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lderly not living alon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 (Cognitive Impairment and Risk Factors among Elderly Persons Aged 60 or More in Korea)

  • 김혜령;양미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50-46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gnitive impairment and risk factors among elderly persons aged 60 or more in Korea using raw data from the 2008 Elderly Survey: Basic Analysis Report of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Survey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raw data obtained from 13,335 subjects representing elderly persons aged 60 or more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Results: Th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 was found to be 22.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ecame more prevalent with increased aged. In addition elderly subjects with the following factors showed increased cognitive impairment: mails; underweight; slept well for 3 to 4 days per week at most; lack of high intensity physical activity; Eub/Myoun area; did not live alone; did not graduate from high school; un-employed; lack of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nd not computer/Internet savvy.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cognitive impairment and risk factors among elderly persons aged 60 or more in Korea using samples representing elderly persons aged 60 or more throughout the country.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노인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the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 박경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283-307
    • /
    • 2003
  • 우리나라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은 매우 저조하고 서비스가 각기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중복과 누락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 노인들 전수를 대상으로 노인들이 어떠한 서비스기관으로부터 어떠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기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중복 문제보다는 낮은 서비스이용률이 더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비교적 욕구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외 귀속요인과 자원요인도 중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나타나, 사회복지서비스확충과 지역별 균형의 달성, 서비스 연계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Impact of the Cohabitation Status of Elderly on Nutrient Intake and the Prevalence of Anemia :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KIM, Yunmi;LEE, Jiwon;CHUNG, Donghui;YOUN, Yerim;JEON, Kyoung Mi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7-1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ent intake of elderly according to their cohabitation status and determine its effects on the prevalence of anemia. Data from the KNHANES were used for this study, including raw data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health status, and clinical laboratory findings. Study subjects aged 60 to 80 years were retriev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prevalence of anemia was 12.0% (men, 11.6%; women, 12.3%). The prevalence rate increased with age, and odds ratio [OR] of anemia among those aged 75 to 80 years was 4.16 times higher in men (OR=4.16, 95% confidence interval [CI]=2.48-6.97) and 2.77 times higher in women (OR=2.77, 95% CI=1.86-4.14) compared to 60~64 years old. Socioeconomic factors (area of residenc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including cohabitation Status (living alone VS living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health behaviors (high-risk drinking, smoking, aerobic exercise)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on anemia. In addition, other than protein intake for men, nutrient intak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valence rate of anemia. Hypertension, diabetes, and canc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anemia. In Korea, the influencing factors of elderly anemia change over time, so periodic follow-up studies are needed.

자살위기를 벗어난 여성독거노인의 회복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covery Proces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Suicide Crisis)

  • 임종린;김종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04-3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이 자살위기에서 벗어난 경험과 회복과정을 연구하여 참여자들이 회복으로서의 인생의 본질적 의미와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또한 변화된 생각과 인생에 대한 현상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료분석을 통해 4개의 구성요소와 8개의 하위구성요소, 16개의 의미단위 축약이 도출되었다.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시도와 회복 경험의 구성요소는 4개로 단절과 불통, 거듭되는 시련, 곤경 속의 형통의 길, 너그러운 포용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의 본질적인 주제는 참여자들의 삶에서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각각의 주제가 전체적 맥락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결과를 정리해보면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시도와 회복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역기능적인 사회구조와 환경의 결과물로 인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괴롭게 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적 대안으로 자살이라는 극단적 실행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으나, 자살실패를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인지된 내면의 회복요인들이 다시 살아갈 수 있는 긍정적 에너지가 되었다. 이러한 전환된 시각이 힘든 현실에 맞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연구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 문지현;김다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4-54
    • /
    • 2018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원자료에서 분류하여 총 824명 독거노인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영역 중에서 연령, 소득, 교육수준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성별과 결혼상태, 그리고 직업의 유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개인적 차원의 변인에서는 주관적 건강, 운동 실천정도, 종교모임과 사회단체 활동 빈도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 간 차원의 영역으로 지역주민과의 관계를 본 결과, 지역주민을 돕는 빈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을 신뢰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도움을 받는 정도는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환경 차원의 변인으로 편의시설의 만족도를 본 결과, 생활문화 기반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다차원적인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프로그램개발, 정책 및 제도 개선 등을 할 것을 제언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독거노인의 개인적, 개인 간 차원의 중재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 조성도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실시간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Care System Using Real-time Object Tracking Technology)

  • 김혜정;강민구;이혜규;고동범;김정준;박정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43-250
    • /
    • 2018
  • 본 논문은 독거노인을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최근 의학, 생활수준, 환경의 급속한 개선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증가하는 독거노인 비율은 노인 케어 시스템, 응급 상황 알림과 같은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기존의 응급상황알림을 위한 기술들은 고정된 CCTV 영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CCTV 사각지대에서의 모니터링에 대한 어려움과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로 이동하는 등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활동을 할 경우 실시간으로 케어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로봇과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응급상황시 빠르게 도움을 요청해 보호자 및 도우미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Demand for Long-Term Care)

