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ast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구한말의 호위제도 고찰 (A Study on the Guard System in the Last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이성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21호
    • /
    • pp.35-52
    • /
    • 2009
  • 구한말의 호위제도 고찰은 개항 이후의 고종의 친정, 그리고 대한제국시대의 국내외적으로 위기에 처한 시대의 왕실호위제도에 대한 고찰이다. 그러나 이 시대의 호위제도를 이해하기 위하여 1863년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대원군이 집정하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60년간의 세도정치로 인하여 문란해진 왕권을 강화하고 국방력강화와 비변사를 폐지하며 종전의 삼군부로 부활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왕권 강화에 도움을 주었고 허약했던 중앙군을 강화하여 상비군을 늘리고 군기를 숙정하게 되었으며 신무기를 개발하는 등 군사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대원군 실각 후 고종이 친정을 했다고 하나 대원군과 민비세력과의 불화로 인한 불안에 대처하여 궁궐 숙위를 전담하는 무위소를 설치한 이래, 2군영 제도 실시의 친군영, 용호영의 부활, 시위대 친위대 등으로 이어진 갑오개혁까지의 호위체제의 변화는 법제적인 것이 아니었고 일본, 청국, 러시아 등 외세의 변화상황에 따라 주체적으로 힘을 다한 것이었다. 일본이 침략경쟁에서 승리한 이후 독무대가 되는 상황의 변화로 인해 대내의 국가수호에 대한 노력의 효과가 약화되었으며, 더욱이 갑오개혁 이후 경무청 내에 왕실 업무를 담당하는 경무서를 둔 것과 대한제국시대의 경무서를 경위원과 황궁경위국으로 개편되었던 제도역시 일본의 영향 아래 들어가게 되어 무력화되었다. 그러나 역경에서 이루어진 그 노력과 분투의 과정은 역사에 길이 빛날 것이다. 따라서 왕실을 호위하는 세력이 일본에 넘어간 대한 제국시대의 호위제도와 모든 상황전개는 제도가 아무리 완벽하게 수립되어 있을지라도 국력이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할 때 왕실의 호위제도는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는 역사적 교훈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병자호란(1636) 시기 조선 수군의 역할 (The Role of the Joseon Dynasty Naval Forces During the Manchu Invasion in 1636)

  • 최서정
    • Strategy21
    • /
    • 통권32호
    • /
    • pp.71-96
    • /
    • 2013
  • Not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ombat history of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navy has not been properly examined. However, the naval forc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critical to the military strategies adopted by the leaders of Joseon and the courts of the Ming and Later Jin dynasties. Therefore,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Joseon's navy, we can establis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situation in East Asia during this period. This paper traces the specific naval strategies of Joseon and also looks at the parts played by the Ming and Later Jin dynasties, based on their historical records. The main part of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chapters. Chapter 1 will uncover the reputation and the actual military strategies of Joseon's naval forces during this period. Chapter 2 will discuss the military strategies devised by the Ming and Later Jin courts as a reaction to each other and to Joseon's naval power. Last, Chapter 3 will examine how the naval forces of Joseon and Qing collided at Ganghwa Island in January 1637 and afterward Qing's requisition of Joseon's navy in its fight against the Ming. In conclusion, when Joseon's naval forces were strong enough to protect Joseon, they maintained the military status quo in East Asia. However, when their strength was superseded by that of the Later Jin's naval forces in a very short time, Joseon was forced to experience the worst humiliation in its history and East Asia to undergo a violent upheaval, the replacement of Ming by the Manchu/Qing dynasty.

  • PDF

조선시대 무관의 길짐승흉배제도와 실제 (Joseons Badge System for Military Ranks and Practices)

  • 이은주
    • 복식
    • /
    • 제58권5호
    • /
    • pp.102-117
    • /
    • 2008
  • This study shows the badge system for military officials of Joseon dynasty. The badge system for military officials of the 15th century consists of rank badges with tiger and leopard for the first and second ranks and rank badges with bear for the third rank. According to the code of laws, military officials are supposed to wear the rank badges with four different kinds of animals in Joseon dynasty. However, the badge system shown in the code of laws sometimes does not match with the badges in practices. Based on the literature, remaining badges and the badges in portraits, six different kinds of badges with animals are found : First, rank badges with tiger and leopard were used until the late 16th century. Second, rank badges with tiger were found in the period between the early 17th century and the latter 18th century. Third, rank badges with Haechi were found in the early 17th century. Fourth, rank badges with lions can be found in remains of the mid 17th century, the literature and the portrait of the late 18th century. Finally, the rank badges with double leopards or with single leopard were found from a portrait dated the late of 18th century to the last period of Joseon dynasty.

