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ive cardinal colors (blue, yellow, red, white, black)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고구려의 염색문화 연구 (The Study of the Culture of Dyeing in Koguryo)

  • 장현주
    • 복식
    • /
    • 제56권3호
    • /
    • pp.42-5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and the wall paintings of the ancient tombs of Koguryo in an effort to t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of dyeing in Koguryo. The research findings follow: 1. The colors that were in vogue in Koguryo are five cardinal colors (red, blue, white, black, and yellow) and compound colors, like purple and green. Those colors were used in some or all parts of the clothing and even on some parts of the body. 2. Some clothing of Koguryo as shown in the wall paintings were made with a single and solid color by dip dyeing method. But the majority of the clothing had a variety of patterns. Among the patterns, the geometrical dot pattern took the majority. 3. The dyeing techniques used in Koguryo were printing, yarn dyeing, embroidery, wax resist dyeing, drawing and painting. The development of yarn dyeing method, weaving with silk-threads dyed in various colors, enabled to produce Geum fabrics, which were used for the upper classes' clothing. 4. The esthetic features represented in the colors of Koguryo include the beauty of contrast coloring, preference for red, preference for geometrical patterns, and the harmony of yin and yang.

오색(五色)선호도에따른 건강과 심신상태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Mind-Body State According to Five Colors Preference)

  • 안지혜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2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서울 시민대상자 594명의 혈액형, 오장 질환, 오미 상태, 환경 및 계절의 변화, 만성질환 대상자의 분포와 이들의 오색의 선호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전통중국의학의 체질검사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일반적 오색(빨강, 파랑, 노랑, 흰색, 검정)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혈액형분포는 A(38.9%), O, B, AB, 기타이었다. 흡연자(75.6%)와 비흡연자, 비음주자(25.6%)와 음주자의 비율이었으며, 파랑색의 선호도가 높았다. 음주량 별로 선호색이 다양했으며, 유의성이 없었다. 오장질환자 의 비율은 위장(45.3%), 간폐, 장, 심장이었다. 오미는 매운맛(48.8%),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순이었다. 모두 파랑색 선호도가 높았다. 신장(8.3%)은 적색 그리고 쓴맛은 노랑색을 선호하였다. 심신의 변화는 '심신의 변화가 크지 않다(35.7%)'가 높았다. 오색의 선호도는 다양하였다. 환경변화의 선호는 '추운 곳(32.7%)'을 높게 선호하였고, '건조한 곳'은 낮았다. 선호도가 높은 계절은 '가을(38.6%), 다음이 여름, 장마철이 낮았으며, 파랑색을 선호하였다. '정상인'이 89.9% 그리고 '고혈압'은 5.7%이었다. 정상인은 파랑색(91.8%), 고·저혈압자는 노랑색 선호가 높았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당뇨'는 2.5% 이었고 파랑색 및 빨강색을 선호하다. 모든 항목에서 검정색은 제일 낮았다. 결론: 서울 시민대상자 594명의 건강과 신체적인 이상 유무 등의 설문에서 각 항목별로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고, 오색선호도에서는 거의가 파랑색을 제일 선호하였고, 검정색이 낮았다. 건강 설문지와 오색의 선호도는 관련성은 높지는 않았으나 본 연구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자료가 된다고 판단한다.

단청문양(丹靑紋樣)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A Study on Art Make-up Design applying the Dan-chung Motives)

  • 이재형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7-119
    • /
    • 2004
  • Dan-chung had many great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By investigating its patterns, which comprise the integral part of the formative features, and analyz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beauty, the foundation was set to use the patterns as the motives of art makeup works. A focus was made on the basic elements, compositions and symbolic meanings of Dan-chung patterns. The representative patterns that were used a lot in Dan-chung made the motives of the four art make-up designs, which tried to integrate the aesthetic senses of the Dan-chung patterns into the art makeup venues. The four patterns were each based on the phoenix, bat, ghost face, and crane. The major colors used were white, black, red, blue and yellow, which were also the cardinal Five Colors of Dan-chung. They were changed in terms of luminosity and coma and manipulated to make harmony with intermediate colors so that the designs would ooze out the Korean aesthetic senses.

  • PDF

한의학(韓醫學) 오색(五色)의 색채론적(色彩論的) 연구 (Study on Chromatology of the Five Cardinal Colors in Oriental Medicine)

  • 김경신;김병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37
    • /
    • 2011
  • It fuses into culture of the East and the West in use of color ; colors of five direction, which had been from the Five Phase Theory in East Asia. Formative ability of color fields in a formative early Oriental Medicine history as well. Color is a very important factor and a necessary step of visible diagnosis. As a human's body is maintained and alive under the control of spirit and spirit is stored by five viscera, so spirit expresses the change of five viscera and is reflected by color. Visible diagnosis consists of spirit, appearance, Qi and color and movement. The purpose of each visible diagnosis is that we would know states of essence, Qi and spirit in patient's body. To ancient Asia people 'to see' was a kind of insight to the object as a whole. Similarily the activity of seeing the human body was the integral part of making diagnosis of a patient. This was the cause that there was suggested the discussion of the Five color theory in Oriental Medicine as a counterpart to that of the 'Goethe for Zur Farbenlehrer'. The inspection of Oriental Medicine was not a simple gazing of the eye as a sense organ, but the total insight to the internal state of the patient. For that reason, the eye-perception in early Chinese medicine was the reading the signs of the internal body which had have not the visual form but the flux of the internal life.

서울지역 주민의 중의(中醫) 체질(體質)별 오색(五色)선호도와의 연관성 (Relations of Five Color Preference with Chinese Body Constitution of Residents in Seoul Area)

  • 안지혜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21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민 594명을 대상으로 중의체질표 설문지로 검사하여 체질유형 분포를 탐색하고, 체질별로 오색(빨강색, 파랑색, 노랑색, 흰색 그리고 검정색)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서울 시민들에게 적합한 검사인지 그리고 체질에 따른 오색의 선호도가 타당성이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연구방법은 중의체질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일반오색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체질유형 분포에서는 양허체질(31.4%), 음허체질(23.8%), 담습열(11.8%), 화평(10.4%), 기허체질(9.8%), 기울체질(7.4%), 특이체질(6.2%), 어혈체질(3.2%)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는 중의체질 검사가 서울 시민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과이기도 하다. 오색선호도 순서는 파랑색이 184명(31%), 노랑색이 150명(25.3%), 흰색이 107명(18%), 빨강색이 105명(17.7%), 그리고 검정색이 48명(8%)의 순이었다. 파랑색을 제일 선호하였고, 검정색을 제일 낮게 선호하였다. 오색의 분포는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안했다. 이는 체질별 오색선호 사이에는 유연성이 적다는 결과이다. 양허체질 대상자의 오장질환 중에 위장 질환자의 분포(50.3%)가 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선호색은 전체적으로는 파랑색(30.9%)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1). 오장질환 별로 오색의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라 평가한다. 결론: 중의체질 분포조사표로 조사한 서울 시민의 체질을 분포는 9개로 분류되었으며, 양허체질 대상자가 수가 가장 높았고, 습열체질이 낮았다. 또한 체질별로 오색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이는 중의체질표가 서울시민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체질별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고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