를 유지하였다. 간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의 특이적 활성도는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및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특이적 활성도는 모두 0일령에서 가장 낮았으나 일령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28일령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Catalase 활성도는 0일령부터 28일령까지 모두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 과산화도(MDA) 함량은 모든 일령에서 낮았지만 21일령에서 일시적으로 증가 후(P<0.05), 28일령에서 다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한국 재래계는 부화 후 3~14일령에서 소화 장기 발달과 소화 효소 활성도가 급격히 증가하며,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는 부화 후 지속적으로 발현되며 28일령에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Xanthophylls과 해조 부산물 첨가 급여가 육계의 사양성적, 육색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Xanthophylls and See Weed By-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Color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Broiler Chicks)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4
    • /
    • 2004
  • 본 시험은 천연 및 합성착색제와 해조부산물의 첨가가 육계의 육성 성적, 착색도, 항산화도 및 색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단백질과 에너지를 동일 수준으로 배합하였고, 사료내 xanthophylls 함량은 총 30 ppm이 되도록 하였다. 시험처리구로는 대조구(무첨가구, T1), Oro Glo 첨가구(천연황색소, T2), Kem Glo 첨가구 (천연적색소, T3), canthaxanthin 첨가구(합성적색소, T4), asthaxanthine 첨가구(천연적색소, T5)와 해조부산물 첨가구(T6)로 나누어 5주간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T6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착색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사율은 대조구에 비해 T2, T3 및 T4에서 낮았고, T5 및 T6구에서는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율과 복강내지방은 처리구간 착색제에 따른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근위무게는 T6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다리 착색도는 대조구와 T6구에서 가장 낮았고(p<0.05), 착색효과에 있어서는 황색 착색제보다 적색 착색제에서, 그리고 합성착색제보다는 천연착색제에 의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닭고기의 POV, TBARS 및 pH는 저장 12일 이후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처리 간 차이는 대조구보다 착색제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육색에서 CIE L$^{*}$ (명도)값과 b$^{*}$ (황색도)값은 저장기간 및 착색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a$^{*}$ (적색도)값은 저장 12일 후 모든 처리구가 감소(p<0.05)하였으나. T4와 T5구의 a$^{*}$ 값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xanthophylls 종류에 따라 육색에 영향을 미치고, 저장 중 지방산화가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