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unar New Year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초

한·중·일 정월 세시의례의 종교적 성격과 구조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New Year's Rites During January in Korea, China, and Japan)

  • 김덕묵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4호
    • /
    • pp.110-130
    • /
    • 2023
  • 정월 세시의례는 지난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여 그해의 안녕을 비는 종교적 기능을 수행한다. 일본에서는 12월 중순이 되면 도시가미를 맞이하기 위한 가도마츠(門松)와 시메나와가자리(しめなわ飾り), 정초에 먹을 오세치요리를 준비한다. 새해가 열리면 신사에 가서 하쓰모데(初詣)를 한다. 정월 보름에는 돈도야키를 하여 정월에 사용한 장식물과 지난해에 사용한 부적이나 액막이 물건을 전부 태워 보낸다. 한국에서도 설이 다가오면 차례준비를 하고 섣달그믐에는 집안을 깨끗이 하고 가까이 사는 어른들에게는 감사의 뜻으로 묵은세배를 드린다. 새해 첫날 차례를 지내며 정초에서 보름까지 지신밟기, 달집태우기 등 많은 세시의례가 있다. 중국에서는 제야에 온 가족이 둘러앉아서 먹는 단원반(團圓飯)이 중요하다. 환하게 불을 밝히며 밤을 새며(守歲), 문밖에서는 폭죽소리가 요란하다. 문에는 춘련을 붙이며 새해에는 번창하기를 기원한다. 중국에서는 정월 초하루에 폭죽을 터뜨리며 요란하게 보내지만 한국과 일본은 대보름에 달집태우기와 돈도야끼를 시끌벅적하게 한다. 사계절의 순환에 따른 생업과 제의력에 기초하여 매년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세시의례에서 정월은 비중이 높다. 정월은 1년의 시작으로 그해의 안녕과 풍요를 염원하는 갖가지 의례가 행해진다. 또한 정월 세시의례에는 민간신앙적 세계관이 잘 내포되어 있어 한·중·일 세시의례에 내포된 종교적 성격과 구조를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다. 본 연구는 한·중·일 정월 세시의례의 현황과 정월 속에서도 어떤 변곡점에 맞물려 세시의례가 구조화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신, 예축과 풍요의 기원, 액막이와 축귀, 건강과 복 기원의 측면에서 종교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한·중·일 3국의 정월 세시의례에는 샤머니즘과 농경신앙, 조상숭배, 신도, 도교, 유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적 배경이 보이며 유무(有無)나 정도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 거주 한인들의 전통음식에 관한 인식조사(I);이용실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 -Actual State of Utiliz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 변재옥;한재숙;박경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0-7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Korean Americans residing in L.A. area and to provide come policies, to improve their attitud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The proper period preparing traditional foods was the occasion of family events(47.0% )and Korean festivals(40.8%). Festival foods were prepared in Sulnal( =New Year's Day), Chusok( =the Korean Thanksgiving Day), Daeborum( =the 15th of January by the lunar calendar), Dongji( =the winter solstice) and Tano( =the 5th day of the 5th by lunar month), respectively. Sixty five percent of all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wish to hand down the cooking methods of traditional foods. However, only28.6% of the respondents at their twenties replied positively on this matter. To maintain and develop traditional foods abroad, it is necessary that older generations sometimes offer opportunities to meet with them to the coming korean generations to taste traditional foods and that Korean food companies establish special selling agencies abroad and export standardized traditional foods. And furthermore, if tourism corporations and cooking schools hold a food exhibition and or a food-tasting party, occasionally, in conjunction with the embassies and legations abroad,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foods will increase.

  • PDF

사회적 통합과 자살: 연휴가 자살자수 감소에 미치는 영향 (Social Integration and Suicide: The Effects of Holidays on a Decrease in Suicide)

