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cademic achievement

검색결과 1,592건 처리시간 0.027초

의대생들의 성적과 학업동기 및 다중지능의 관계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arning Motiv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edical School Students)

  • 류숙희;이혜범;전우택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1호
    • /
    • pp.46-5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medica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were 144 medica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ering learning motivation tests (self-confidence, self-efficacy, level of task, emotion of learning, learning behavior, failure tolerance, task difficulty, and academic self-efficacy), a multiple intelligence test (linguistic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ic intelligence), and two semesters of grade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learning motivation. Among academic self-efficacy of academic motivation, the self-control efficacy (0.28) and behavior (0.18) subscales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emotion subscale (-0.18)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Learning motivation was correlated with two of the eight multiple intelligence profiles: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0.18)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0.19).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behavior and self-control efficacy subscale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d an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 efficacy and emotion subscales with intrapersonal intelligence. A positive relationship can be observed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som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 of medical school students. In light of the findings, it is worth examining whether we can control medica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self-control efficacy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업 및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on Life Competencies)

  • 이현주;정수경;김명자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2-7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academic and English achievement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in university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ree main competencies on their academic and English achieve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health care related major at a four-year university in D-cit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ome of their data were intentionally excluded as their answers were incomplete or missing and finally 272 surveys were analyz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y have high level of general life competencies of which the subcategories are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GPA and TOEIC score which are the indicators of academic and English achievement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three competencie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s assumed to be main cause variable of these achievement. Conclusion: As those students who have higher academic and English achievement also show high level of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t is argued that a new curriculum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e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 PDF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과학 과목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s Analysis of Gender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 주영주;정영란;이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76-886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서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및 성취도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및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06의 한국 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평균 비교 및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집단 분석의 잠재평균 비교 결과, 남학생을 참조집단으로 삼았을 때 여학생들의 잠재평균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 동기는 흥미에 영향을 미쳤고, 학업성취도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흥미 증진 및 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동기 진작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수학 선행학습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Gifted Students'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Focused on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University-)

  • 한지선;박형빈;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7-112
    • /
    • 2013
  • 현재 우리나라에는 영재교육을 받기 위하여 사교육과 선행학습을 받고 있는 기형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영재교육원 입학 이전의 수학 선행학습이 입학 이후의 영재교육원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선행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영재교육원 학생들의 수학 선행학습 기간이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영재교육원 학생들의 수학 선행학습 기간은 성취동기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행학습기간과 학업성취도, 선행학습기간과 성취동기, 성취동기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거의 없었으나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PDF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Media Literacy and Ego-Resili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Radiologic Science(Technology) Students)

  • 나길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83-69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상황의 연속에 있는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방사선(학)과 학생들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조사하여 188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 자아탄력성, 학업성취도에 대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Pearson's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업성취도는 3.43점,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은 2.94점, 자아탄력성은 3.37점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와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 학업성취도와 자아탄력성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 자아탄력성의 향상을 위한 교과 또는 비교과 활동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며 더불어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한 모색 또한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업성취도 예측 시스템: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Learning Ability Prediction System for Developing Competence Ba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Case of D-University)

  • 김성국;오창헌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67-277
    • /
    • 2022
  •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란 대학교육을 통한 결과로서 학생들이 구현한 질적 변화와 발달의 수준이라는 포괄적 의미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창의성, 리더십, 글로벌 역량 등 다양한 인재상에 대한 시대적, 사회적 요구와 연계되어 그 의미를 부여하게 되지만 실질적으로 대학교육의 성과지표로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학점으로 귀결 되고 있다. 이러한 학점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측정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평가 방식과 내용 그리고 대학의 서열화 효과 등에 의해 학점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표준화는 매우 어려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D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의 우수 여부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사용된 변수는 일부 개인정보와 졸업연도, 학번, 학과명, 계열명 등의 학사 정보 등 최대 96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나 개인정보나 학과정보 등은 이미 결정되어 노력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데이터이므로 분석 대상이 될 항목은 이미 결정된 데이터를 제외한 학과별/학생별 역량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권 소재 전문대학인 D대학의 미션, 비전, 교육목표 및 인재상 등이 반영된 핵심역량의 분석을 통해 학업 성취도 예측시스템을 구현해 보고, 해당 시스템의 도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예측하기위해 진행되었다. 향후 연구결과를 학과에서 진행되는 교육과정 수립 및 학생 지도 등에 적용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STAD학습에서 복합보상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omplex Reward in STA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 김선수;최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101-109
    • /
    • 2002
  • A cooperative teaming has been taken to consolidate the autonomous motivation of students and to develop a desirable attitude in a mutual cooperative atmosphere. Some studies on the reward effect showed that the reward after the evaluation, in the processes of cooperative learning, worked on students' learning motive directly, and the group reward was effective in learning attitude and the individual reward in academic achievement, respectively. Assuming that the group reward and the individual reward are organized and applied as a complex reward, the effects of rewards will appea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omplex rewar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eaming attitude. For this study. 2 classes were randomly selected out of a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and the teaming unit was based on chapter 4「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in the 5-1 elementary Science textbook. This research has been done for 4 weeks after the students learned STAD for 8 weeks previously. The learning attitude was examined in pre and post test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inspected twice at 2-week intervals after the pre test. The results were analysized by the SAS program In the case of academic achievement,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p<.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irst tes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5), but after 4 weeks, i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cond tes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5). From this result, it is identified that the reward should be done for a long time and the individual reward of the complex reward is successful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 the case of learning attitud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both groups(p>.05).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p<.05).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indicated that the group reward only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attitude and complex reward can decrease the individual competition in experimental group.

  • PDF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수진;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31-938
    • /
    • 2015
  •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식론적 신념은 과학 탐구 능력과 메타인지를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메타인지는 과학 탐구 능력을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과학 탐구 능력이 가장 컸고, 간접적인 영향력은 인식론적 신념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고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 탐구 능력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학업성취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식론적 신념과 메타인지에 대해서도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식론적 신념과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e Stydy on the Impact of School Libraries on Academic Achievement)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3-71
    • /
    • 2003
  • 본고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연구 영역을 설정하여 대표적인 관련 논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하는 메타 연구 방법론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였다. 본고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연구 영역, 연구 방법, 통계 기법, 우리나라에 적합한 연구 탐색 등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학교도서관이 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밝히는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유학 분야의 석. 박사 논문 등 학술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우리나라에서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과학적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수행, 학업성취, 전공실습결정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 김영숙;김명순;조원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6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 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with 244 students from G. junior nursing college that will adapt a new majoring program of clinical nursing practice funded by Ministry of human and resources develop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udents were relatively performed well in clinical practice setting (total M :3.78). The item of student's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patient's family, and professional staff showed high score (M=3.96). However students did not feel comfortable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patient's family and professional staffs in clinical setting(mean=3.56). 2. Students who had experiences of temporal absence from scho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Students who entered to nursing school with self-motive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 of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self-efficacy, and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r=.512, p<.000). And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r=.377, p<.000).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r=.567, p<.000), and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r=.441, p<.000)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lso 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reveled a significant correlation(r=.129, p<.05) bu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4.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nd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also identified a significant relation(r=.498, p<.000). 5. Self-esteem and self-efficacy variables predicte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nd explained 37.7% of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6. Aptitude and personal interests(m=4.07) reveled important factor affecting to select majoring area in clinical practice, and advice from parents reflected low percentage on selecting places(m=2.42). In conclusion, the variable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variables of student's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Thus it is recommended that student's affective domain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should be developed by nursing intervention before clinical nursing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