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irst addition for mash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Carrageenan에 의한 탁주 고형물 침전 억제 및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Suppression of Solid Matters Precipitation of Takju and Its Quality Improvement by Carrageenan)

  • 박현정;신완철;송재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8-295
    • /
    • 2006
  • 본 연구는 탁주의 침전과 이취 발생 억제 등 품질개선을 위해 실시하였는데 고형물의 침전 속도가 가장 낮은 검류를 선택하여 이를 탁주 발효에 적용, 대조구와의 발효 양상 및 탁주의 품질을 서로 비교하였다. 우선 실험에 사용한 검류 중 carrageenan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침전량이 가장 적고 침전 속도도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생성에 대해서는 carrageenan의 경우가 대조구보다 좋은 발효 양상을 보였으며 2${\sim}$4일 사이에 왕성하게 일어났다. 탁주의 산도는 2일째까지 산도가 많이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적게 증가하였으며 carrageenan의 경우 대조구보다 산도가 낮게 나타났다. 알코올 발효 과정의 fusel oil의 생성이 관해서는 carrageenan을 첨가한 경우(0.046${\sim}$0.113${\mu}$l/ml의 범위) 대조구보다 1.6배${\sim}$3.2배 낮게 나타났다. 효모 생육은 carrageenan을 첨가한 경우 효모 증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탁주의 관능 평가에서는 carrageenan을 첨가한 것이 대조구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탁주의 저장 중 발생하는 이취(nasty smell)는 대조구는 저장 2일째부터, carrageenan을 첨가한 경우는 6일째부터 이취가 감지되었다. 결론적으로 탁주의 저장 중 침전과 이취의 발생 억제는 carrageenan을 첨가하므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탁주효모(濁酒酵母)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탁주료의 발효(醱酵)에 미치는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담금 조건(條件)의 영향(影響)- (Studies on Takjoo Yeasts (Part II) -Influences of Kind of Yeast Strains and Brew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of Takjoo Mash-)

  • 박윤중;이석건;오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85-93
    • /
    • 1973
  • 탁주료의 발효(醱酵)에 미치는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담금조건(條件)의 영향을 검토(檢討)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료중의 효모수(酵母數) (1) 일단료를 $20^{\circ}C$에서 $1.5{\sim}2.5$일간(日間) 발효(醱酵)시키거나 $25^{\circ}C$$30^{\circ}C$에서 $1{\sim}2$일간(日間) 발효(醱酵)시킨 경우 효모분포(酵母分布)에 있어서 탁주효모(濁酒酵母)인 strain $D_m-1$과 청주효모(淸酒酵母)인 strain No.7사이에 별(別)로 차(差)가 없었다. (2) 이단료를 고온(高溫)($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에는 저온발효(低溫醱酵)의 경우에 비(比)하여 료중의 효모수(酵母數)가 감소(減少)되었으나 탁주효모(濁酒酵母)인 strain $D_m-1$의 료중의 생존효모수(生存酵母數)는 청주효모(淸酒酵母)인 strain. No.7의 것보다 훨씬 많았다. 2.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숙성료의 성분(成分) (1) 이단료를 고온(高溫) ($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 선정(選定)한 탁주효모(濁酒酵母)(strain $D_m-1$, strain Y-1)을 使用한 숙성료의 주도(酒度)는 타효모(他酵母)(strain No.7, strain No.6, strain No.396, 및 strain No.1)를 사용(使用)한 것보다 상당(相當)히 높았다. (2) 료의 산도(酸度)는 strain $D_m-1$과 strain No.7사이에 약간 차이(差異)가 있었다. (3) 이단료를 고온(高溫) ($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 strain $D_m-1$을 사용(使用)한 료의 Formol-N는 strain No.7을 사용(使用)한것보다 상당(相當)히 적었다. 3. 담금조건(條件)과 료의 주도(酒度) (1) 밀기울국(麴)의 첨가량(添加量)은 원료(原料)에 대하여 3%가 적당(適當)하였으며 밀가루국(麴)과 혼용(混用)할때에는 밀가루국(麴) 20%, 밀기울국(麴)은 $1{\sim}2%$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적당(適當)하였다. (2) 일단료의 담금농도(濃度)를 보통(普通)것의 2배(倍)로 희석(稀釋)하여도 효모(酵母)의 증식(增殖)에 이상(異常)이 없었다. (3) 담금용수(用水) 180ml에 대하여 밀가루 $80{\sim}140g$를 사용(使用)한 경우 원료(原料)밀가루량(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료의 주도(酒度)가 대략(大略) 비례적(比例的)으로 올랐다. (4) 현행(現行)의 이단식(二段式)담금법(法)보다 삼단식(三段式)담금법(法)이 유리(有利)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전통 방법으로 제조한 소주 술덧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ju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 인혜영;이택수;이동선;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4-140
    • /
    • 1995
  • 증류식 소주를 안동소주식, 문배주식, 이강주식, 진도홍주식의 전통 방법으로 제조하여 숙성 과정 중 술덧의 pH, 총산, 환원당, 총당, ${\beta}-amylase$, 에탄올, 고형분 등의 성분을 조사하였다. 술덧이 숙성됨에 따라 에탄올은 증가 경향을 보여 발효 16일에 $8.8{\sim}11.2%$까지 증가하였다. 발효 16일 후 술덧의 알콜 함량은 덧술이 첨가된 구가 첨가되지 않은 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총산은 $0.59{\sim}1.10%$까지 증가하였으며 시험구 중 안동소주식 담금 시험구에서 가장 많았다. 총당은 감소경향을 보여 16일에 $6.76{\sim}8.94{\%}$였고 이강주식 담금 시험구가 가장 적었다. 환원당은 담금 직후에는 $6.42{\sim}0.62%$로 안동소주식 담금 시험구가 가장 많았고 발효 16일에는 $0.30{\sim}0.09%$로 감소하였으며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는 편이었다. 토고리를 변형하여 제작한 증류장치로 술덧을 증류하여 얻은 소주의 성분을 보면 에탄올 함량은 $35{\sim}40%$로 나타났고, 술덧보다 소주에서 pH가 다소 상승되었고 총산은 감소하였다. 시험구간에 이들 성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술덧 중의 당분, 고형분은 소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후숙이나 약재 통과의 소주에서는 당분, 고형분이 다소 검출되었다.

