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Feeding Softwood By-products or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Organs and Cecal Microbes in Organic Broiler Chicks

유기 육계에 침엽수 부산물과 추출물의 급여가 성장, 장기 및 맹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Choe, H.S.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 Bio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t, J.H.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 Bio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최호성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 박재홍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oftwood by-products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organ weight and intestinal microbes in organic broiler chicks. Five treatments were assigned to 200 broiler chicks with four replication, allocating 10 broiler chicks in each replicatio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control(Organic diet), +C(Organic diet + antibiotics), T1(Organic diet + softwood by-product powder 3.0%), T2(Organic diet + softwood by-product extract 0.05%) and T3(Organic diet + softwood by-product extract 0.1%).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C and T3 for overall period than control and T1. Feed efficiency of were slightly improved in +C and T3 group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and T1. The small intestine weight tended to be higher in control and +C, but it's length showed high in only T1 group. Gizzard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2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P<0.05). In contrast, spleen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P<0.05), whereas the weight of cecum and liv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etary treatment. Intestinal microflora was significantly lower or/and seemed to be low in softwood by-products treatment groups than control. Digestibility of energy and protein were statistically lower in control and T1 than other treatments(P<0.05). The IgG concentration of birds fed antibiotics, softwood by-product extract was higher than control and T1, but was no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ndicated that softwood by-product extract would be possible to apply for the feed additive in organic broiler diets.

본 연구는 침엽수 추출물의 사료내 첨가 급여가 유기 육계의 생산성, 장기 변화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행하였다. 시험 설계는 대조구(C), 대조구+항생제 1.0%(+C), 침엽수 분말 3.0%(T1), 침엽수 추출물 0.05% (T2), 0.10%(T3) 첨가한 5개 처리구로 하였다.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전체 200수 1일령 육계($Ross\;{\times}\;Ross$)를 35일간 평사에 배치하였다. 실험 전 기간의 증체량은 항생제 첨가구인 +C구와 침엽수 추출물 0.1% 첨가구인 T3구에서 제일 높았으며, 대조구와 침엽수 분말을 첨가한 T1구는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사료 요구율은 T1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C와 T3에서 우수하였다. 소장무게는 대조구와 +C구가 제일 높았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소장의 길이는 T1이 제일 길었으며, +C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짧았다(P<0.05). 근위 중량은 T2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P<0.05), 비장 무게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지만(P<0.05), 맹장과 간 무게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융모 길이는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길게 나타났으며(P<0.05). 장내 미생물도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거나 (P<0.05),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에너지 및 단백질 소화율은 대조구와 T1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IgG 농도는 대조구와 T1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침엽수 추출물의 급여는 부산물과 대조구에 비하여 사료의 영양소 이용율을 개선하였고, 성장도 개선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항생제 처리구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항생제 대체재로서 가능성을 보였으며, 유기육계 사육에 생산 능력을 개선하는 사료 첨가제로써 가치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2. Cera KR, Mahan DC, Cross RF, Reinhart GA, Whitmover RE 1988 Effect of age, weaning and postweaning diet on small intestinal growth and jejunum mophology in young swine. J Anim Sci 66:574-584 https://doi.org/10.2527/jas1988.662574x
  3.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4. Kang YH, Park YK, Ha TY, Moon KD 1996a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serum and liver lipid contents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5: 367-373
  5. Kang YH, Park YK, Ha TY, Moon KD 1996b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enzyme activities of serum and liver, liver morphology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5:374-378
  6. Kenworthy R 1976 Observations on the effects of weaning in the young pig: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ies of intestinal function and morphology. Res Vet Sci 21:69-75
  7. Kim EJ, Jung SW, Choi KP, Ham SS, Kang HY 1998 Cytotoxic effect of the pine meedle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0:213-217
  8. Li DF, Nelssen JL, Reddy PG, Blecha F, Klemm JD, Giesting SW, Hancock JD, Allee GL, Goodband RD 1990 Trancient hypersensitivity to soybean meal in the early-weaned pig. J Anim Sci 68:1790-1799 https://doi.org/10.2527/1990.6861790x
  9. Li DF, Nelssen JL, Reddy PG, Blecha F, Klemm JD, Goodband RD 1991 Inter-relationship between hypersensitivity to soybean proteins and growth performance in early-weaned pigs. J Anim Sci 69:4062-4069 https://doi.org/10.2527/1991.69104062x
  10. Miller WC, Theilman NM, Swai N, Cegielski JP, Shao J, Ting D, Mlalasi J, Manyenga d, Lallinger GJ 1996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testing Tanzanian adults with HIV infection. J Acq Immune Defic Synd Human Retrovir 12:303 https://doi.org/10.1097/00042560-199607000-00012
  11. Moon YC, Jeon CO, Oh JY 1994 Isolation of 4-hydroxy-5-methyl-3〔2H〕-furanose from pine needle as an antioxidative principle(in Korea). Agri Chem Biotech 37:310-314
  12. NRC 1994 Nutrient requirements of poultr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3. SAS/STAT 1996 SAS User Guide, Release 6. 12th edition SAS Inst. Inc Cary NC
  14. 곽동수 고필옥 김종섭 1998 Rat 비장에서 MT1과 MB2 항체의 양성반응세포 분포. 대한수의학회지 38:455-460
  15. 김경량 김석중 2002 세계유기축산의 동향과 전망. 농업경영․정책연구 29:153-171
  16. 김창혁 박재인 2003 톳추출 Fucoidan이 병아리 장내 Villi 및 Salmonella 균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0:41- 47
  17. 김창혁 송영한 채병조 이영철 2001 돈분-남은음식물 혼합 Extrusion 사료의 급여가 브로일러의 사양성적, 체조성 및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3:91-100
  18. 김창혁 임경천 황재효 라창식 박재인 2006 브로일러 사료에 Bio-Silvelite의 첨가가 사양성적, 장기중량, 소장 Villus 및 장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3:33- 39
  19. 나기정 강하영 오종환 최인규 윤영원 정의배 1998 침엽수종으로부터 분리된 정유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한국실험동물학회지 14:93-96
  20. 문복희 유경선 2005 GC-MS에 의한 침엽수 잎의 휘발성 정유성분. 한국환경분석학회지 8(4):181-185
  21. 민병준 권오석 홍종욱 손경승 김인호 2005 생약제(Miracle) 첨가가 포유모돈의 생산성, 자돈의 성장 및 혈액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7:371-378 https://doi.org/10.5187/JAST.2005.47.3.371
  22. 박종상 박종대 이봉춘 최강주 라상욱 장기운 2000 구기자 부위별 추출물이 흰쥐 비장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약작지 8:291-296
  23. 옥지운 이상민 임정화 이신자 문여황 이성실 2006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의 병원성 미생물 및 반추위 활성에 대한 영향. 동물자원지 48:709-718 https://doi.org/10.5187/JAST.2006.48.5.709
  24. 임용숙 박경남 배만종 이신호 2001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소나무(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462-468
  25. 최무영 최은정 이은 임태진 차배천 박희준 1997 솔잎 추출물의 항균성 검색.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5:293-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