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3D Scan Technology for Find Archetype of Youngbeokji in Seongnagwon Garden

성락원 영벽지의 원형 파악을 위한 3D 스캔기술 연구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on circular identifying purposes was performed of Youngbeokji space located in Seongnagwon(Scenic Sites No.35).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of 3D high precision, such as the surrounding terrain of the Youngbeokji.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purpose of the stone structures and structure within the Youngbeokji search is an important clue to find that earlier era will be a prototype. 3D scan method of enforcement is searching the whole structure, including the surrounding terrain and having the easy way. Secon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as follows. Department of bedrock surveyed from South to North was measured by 7,665mm. From East to West was measured at 7,326mm. The size of the stone structures, $1,665mm{\times}1,721mm$ in the form of a square. Its interior has a diameter of 1, 664mm of hemispherical form.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ck masses in the South to the North, has fallen out of the $1,006mm{\times}328mm$ scale traces were discovered. Third, the Youngbeokji recorded in the internal terrain Multiresolution approach. After working with the scanner and scan using the scan data, broadband, to merge. Polygon Data conversion to process was conducted and mash as fine scan data are converted to process data. High resolution photos obtained through the creation of 3D terrain data overlap and the final result. Fourthly, as a result of this action, stone structure West of the waterway back outgoing times oil was confirmed. Bangjiwondo is estimated to be seokji of structure hydroponic facility confirmed will artificially carved in the bedrock. As a result of this and the previous situation of the 1960s could compare data was created. This study provides 3D precision ordnance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data. Excavations at the circle was able to preserve in perpetuity as digital data. In the future, this data is welcome to take a wide variety of professionals. This is the purpose of this is to establish foundations and conservation management measures will be used. In addition, The new ease of how future research and 3D scan unveiled in the garden has been used in the study expect.

본 연구는 성락원(명승 제35호) 영벽지 공간의 원형 파악을 목적으로 주변지형을 포함한 3D 정밀데이터 취득을 통해 연못부 지반의 원형 추정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벽지 석구조물에 대한 용도 및 구조를 살피는 것은 이전의 형태를 밝히는데 단서가 될 것이라 판단되며, 3D 스캔방법의 적용은 주변지형을 포함한 전체적 구조를 살피는데 용이하였다. 둘째, 실측결과, 조사대상 암반부는 남북으로 7,665mm 동서로 7,326mm의 규모를 지니며, 석구조물은 $1,665mm{\times}1,721mm$의 정방형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지름이1,664mm 반구형이며, 기단 아랫부분에는 암석이 남북 $1,006mm{\times}328mm$규모로 떨어져 나간 흔적이 발견되었다. 셋째, 영벽지 내부의 지형을 기록함에 있어 다중해상도 방식을 사용하여 광대역스캐너를 이용한 스캔작업 후 스캔데이터를 정합하여 Polygon Data로의 변환과정을 거친 후, 이를 정밀스캔데이터와 병합하여 메쉬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해상도 사진과 3차원 지형데이터를 오버랩하여 작성하였다. 넷째, 이 작업의 결과로 석구조물 서측에 회유하는 경사진 암반부 물길이를 확인되었으며, 방지원도형의 석지로 추정되는 수경시설물의 하부구조가 확인되어 암반부에 인공적으로 음각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960년대 이전의 지형과 상황을 비교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생성하였다. 더불어 입체적 정밀실측데이터의 취득과 함께 발굴 당시의 원형을 디지털상에서 영구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이 데이터는 다양한 전문가의 고증을 거쳐 영벽지 석구조물의 용도 및 보존관리방안을 수립할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금번 연구에서 밝혀진 3D 실측의 용이성이 정원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봉, 윤선희, 박동진, 이원호, 김효정, 공달용, 김태식, 정종수(2007). 천연기념물 노거수 3D 정밀 실측 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01-110.
  2. 박동진, 윤동훈, 심현용(2008). 3D 스캔을 이용한 비석의 모형제작연구. 경주문화연구. 10: 19-36.
  3. 박선미, 남윤자(2012).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의 정확도 검증에 관한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1): 81-96.
  4. 박소연(2010). 고구려 고분벽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지. 8(1): 38-44.
  5. 박찬석, 전병호(2004). 정림사지오층석탑 3차원 디지털 복원. 한국콘텐츠학회 2004 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12: 549-552.
  6. 신성모(2005). 3D Laser Scanner를 이용한 암반사면 불연속면 분석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안재홍, 공달용, 원광연(2013). 문화 및 자연 유산의 해석을 위한 3차원스캔 모델의 가시화. 한국HCI학회논문지. 8(1): 19-28.
  8. 연웅, 임형진, 김윤수, 오성환, 이정엽, 안태욱, 김광희, 나정희, 홍혜진, 이유안(2005). 중요 동산 문화재 입체 영상화(3D) 사업 결과 보고서. 서울: 예맥출판사.
  9. 원광연, 김정률, 안재홍, 박진호(2008). 천연기념물 공룡발자국 3D 기록보고서(2차).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10. 이원호(2012). 명승 제35호 성락원(城樂園)의 경관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1): 1-11.
  11. 이정현(2001). 문화재 3차원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구축. Cad and Graphics. 2001(12): 54-57.
  12. 임지영, 이해영(2012). 가상착의를 활용한 한복 저고리 원형설계의 기초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4); 607-613.
  13. 조영훈, 이찬희(2009). 석조문화재 디지털복원 및 구조안정성 평가를 위한 3차원 영상분석. 보존과학학회지. 25(2): 115-130.
  14. 장경수(2004). 3D Scanning System을 이용한 문화재디지털복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정일, 조진수, 황보택근(2008). 문화재의 3D 스캔 데이터로부터 도면을 생성하기 위한 자동화된 실루엣 추출 방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12): 10-19.
  16. 한정식, 서만철(2003). 사진을 이용한 도전리 마애불 3D Modeling. 문화재과학기술. 2: 65-72.
  17. Sturzenegger, M. and D. Stead(2009). Close-range terrestrial digital photogrammetry and terrestrial laser scanning for discontinuity characterization on rock cuts. Engineering Geology. 106: 163-182. https://doi.org/10.1016/j.enggeo.2009.03.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