  • PDF

탁약주 제조에 있어서의 발효원 및 그의 효율적 첨가방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nzymic Sources and Method of effective Addition in Fermentation of Yack-Tack-Joo Korean liquors)

  • 이성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54
    • /
    • 1967
  • The characteristics of enzymic sources and its effective uses concerned with brewing of Yack-Tack Joo which is traditional and popular liquors for all Korean have been studied.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Kock Ja (enrich of fungi and yeast produced in Korean brewery) is found to be weak in its liquifying(600U.) and saccharifying activity(1300U.), so that it is useful to conbine two factors effectively for better brewing. 2) The additional ratio of Kok Ja per materials is seems proper at line of 20 percent for better fermentation and the enzymic preparations inoculated of microorganisms in wheat bran is seems proper at 25 percent line. 3) Adding the enzymic preperation in which the strain Rhyzopus had been inoculated to the experimental mash at 5 percent per material, the rate of fermentation was revealed highest degree than those of else. 4) It is not proper to add a single Bun Kok in fermentation, as it produce much acid in mash during brewing. 5) However, the enzymic preparation composed of Asp usami and Rhyzopus sp. produced less acid in brewing. 6) The increasing of temparature in enzymic samples, temparatures of the mixtured Kuk(Kok Ja and enzymic preparation) are higher than those of single addition at the first stage in pre-fermentation, but there are no differences at the late stage of post-fermentation. 7) Amount of amino acids in the plot of enzymic prepation are found much more than those of single use at late stage of post-fermentation. In the plot of single use of Kock Ja, the amount was the most than else, the proteinase activity is strongest more than else. 8) In the brewing of Korean Tack-Yack-Joo, it is desirable less amount of acidity, more amount of amino acid, stronger liquifaction of starch and vigorous saccharification. Thren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wo prepations(Kock Ja and Bun kok) is most effective to get moderate quality in Tack-Yack-Joo brewing.