  • 한승용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165-194
    • /
    • 2008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사회적 통합이 평소에 비해 강해질 것으로 생각되는 특정 연휴기간에 자살자수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0-2005년 사망원인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연휴인 신정, 구정, 추석, 성탄절 등을 연구의 대상이 되는 연휴로 설정하고 일별 자살자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휴 이전 3일과 연휴 당일에는 자살자수의 감소가, 연휴 이후 3일에는 자살자수의 증가가 나타날 것이라는 기본가설을 설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혼인상태별, 연령별 자살양상의 차이를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휴기간의 자살자수 감소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혼인상태에 따른 자살양상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고령자 집단에서 연휴기간 자살자수 감소양상이 명확히 나타난다. 단, 성탄절에는 젊은 연령대의 자살자수 감소가, 높은 연령대의 자살자수 증가가 나타난다. 넷째, 성탄절 이후의 자살자수 감소는 혼인상태 및 연령과 관계없이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증대된 사회적 통합이 자살을 방지하지만, 사회적 통합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세대에 따라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갑오 재동 제물정례책(甲午 齋洞 祭物定例冊)」에 기록된 복온공주의 다례를 통해 살펴본 궁중음식 고찰 (Analytical Review of Korean Royal Cuisine as Viewed through the Darye for Princess Bokon and Recorded in Gabo Jaedong Jemuljeongnyechaek)

  • 이소영;한복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95-50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bo Jaedong Jemuljeongnyechaek, which is the recording of the darye executed over a period of a year in 1834 ($34^{th}$ year of reign by King Sunjo)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wo years after the death of Princess Bokon, the $2^{nd}$ daughter of King Sunjo. Accordingly, we examined the types of darye (tea ceremon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foods at ancestral rites of the royal families of Joseon. Moreover, we also analyzed the cook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food terminologies used in the darye. This includes 39 categories of food and ingredients used for tea ceremonies held for one year, on behalf of the deceased Princess Bokon in 1834. The darye for the monthly national holiday was held along with the darye on the $1^{st}$ and the $15^{th}$ day of every month. The darye for rising up and the birthday darye were held on May $12^{th}$ and October $26^{th}$ of the lunar calendar, being the anniversaries of the death and the birth of Princess Bokon, respectively. The birthday darye and the darye for New Year's Day, Hansik ($105^{th}$ day after winter solstice), Dano ($5^{th}$ day of the $5^{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nd Thanksgiving "Chuseok" were held in the palace and at the burial site of the Princess. During the darye for rising up in May and the Thanksgiving darye at the burial site in August, rituals offering meals to the deceased were also performed. The birthday darye at the burial site of Princess Bokon featured the most extensive range of foods offered, with a total of 33 dishes. Foods ranging 13~25 dishes were offered at the national holiday darye, while the darye on the $1^{st}$ and the $15^{th}$ of the month included 9~11 food preparations, making them more simplified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of foods offered at the ceremony, in comparison to the national holiday darye. The dishes were composed of ddeok, jogwa, silgea, hwachae, foods such as tang, jeok, jjim, hoe, and sikhae, and grain-based foods such as myeon, mandu, and juk. Foods offered at the burial site darye included 12~13 dishes comprising ban, tang, jochi, namul, chimchae, and jang. Meals offered at the darye had a composition similar to that of the daily royal table (sura). Darye recorded in the Jemuljeongnyechaek displayed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al foods of Korea. Jemuljeongnyechaek has detailed recordings of the materials, quantities, and prices of the materials required for preparations of the darye. It is quite certain that Jemuljeongnyechaek would have functioned as an essential reference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and preparing the food materials for the darye, that were repeated quite frequently at the time.

연휴에 대한 전력 수요예측 (Load Forecasting for Lunar New Year's Day and Korean Thanks-Giving Day)

  • 구본석;백영식;송경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256-258
    • /
    • 2001
  • 전력 계통의 운용 계획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수요예측 기법의 최대 오차는 특수일이 토요일과 월요일인 경우와 연휴인 경우에 발생한다. 이 중 특수일이 토요일과 월요일인 경우는 퍼지 선형회귀분석법과 상대계수법을 이용하여 우수한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구정과 추석은 특수일 중 평일과의 부하 차이가 가장 큰 특수일이며 약 $45{\sim}50%$ 정도가 감소된다. 이러한 부하의 감소 폭은 서서히 줄어서 연휴 당일 4일 후에는 완전히 복구가 되며 연휴 전 부하가 낮아지는 시점은 연휴 당일 3일 전이다. 연휴 예측의 불확실성은 연휴 기간의 길이 변동 및 기타 다양한 변수들에 의한 유동성에 기인한다. 특히 추석의 경우 과거 데이터 이용에 더욱 신중해야 하며 타 특수일에 비해 부하 값의 예측이 힘들다. 또한 직전 평일 대비 추석 연휴의 부하는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며 본 논문에서는 퍼지 선형회귀분석법을 기본으로 변형된 알고리즘으로 향상된 예측도를 제시한다.