  • 정완교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1호
    • /
    • pp.139-167
    • /
    • 2009
  • 본 논문은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수와 노인들의 건강상태 등만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 더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제2차 시범사업의 자료를 이용한 계량분석을 통해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상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험 적용 대상자를 정하는 등급판정에 일상생활활동에서의 장애가 노인들이 많이 앓고 있는 고혈압, 관절염, 치매 등의 질환을 통제하고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노인들의 건강상태, 여성,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노인가구 형태,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 등이 장기요양서비스이용 및 이용 양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을 통제하고서도 장기요양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생활수급 대상 노인들의 재가서비스 이용확률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소득과 더불어 장기요양서비스의 가격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 PDF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versus radiotherapy alone for elderly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positive margins, lymph nodes, or parametrial invasion

  • Cushman, Taylor R.;Haque, Waqar;Menon, Hari;Rusthoven, Chad G.;Butler, E. Brian;Teh, Bin S.;Verma, Vivek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
    • 제29권6호
    • /
    • pp.97.1-97.12
    • /
    • 2018
  • Objective: Women with cervical cancer (CC) found to have positive surgical margins, positive lymph nodes, and/or parametrial invasion receive a survival benefit from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vs. radiation therapy (RT) alone. However, older women may not benefit to the same extent, as they are at increased risk of death from non-oncologic causes as well as toxicities from oncologic treatments.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whether there was a survival benefit of CRT over RT in elderly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Methods: The National Cancer Database was queried for patients ${\geq}70$ years old with newly diagnosed IA2, IB, or IIA CC and positive margins, parametrial invasion, and/or positive nodes on surgical resection. Statistics included logistic regression, Kaplan-Meier overall survival (OS),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ing analyses. Results: Altogether, 166 patients met inclusion criteria; 62 (37%) underwent postoperative RT and 104 (63%) underwent postoperative CRT. Younger patients and those living in areas of higher income were less likely to receive CRT, while parametrial invasion and nodal involvement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likelihood (p<0.05 for all). There were no OS differences by treatment type. Subgroup analysis by number of risk factors, as well as each of the 3 risk factors separately, also did not reveal any OS differences between cohorts. Conclusion: In the largest such study to date, older women with postoperative risk factor(s) receiving RT alone experienced similar survival as those undergoing CRT. Although causation is not implied, careful patient selection is paramount to balance treatment-related toxicity risks with theoretical outcome benefits.

순창군 장수인의 영양소 섭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식행동 인자 (Dietary Behavior Factors for Desirable Nutrient Intakes of the Oldest-old Population in Sunchang County)

  • 이미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99-709
    • /
    • 2009
  • In order to identify valuable factors for improving dietary quality of Korean rural elderly,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food groups, dietary habits and health behaviors related to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over 85 of Sunchang County were studied. The 171 subjects (61 males and 110 females) were chosen from Sunchang Province by stratified sampling. Among food groups,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meat and fish groups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ir nutrient intakes than the other groups. The subjects consuming more than 4 times per week of meat or fish had significantly higher nutrient intakes level than the other groups. The group consuming milk and milk products everday was higher in vitamin $B_2$ intake level than the other groups. Among dietary habits, the groups with good appetite and regular mealtime compared with the groups with low appetite and irregular mealtime had significantly higher nutrient intake levels. The family type was the determining factor of nutrient intakes. The subjects living with family members consumed higher nutrient intakes than the subjects living alone. The smoking and the alcohol consumption themselves did not affect nutrient intakes, but the subjects having alcohol consumption frequently more than once a day had lower nutrient intakes than the others. The group with dentu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without denture group in nutrient intakes; however, those who had chewing problems showed the lower nutrient intak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have chewing problems. The subjects with more than two kinds of clinical symptoms had lower nutrient intakes than the subjects with less than two kinds of clinical sympto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dentifying factors for desirable nutrient intakes of rural elderly were characterized as appropriate consumption frequencies of meat and fish, good appetite, living with family, regular mealtime, chewing without difficulty, and low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허약수준,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 (Quality of Life, Frailty and Depression in Elderly in Rural Area)

  • 강희경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ealth-related factors, especially for the elderly who are subject to visiting health care at vulnerable populations. Methods: Tools were Guide to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2016, Visit Health Care Health Interview Survey, measures of physical function, motor skills, composite mobility, BMI, and subjective fitness levels. Depression was measured with the Short Results: Older elders living alone were more vulnerable than those with living others. Elders with less education showed greater weaknes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verage scores for frailty were 2.21 (healthy group), 7.66 (high-risk group) and 15.69 (frail group). Scores based on weakness level differed significantly with the exception of nutrition. Nine out of 10 elders in disadvantaged areas were in the frail group or at high risk. Conclusion: Results support the goal to maintain/improve physical/mental functions through individual management of high-risk/frail older adults at risk of becoming infirm. It is imperative to implement a public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o ensure programs are operated effectively and persona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