  • PDF

XML 문서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스케치맵 시스템 (Sketch Map System using Clustering Method of XML Documents)

  • 김정숙;이야리;홍경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9-30
    • /
    • 2009
  •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지도(이하 맵)를 활용한 서비스는 맵에 접근한 후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매쉬업 형태의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맵의 재활용은 어렵다. 본 논문의 스케치맵 시스템은 기존의 대형 맵 시스템과는 달리 목적에 부합하는 특정 지점과 경로를 XML 문서로 표현한다. 또한, 스케치맵 간에 클러스터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맵에서 표현되는 지점을 최적의 내용으로 갱신한다. 그 결과로서, 목적지점에 대한 경로를 간단하게 약도로 표현하기 위해 설계된 맵 서비스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스케치 맵의 XML 문서 입력에 대하여 스케치맵 생성기에서 분석 분할 클러스터링의 과정을 통해 유효한 형태의 스케치맵을 생성한다. 스케치맵의 분할 및 병합을 위한 질의처리 방법으로는 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스케치맵 시스템에 대한 기대효과를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여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보이는 맵들이 모여 거대한 맵을 형성함으로서 새로운 검색 포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인다.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for in-feed antibiotics in the different stages of pork production - A review

  • Li, Junyo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2호
    • /
    • pp.1667-1673
    • /
    • 2017
  • Antibiotics have long been of great benefit for people, both in the medical treatment of human disease and in animal food where they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during animal production. Antibiotics as in-feed supplements affect all stages of pork production, including the gestation, nursing, growing, and finishing stages, although the effects show stage-dependent differences. However, the use of antibiotics in animal feed has become a worldwide concern. This review describes why sub-therapeutic levels of antibiotic additives in animal feed have become an integral part of animal feeding programs for more than 70 years, particularly in pork production. It also discusses the threat of the long-term use of sub-therapeutic levels of antibiotics in pork production. In recent years, the effectiveness of in-feed antibiotics has tended to decrease. This review analyzes this change from various perspectives. First, the equipment used at pig farms has improved dramatically and is more sanitary. Worldwide, more pig farms use pig farrowing crates, gestation crates, piglet nursery crates, flooring devices, piggery ventilation and cooler systems, automatic pig feeders, piggery heating equipment, and artificial insemination systems. In addition, scientists have replaced the use of antibiotics with organic acids, fermented mash, probiotics, prebiotics, minerals, oligosaccharides, enzymes, herbs/flavors, and protein/amino acids, and have improved management and husbandry techniques. In addition, animal welfare legislation has been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floors and living space, ensuring that animals have permanent access to fresh water, and setting a minimum weaning age. Finally, the prospects and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antibiotics in pork production are described, in line with recent research results.

뉴실버세대 여성을 위한 브래지어 개발 (A Study on Brassiere Development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Women)

  • 박자영;장정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29-439
    • /
    • 2015
  • This study develops a new brassiere for new silver women. A new brassiere design was developed for the silver generation based on apreliminary survey; subsequently, a wire and no-wire type of brassier were developed after a second fitting evalu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brassiere design, the cup shape was designed as mold type full cup, shoulder straps were designed as camisole type with cups, bias tape was designed for body correction in the side line and mash tape was designed for easy movement below the cups. On the other side ofthe cup shape was a pocketdesigned on a support pad forthe wire type and a support panel to serve as a wire in the no-wire type brassiere. Second, brassiere patterns were designed by referencing the educational H pattern. Thetotal length was elongated by 5cmto reduce pressure when wearing a brassiere and the height of the front center increased by 8cm for the stability of the front center of the brassiere. In addition, the side line was moved back by 3cm and the width of the brassiere wings was designed widely at 10.5cm. Third, a wearing test was conducted for the wire type and the no-wire type brassiere with comparison products, using a 7-point Likert scale. Appearance results and movement tests for the wire and no-wire type showed a higher score than comparison products.

폐압축보드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by using Wasted MDF)

  • 강양래;황진식;배기한;조훈호;이은정;조영손;남기두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73-78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bioethanol production using wasted medium density fiberboard (wMDF). In order to produce bioethanol from wood cellulosic materials must be carried out the process of pretreatment, saccharification, fermentation and distillation. First, the wMDF was pretreated using sodium chlorite and pretreated wMDF was prepared to 8% slurry and then slurry was saccharified with the commercial enzyme (Cellic CTec3). The fermentable sugar and pH of saccharified substrate were about 5.5% glucose and 4.4, respectively. Herein we compared the results of ethanol yield according to the nutrients added or without addition to increase ethanol yield. Ethanol fermentation was finished in about 24 hours, but it was delayed in experimental group without nutrients. Ethanol content and fermentation ratio of the final fermented mash prepared by utilizing jar fermenter was 25.40 g/L and 86.64%,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aximum ethanol productivity was confirmed as 1.78 g/Lh (ethanol content 21.38 g/L, 12 h), and the overall ethanol productivity was 1.05 g/Lh (ethanol content 25.27 g/L, 24 h). Using fermented liquid we could produced bioethanol 95.37% by continuous distillator packed with copper element in laboratory scale. These results show that wMDF has a potential valuable for bioethanol production.

