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itted shape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2000년대 디자이너별 재킷 형태분석 (Analysis of Jacket Shapes by Designers in the 2000s)

  • 박미경;송정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9-259
    • /
    • 2022
  • To analyze recent changes in designer-specific garment composition, detail, and design elements of jackets, we classified jackets from the Paris Haute Couture Collection from 2000 S/S to 2019 F/W according to their designers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Our analysis of the jackets by Armani, Chanel, Dior, Jean-Paul Gaultier, and Valentino shows that the hour-glass silhouette was most common in Armani, Chanel, Dior, Jean-Paul Gaultier and Valentino jackets; Chanel used more straight silhouettes compared to other designers. Most jackets, regardless of the designer, had midlength waist-to-bottom, tight sleeves fitted to the body, natural shoulder shape, and solid color. Moreover, woven fabric was the most common material. Jackets with no collar were the most common for Armani, tailored collars for Dior and Jean-Paul Gaultier, and standing collars for Chanel and Valentino. For the closure method, Armani used hook-and-eye, Chanel, Jean-Paul Gaultier, Valentino used button closures, and Dior used snap closures the most. New design attempts by designers are bringing details and design elements together. In an era characterized by an abundance of designs and frequent replacement of each brand's creative designers, it is important to create and maintain a brand's unique design identity and philosophy that can meet consumers' elevated standards, which tend to be biased towards new and stimulating design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Comparison of Mathematical Models Applied to F1 Dairy Sheep Lactations in Organic Farm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Lactation Curve Parameter

  • Angeles-Hernandez, J.C.;Albarran-Portillo, B.;Gomez Gonzalez, A.V.;Pescador Salas, N.;Gonzalez-Ronquillo,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119-1126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oodness of fit of four lactation curve models: Wood's Gamma model (WD), Wilmink (WL), and Pollott's multiplicative two (POL2) and three parameters (POL3) and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complete lactation curve of F1 dairy sheep under organic management. A total of 5,382 weekly milk yields records from 150 ewes, under organic management were used. Residual mean square (RMS), determination coefficients ($R^2$), and correlation (r) analysis were used as an indicator of goodness of fit for each model. WL model best fitted the lactation curves as indicated by the lower RMS values (0.019), followed by WD (0.023), POL2 (0.025) and POL3 (0.029). The four models provided total milk yield (TMY) estimations that were highly correlated (0.93 to 0.97) with observed TMY (89.9 kg). The four models under estimated peak yield (PY), whereas POL2 and POL3 gave nearer peak time lactation estimations. Ewes lambing in autumn had higher TMY and showed a typical curve shape. Higher TMY were recorded in second and third lambing. Season of lambing, number of lambing and type of lambing had a great influenced over TMY shaping the complete lactation curve of F1 dairy sheep. In general terms WL model showed the best fit to the F1 dairy sheep lactation curve under organic management.

멱함수 법칙분포를 기반으로 한 유역의 배수구조에 대한 해석 (Analysis of drainage structure for river basin on the basis of power law distribution)

  • 김주철;강희승;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495-507
    • /
    • 2016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유역의 유출응집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멱함수 법칙분포의 대표적 특성인 보편성을 수문학적 관점에서 입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우법에 따라 집수면적의 누가분포에 대한 멱함수 법칙분포의 적합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도출된 멱함수 법칙분포의 지수를 집수평면의 형상을 기반으로 평가하여 보았다. 주요한 결과로서 본 연구의 대상 유역들은 집수평면의 규모에 대하여 거의 모두 동일한 형태의 분포를 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멱함수 법칙분포의 지수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값에 비하여 다소 큰 수치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대상유역들이 가진 자기상사성의 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DEM을 기반으로 보다 더 실제에 가까운 흐름방향모의를 통한 집수평면의 멱함수 법칙분포의 보편성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적합한 표본조사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 Forest Inventory System for th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 신만용;한원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70-377
    • /
    • 2006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적합한 표본조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계통적 추출법, 계통적 집락추출법, 그리고 층화집락추출법을 이용하여 경기도 양평군의 산림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통계검증을 실시하였다. 표본조사 방법은 계통적 집락추출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계통적 집락추출법을 적용할 경우 집락의 형태와 집락 내의 표본점 간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5가지 집락의 형태와 표본점간의 거리 4가지에 대하여 통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락의 형태는 삼각형 그리고 집락 내의 표본점 간의 거리는 50m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의 온도발육과 발육모형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Its Model of the Mel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Homoptera: Aphididae))

