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Study of the Culture of Dyeing in Koguryo  

Jang, Hyun-Joo (Dept. of Clothing & Textile, Cheju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6, no.3, 2006 , pp. 42-5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and the wall paintings of the ancient tombs of Koguryo in an effort to t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of dyeing in Koguryo. The research findings follow: 1. The colors that were in vogue in Koguryo are five cardinal colors (red, blue, white, black, and yellow) and compound colors, like purple and green. Those colors were used in some or all parts of the clothing and even on some parts of the body. 2. Some clothing of Koguryo as shown in the wall paintings were made with a single and solid color by dip dyeing method. But the majority of the clothing had a variety of patterns. Among the patterns, the geometrical dot pattern took the majority. 3. The dyeing techniques used in Koguryo were printing, yarn dyeing, embroidery, wax resist dyeing, drawing and painting. The development of yarn dyeing method, weaving with silk-threads dyed in various colors, enabled to produce Geum fabrics, which were used for the upper classes' clothing. 4. The esthetic features represented in the colors of Koguryo include the beauty of contrast coloring, preference for red, preference for geometrical patterns, and the harmony of yin and yang.
Keywords
five cardinal colors; geometrical dot pattern; wax resist dyeing; Geu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미석. 김정호 (2004). 고구려 고분벽화 문양과 침선 소품 개발에 관한 연구 -집안지역 고구려 고분을 중심으로 . 복식, 54(6)
2 (삼국사기) 권 24 백제본기 재2 고이왕 27, 28년
3 이화여대 패션디자인연구소 문화원형관련 복식 디지털 콘벤츠 개발 -한국의 고유복식-
4 삼국시기 . 발해 . 후기신라편- 서울: 백산자료원. p. 68
5 조선일보사 (1993). 집안 고구려 고분벽화
6 김혜은 (1985). 고분벽화에 묘사된 복식조형의 미. 서 울:이화여대 석사논문, p. 22
7 심연옥 (2002). 앞의 책, p 291
8 <주서〉 이역열전 고구려조, <북사열전〉 고구려조, <수서〉 동이열전 고구려조, <신당서〉 동이열전 고구려조
9 〈삼국사기〉 색복조 신라 법흥왕 7, 10년
10 寺問商太郎(昭和61년). やさしい織物の解説. 동경:纖維硏究社. P. 225
11 금기숙 (2002). 고구려 복식의 미학적 연구. 복식, 52 (3)
12 김정호. 이미석 (2005). 고구려 벽화 의복에 관한 연구 -집안지역과 평양지역 벽화의 비교연구- 복식, 55(3), p. 96
13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 II, 고구려편
14 양경애 (2004).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점문양 복식의 염색연구. 복식, 54(7)
15 <구당서〉 백제조, <주서〉 이역열전 백제조, <수서〉 동이열전 백제조
16 고구려 특별대전 (1995). KBS 한국방송공사
17 양경애 (2004).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점문양 복식의 염색연구. 복식, 54(7), p. 61
18 <신당서〉 동이전 고구려조
19 이은창 (2000). 한국 복식의 역사(고대편) .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162
20 조선기술발전사 편찬위원회 (1994), 앞의 책. p 69
21 조선기술발전사 편찬위원회 (1994), 조선기술발전사 2
22 김정호 (1999)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과 사회계층.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주서〉 이역열전 고구려조, <북사열전〉 고구려조, <수 서〉 동이열전 고구려조, <신당서〉 동이열전 고구려조, 〈수서〉 신라조, <구당서〉 신라조. <북사〉 동이전 신라조
24 삼국사기 권 45 열전 溫達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