  • PDF

한국형 X11ARIMA 프로시져에 관한 연구 (X11ARIMA Procedure)

  • 박유성;최현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2호
    • /
    • pp.335-350
    • /
    • 1998
  • X11ARIMA는 1965년 미국 센서스국에서 개발된 X11분석 방법에 기초한 시계열 분석방법으로 Dagum(1975)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기법은 Dagum(1988)에 의하여 북미지역의 174개의 경제지수를 바탕으로 일부 기본모형이 수정·보완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회귀 모형과 ARIMA모형을 동시에 고려하여 특이치와 추세 변환효과(outlier arid Trend-change effects), 계절변동(seasonal effect), 그리고 달력효과(calendal effect) 등을 추정한 William 등(1995)과 Chen과 Findley(1995)의 X12ARIMA분석 방법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위의 모든 기법들은 주로 북미지역의 경제지수를 기초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업중분류에서 산출되는 102개(생산(27), 출하(27), 재고(27), 가동률(21))의 지수에 대한 우리나라의 표준 ARIMA모형을 제시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이동평균항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설, 추석 등의 명절효과를 태양력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X12ARIMA에서 사용되는 회귀모형과 ARIMA모형을 동시에 고려하는 명절효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PDF

홍만선의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 본 조경식물 재배(종수법(種樹法))와 가꾸기(양화법(養花法)) (A Study on the Planting and Cultivate of Hong Man-Seon(1643~1715)'s 'Salimkyungjae (山林經濟, The Economy of Forest)')

  • 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8-43
    • /
    • 2011
  • 우리나라 최초의 농업과학기술 종합교본으로 평가되고 있는 홍만선(洪萬選 : 1643~1715년)의 편저, '산림경제'를 대상으로 추적한 조경 식물 관련 재배(종수(種樹))와 가꾸기(양화(養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은 벼슬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즐기는 것이고, '산림경제'는 의향에 따라 꽃과 나무를 심고 새와 물고기를 기르는 것인데, 10년 계획으로 알맞은 나무를 심으면 봄에는 꽃을 볼 수 있고 여름에는 그늘을 즐길 수 있으며, 가을에는 열매를 먹을 수 있고 자산을 늘리는 방법임을 역설하고 있다. 특히, 꽃과 나무를 가꾸고 재배하기 위해서는 생태적인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에 등장하는 식물의 출현 종은 초기에 비해 중기 이후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한데, '산림경제'에서 그 증가 경향을 추적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술된 52종의 성상은 교목 31종, 관목 8종, 기타 3종, 초본 10종으로 분석되어 교목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28종에 이르는 유실수 등 이용후생의 경향이 표출된다. 셋째, 식목 길일은 음력으로 정월이 가장 좋고(상시(上時)) 2월이 차선이며 3월이 가장 나쁜 시기(하시(下時))임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식에는 숙토를 많이 붙여 분 뜨기 하고, 남쪽 가지를 원래 방향에 맞춰 심으며, 묻혔던 높이만큼 복토하여 버팀목을 세워야 함을 설명하였다. 또한, 1치 정도 깊이로 씨를 심으면 새순이 잘 나고, 꺾꽂이는 3월 상순에 손가락 굵기 만한 것을 골라 5치 길이로 심는 것이 좋다 하였다. 접붙이기는 싹이 틀 때가 좋고, 과일나무를 접붙일 때 남쪽으로 뻗은 가지를 쓰면 열매가 많이 달리며, 정월에 곁가지들을 전정하면 힘이 갈리지 않고 열매가 탐스러우며 굵어진다 하였다. 특히, 식재 적기를 음력 정월로 기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오늘날 식재 적기 판단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하겠다. 넷째, 꽃나무 가꾸기와 관련하여 분재는 정월이나 2월 거름흙을 주고 옮겨 심거나 씨를 뿌리는데, 꽃망울이 맺히면 거름 물을 주어 3~4월에 분을 올리는 것을 권장하였다. 말똥을 물에 섞어 꽃나무에 주면 일찍 꽃이 피고, 붉은 꽃을 희게 하려면 유황 연기를 이용하며, 화분은 반음지에 벽돌로 괴어 주는 것이 좋고, 석류 치자 동백 사계화 등은 꽃이 진 뒤 흙에 묻어주는 것이 좋다하였다. 꽃나무는 담 밑에 심으면 가지가 집 쪽으로 기울어지므로 자주 돌려놓아야 하고, 햇볕이 잘 드는 움 속에 씨앗을 갈무리하는데 출입구 겸 환기구를 남쪽으로 내서 화분 관리에 편하도록 해야 한다 하였다. 다섯째, 정월 초하룻날 닭이 울 때 횃불로 과수나무를 그을리면 잠복중인 벌레를 살충할 수 있고, 청명일 새벽에 볏짚을 매달아두면 모충(毛蟲)이 잠복소에 유인되며, 과수에 발생한 벌레는 유황가루로 구멍을 막아 질식시키거나 유황불로 훈연하는 방제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토양조건과 관련하여 비옥토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건강한 식물을 키울 수 있고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VERIFICATION OF THE CALENDAR DAYS OF THE JOSEON DYNASTY