  • 김지수;김용헌;김태흥;김정환;변영웅;김광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1-116
    • /
    • 2004
  • 목화진딧물 발육실험은 15-35$^{\circ}C$, 습도는 60-70%, 광주기는 16:8 (L:D h)에서 수행 하였다. 진딧물 약충 사망률은 초기 1-2령의 사망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온도의 상승에 따라 사망률이 높아져 32.5$^{\circ}C$에서 36%였으며, 35$^{\circ}C$에서는 1-2령의 사망률이 44%, 3-4령이 56%로 이 온도에서는 진딧물의 발육이 이루어지지 많았고, 3-4령의 사망률이 1-2령의 사망률보다 높게 나타난다. 전체약충의 온도별 발육기간을 보면 15-3$0^{\circ}C$까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발육기간이 11.5에서 4.6일로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고온의 영 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는 32.5$^{\circ}C$에서는 오히려 발육기간이 5.5일로 길어졌다. 발육영 점 온도는 5.$0^{\circ}C$이였고, 유효적 산온도는 106.8일도였다. 온도별 발육율은 변형된 Sharpe와 DeMichele의 비 선형 모형 에 잘 적합되었다.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표준화하여 누적시킨 값들은 3개의 변수를 갖는 Weibull function에 적합되었다.

AlGaAs/GaAs multiple-quantum well에 대한 상온에서의 photoreflectance 특성연구 (A study of room temperature PR(photoreflectance) charicteristics for AlGaAs/GaAs multiple-quantum well)

  • 김동렬;최현태;배인호;김말문;한병국;우덕하;김선호;최상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9-113
    • /
    • 1997
  • MBE로 성장한 AlGaAs/GaAs multiple-quantum well(MQW)에 대하여 pump source를 He-Ne laser와 Ar laser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PR(photoreflectance)측정을 수행한 결과 여러 subband transition peak을 관찰하였다. PR결과를 standard analytic line shape으 로 fitting하여n=1의 conduction band와 heavy hole 그리고 light hole transition peak인 Cl-Hl, Cl-Ll에 대한 energy값들을 얻었다. 또한 상온에서의 PL(photoluminescence)측정에 서 Cl-Hl, Cl-Ll과 관련된 main peak와 shoulder를 관찰하였다. 이 값은 PR측정값과 잘 일 치함으로써 PL에서의 main peak와 should가 Cl-Hl, Cl-Ll과 관련된 peak임을 확인할 수 있 었다. 또한 envelope function approximation(EFA)을 이용하여 구한 이론값과 PR과 PL에서 측정된 실험값들을 비교하였다.

  • PDF

각막형상 및 각막난시도가 RGP렌즈와 각막사이의 눈물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neal Type and Corneal Astigmatism on Tear Volume between Rigid Gas Permeable Lens and the Cornea)