성락원 영벽지의 원형 파악을 위한 3D 스캔기술 연구 (A Study on 3D Scan Technology for Find Archetype of Youngbeokji in Seongnagwon Garden)

  • 이원호;김동현;김재웅;박동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95-105
    • /
    • 2013
  • 본 연구는 성락원(명승 제35호) 영벽지 공간의 원형 파악을 목적으로 주변지형을 포함한 3D 정밀데이터 취득을 통해 연못부 지반의 원형 추정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벽지 석구조물에 대한 용도 및 구조를 살피는 것은 이전의 형태를 밝히는데 단서가 될 것이라 판단되며, 3D 스캔방법의 적용은 주변지형을 포함한 전체적 구조를 살피는데 용이하였다. 둘째, 실측결과, 조사대상 암반부는 남북으로 7,665mm 동서로 7,326mm의 규모를 지니며, 석구조물은 $1,665mm{\times}1,721mm$의 정방형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지름이1,664mm 반구형이며, 기단 아랫부분에는 암석이 남북 $1,006mm{\times}328mm$규모로 떨어져 나간 흔적이 발견되었다. 셋째, 영벽지 내부의 지형을 기록함에 있어 다중해상도 방식을 사용하여 광대역스캐너를 이용한 스캔작업 후 스캔데이터를 정합하여 Polygon Data로의 변환과정을 거친 후, 이를 정밀스캔데이터와 병합하여 메쉬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해상도 사진과 3차원 지형데이터를 오버랩하여 작성하였다. 넷째, 이 작업의 결과로 석구조물 서측에 회유하는 경사진 암반부 물길이를 확인되었으며, 방지원도형의 석지로 추정되는 수경시설물의 하부구조가 확인되어 암반부에 인공적으로 음각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960년대 이전의 지형과 상황을 비교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생성하였다. 더불어 입체적 정밀실측데이터의 취득과 함께 발굴 당시의 원형을 디지털상에서 영구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이 데이터는 다양한 전문가의 고증을 거쳐 영벽지 석구조물의 용도 및 보존관리방안을 수립할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금번 연구에서 밝혀진 3D 실측의 용이성이 정원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병아리에서 단백질의 생물적 이용성과 요중질소 화합물의 배설에 미치는 비단백태질소의 영향 (Effect of Non- Protein Nitrogen on the Biological Utilization of Protein and the Excre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in Chicks)

  • 고태송;김영범;서인준;남기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4
    • /
    • 1985
  • 비단백태질소가 단백질의 생물적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단백 혹은 단백질사료에 0, 0.5, 1.0 및 1.5%의 요소가 각각 첨가되었다. 갓 부화한 단관백색 레그혼 숫병아리에 8주간 병아리용 시판사료를 급여하고 6일간을 무단백사료 다음 6일간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무단백사료 급여시에는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료섭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체중감소량은 서로 비슷하였다. 단백질사료를 급여하였을 때는 증체량과 사료소비량은 요소첨가에 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사료요구율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이용효율(PER)과 정미단백가(NPR)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단백사료를 급여한 것에서 증가하나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것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요산태질소의 배설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단백사료를 급여하면 특별한 경향은 없었으나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것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크레아틴태질소의 배설은 요소첨가의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암모니아태질소의 배설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단백사료를 급여했을 때는 증가하는 경향이, 단백질사료를 급여했을대는 특별한 경향이 없었다. 한편 요소태질소의 배설은 무단밸 및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것에서 요소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무단백사료를 급여한 병아리의 질소밸런스는 부의 값이었으나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것의 질소밸런스와 요중질소배설량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분중 배설량질소량은 특별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무단백사료에 첨가된 요소질소의 소화율은 요소첨가률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생물가(BV)와 정미단백질이용율(NPC)은 1.5%의 요소가 첨가되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병아리에서는 단백질의 소화율, BV 및 VPU가 0.5%의 요소가 첨가되었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