  • Lee, Ki-Won;Ahn, Young-Sook;Mihn, Byeong-Hee
    • 천문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85-91
    • /
    • 2012
  • Astronomical data making such as forming a calendar, period of day, determining the time of rising/setting of the sun and the onset of twilight are essential in our daily lives. Knowing the calendar day of the past is particularly crucial for studying the history of a clan or a nation. To verify previous studies in the calendar day of the Joseon dynasty (1392 - 1910), we investigate the sexagenary cycle of the new moon day (i.e., the first day in a lunar month) by using sources such as results of the calculations using the Datong calendar (a Chinese Calendar of the Ming Dynasty) and the data of Baekjungryeok (a Perpetual Calendar; literally, a one hundred-year almanac). Compared with the study of Ahn et al., we find that as many as 17 sexagenary cycles show discrepancies. In the cases of nine discrepancies, we find that the sexagenary cycles of this study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almanacs at that time. In addition, we study five sexagenary cycles by using the historical accounts of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 Ilgi (Daily Reports of Royal Secretariat), Chungung Ilgi (Logs of Crown Prince), and so forth. For the remaining discrepancies, we present historical literature suppor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lunisolar calendar days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the dates of the modern (i.e., Gregorian) calendar.

Verification of the Calendar Days of the Joseon Dynasty

  • 이기원;안영숙;민병희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138.2-138.2
    • /
    • 2011
  • Astronomical data such as calendar day and time of rising/setting of the sun and onset of twilight are essential in our daily lives. Knowing the calendar day of the past is particularly crucial for studying the history of a clan or a nation. To verify previous studies on the calendar day of the Joseon dynasty (1392 - 1910), we also investigated the sexagenary cycle of the new moon day (i.e., the first day in a lunar month) using different sources: results of the calculation by the Datong calendar (a Chinese Calendar of the Ming Dynasty) and data of Baekjungryeok (a Perpetual Calendar - literally, a one hundred-year almanac). Compared with the study of Ahn et al., we have found that as many as 17 sexagenary cycles show discrepancies. In the case of nine discrepancies, we found that the sexagenary cycles of this study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almanacs at that time. In addition, we study six sexagenary cycles by using the historical accounts of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 Ilgi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Chungung Ilgi (Logs of Crown Prince), and so forth. We present historical materials suppor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remainder.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is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comparison between luni-solar calendar day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ose in the modern (i.e., Gregorian) calendar.

  • PDF

Livestock price change after anti-corruption law using VAR

  • Jeon, Sang Gon;Ha, Su Ahn;Lee, Kyun Sik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128-136
    • /
    • 2018
  • The Anti-corruption Law has been enforced since Sep. 28, 2016 to prevent public servants from colluding with people for political favors and financial gain by giving bribes to public servants. Generally, most people in Korea think that the law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ety. Under this law, people believe that our society has become more transparent. However, domestic producers think the law ha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Korean livestock industry. Statistics from the domestic livestock industry show that the Hanwoo price has dropped after the law was enforced. This study attempts to show how livestock prices in the Korean livestock industry have changed after the enactment of the law. We chose three important livestock industries, Hanwoo, pork, and chicken,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effects of the law on them. For the analysis, we used a time-series model, VAR, to incorporate the interactions of the three industries. We selected the average wholesale prices of these industries. Daily prices during the last 5 years were used to estimate and forecast the impacts of the law. The results show that the price of Hanwoo decrease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law; however, the other livestock prices did not decrease. Additionally, we clearly saw this negative effect on the Hanwoo industry during the high demand season and New Year's Day (solar and lunar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