  • 김지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1-150
    • /
    • 2015
  • 목적: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의 양호한 피팅상태에서 각막형상과 각막난시도에 따른 각막과 렌즈 사이의 부분별 눈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대 77명(135안)을 대상으로 양호한 상태로 피팅된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를 중심부, 중간주변부, 주변부로 나눠 플루레신으로 염색된 눈물의 농도를 분석하여 눈물양을 정량화하였다. 결과: 모든 각막형상에서 구면 RGP렌즈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대칭나비형과 비대칭나비형 각막에서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있었으나, 원형과 타원형 각막은 중심부에서 주변부까지 눈물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1.25 D 이하의 각막난시군에 구면 RGP렌즈를 피팅하였을 때는 중심부와 주변부, 중간주변부와 주변부간의 눈물양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1.50 D 이상의 각막난시군에서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막난시가 증가할수록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모두 중심부 및 중간주변부의 눈물양이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비구면 RGP렌즈의 경우가 증가폭이 더 컸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구면 RGP렌즈에 비해 비구면 RGP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양 차이가 적었으며, 각막형상과 난시도에 따라 각막과 렌즈사이의 눈물양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정립된 RGP렌즈와 각막사이의 상대눈물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양 평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연안 1시간 조위자료의 통계적 특성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Hourly Tidal Level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고동휘;정신택;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365-373
    • /
    • 2013
  • 한반도 연안 주요 조위관측소 조위자료를 선정하여 확률분포 측면에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조위 특성 및 통계적인 매개변수들을 분석하였다. 조석현상이 우세한 인천과 군산 자료의 조위확률 분포는 HWONT와 LWONT에서 2개의 대칭형 첨두형태를 보이고, 목포 자료의 경우 비대칭형 첨두형태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제주, 여수, 부산 자료의 경우 편평한 첨두형태를 보이고, 포항, 속초 자료의 경우 1개의 첨두형태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노출과 침수 관계식으로 제안한 6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가우스 혼합분포 모형은 정확하고, 관측결과와도 잘 일치하고 있다. ${\mu}_1$, ${\mu}_2$ 매개변수는 LWONT, HWONT와 ${\sigma}_1$, ${\sigma}_2$ 매개변수는 평균조차와 밀접하다. ${\mu}_1$, ${\mu}_2$는 제안한 확률분포의 최빈값에 해당한다.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한 콘택트렌즈의 Dk 결정 (An Excel Program for Dk Calculation of Contact Lens)

  • 김대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7-116
    • /
    • 2011
  • 목적: 콘택트렌즈 피팅 시 렌즈 관련 사양의 변화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는 각막에서 산소부족이 없는 최소 Dk값 및 산소농도를 계산/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방법: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착용 시 렌즈 아래 형성되는 눈물층의 두께와 Dk값을 계산할 수 있는 방정식을 세우고 수치 계산 모델을 확립하였다. 결과: 렌즈사양을 변화시키면 렌즈 아래 눈물층의 두께가 변하며 이에 따라 산소투과도가 다르게되므로 각막이 요구하는 최소 산소농도 역시 달라짐을 계산으로 확인하였으며, 눈물층의 두께를 위한 계산 프로그램은 눈물층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어야 함을 밝혔다. 즉, flat 피팅 시에는 렌즈가장자리와 각막이 만나서 만들어지는 오목면의 형태에 따라 렌즈 아래 눈물층의 두께가 결정되며, flat하게 피팅 될수록 각막주변부 표면의 산소농도는 감소되어 계산값으로는 (-)가 되며 실제로는 산소농도는 0이 된다. Tight 피팅 시 각막표면의 산소를 계산하면 tight 피팅으로 눈물층의 두께가 렌즈의 두께보다 극단적으로 두꺼워지게 되어 계산값은 역시 (-)가 되며 각막 표면의 산소 농도는 0이 되어 산소결핍을 야기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결론: 콘택트렌즈의 변수를 조절하여 피팅 상태를 변경할 때에는 눈물층의 두께와 이에 따른 각막표면의 산소농도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산소결핍이 나타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Micro-pulling down법을 이용한 $Al_2$O$_3$/ZrO$_2$eutectic fiber의 제조 및 기계적 특성 (Growth $Al_2$O$_3$/ZrO$_2$eutectic fibers by the micro-pulling down method and its mechanical properties)

  • 이종호;;;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45-349
    • /
    • 2000
  • Micro-pulling down법을 이용하여 $Al_2O_3/ZrO_2$eutectic fiber를 제조하여 그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과 성장속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성장속도는 0.1~15 mm/min였으며, 직경 0.2~2 mm, 길이 500 mm의 eutectic fiber를 제조하였다. $Al_2O_3/ZrO_2$eutectic fiber의 미세구조는 성장속도에 따라 rod-shape structure에서 lameller structure를 거쳐 lamellar pattern을 갖는 cellular structure로 변화하였다. lamellar thickness는 성장속도가 1 mm/min에서 15 mm/min로 증가함에 따라 380 nm에서 110 nm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성장속도에 따른 lamellar thickness의 감소경향은 inverse-square-root로 나타내면, = 1 -l/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는 m, 는 m/s의 단위를 갖는다. 13.1 Gpa의 hardness, 900 Mpa의 상온인장강도를 나타냈으며, 성장속도의 증가 즉, interlamellar spacing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