조선전기(朝鮮前期)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간행과 서지학적 특징 (The Publication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During Early Joseon Period)

  • 옥영정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5-6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that was compiled in the $15^{th}$ century (1433) and continued to publish throughout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Various existing records and the early Joseon printed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a domestic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were reviewed from 3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it is the bibliographical system approach to Hyangyak Jipseongbang for some circumstances related to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Second, i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printing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the remaining Hyangyak Jipseongbang. Particularly, the period of publ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value of a book. In this respect, most of the extant early-Joseon editions of Hyangyak Jipseongbang seem to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ruling years of King Sung Jong. Those editions are expected to have distinctive meaning from other copied editions of the $17^{th}$ century. Last, it is bibliographical orignal analysis of Hyangyak Jipseongbang.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Vol. 49 through 51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in an attempt to help understand the textual bibliography and composition system of exhibiting editions.

조선시대 다화(茶畵)에 나타나는 경관요소 (The Landscape Components Illustrated in Tea-drinking Pictures of the Joseon Dynasty)

  • 최미영;홍광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5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다화들을 살펴 그림 속의 다양한 장면들을 통해서 음다공간의 독특한 경관성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 그려진 다화들은 다수 있으며, 그림을 그린 화가들도 대부분 알려져 있어 음다공간에 대한 당시 선비들의 취향과 자연성 및 장소성 등과 같은 경관요소를 알 수 있다. 한국에 차가 도입된 것은 삼국시대로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다. 지금까지 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전개되고, 연구결과도 많이 발표되었지만, 조경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조선시대에 그려진 다화가 한국인의 차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문화적 코드라는 전제하에 다화에 나타난 다양한 장면들을 분석하여 한국인들이 형성하였던 음다공간이 가진 경관요소의 특징을 밝혔는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조선시대 다화에서 나타난 구성요소를 건축요소, 수요소, 석요소, 식물요소로 나누었으며, 첫째, 건축요소는 일본의 경우처럼 전용다실 특정한 건물이나 특별히 정해진 장소가 없이 어느 곳에서나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와 연관된 건축물이나 정원이 없다는 것은 한국인이 가진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을 좋아하는 문화와 연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수요소는 자연스러운 수경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셋째, 석요소는 완상이나 실용의 목적을 겸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식물요소는 수목들이 기품 있는 형태미를 가지고 있으며, 수목들의 내재적인 상징성을 고려하여 식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다화를 통해 한국 사람들은 차를 마시는데 있어서 일본과 달리 다도라는 어떤 특별한 격식을 따지지 않았으며, 한정된 공간을 정하지 않고 앉은 자리가 음다공간이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숙종(肅宗)의 중완혈(中脘穴) 수구사(受灸事) 연구 - 『승정원일기』 약방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V12 Moxibustion of King Sukjong(肅宗) of Joseon Dynasty -Focusing on Seungjeongwon Ilki(承政院日記) Yakbang(藥房) Records -)

  • 김동율;고대원;김현경;차웅석;안상우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21-137
    • /
    • 2015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progress, characteristics, and reasons of CV12 moxibustion that King Sukjong of Joseon Dynasty had experienced 31 years since 1684. Methods : This study mainly extracted the records and related records about CV12 moxibustion of King Sukjong and relevant records from Seungjeongwon Ilgi, and analyzed them. Aside from that, medical books wrote at that time and relevant records were additionally investigated. Results : King Sukjong cauterized CV12 or other CV12 related acupoints with moxa 21 years out of his 31 years from 1684 to 1714. The cautery period was usually between late January and mid February. He had 100 pieces of moxa for cautery. On the last day of his moxibustion, he cauterized ST36 with moxa. The moxibustion process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eps: suggestion or requirement of moxibustion, decision of date and time, and moxa cautery. In 1684, the reason why King Sukjong cauterized CV12 with moxa was to treat his joint pain and nauseous symptoms. The effect can be found in Donguibogam, many other Korean medical books, and other general books at that time. In 1685, he began to cauterize CV12 with moxa to prevent diseases. Since then, most moxa cautery on CV12 had been performed in the same context. Conclusions : For 21 years, King Sukjong repeatedly cauterized CV12 with moxa. The moxa therapy was conducted to prevent diseases mostly. And King Sukjong had a lot of interest in the therapy. For the reasons, the therapy had repeatedly been performed so long.

조선왕실(朝鮮王室) 태실석함(胎室石函)의 현황(現況)과 양식변천(樣式變遷) (Taesil Seokham Sty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 심현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3호
    • /
    • pp.208-241
    • /
    • 2010
  • 본 고는 조선시대 왕실의 태실에 유존하는 태실 석함(이하 태함)의 현황을 살펴보고, 제작연대를 바탕으로 형식을 분류하여 고고학적인 태함의 양식을 설정하고 그 편년을 시도한 것이다. 태함은 태실을 처음 조성할 때 매납하는 유물이지만 명문이 각자되지 않으므로 태함 자체만으로 연구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태실 조성 시 함께 제작하는 태지석과 아기비의 명문을 찾아 살펴보고 문헌기록을 대조하여 그 제작시기를 밝힘으로 인해 태함의 제작시기도 밝혀 낼 수 있다. 먼저, 편년의 결정적 요소는 태함을 구성하는 함개와 함신 모두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태함의 변화와 양식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조선 왕실의 태함의 변화는 조선 초기에는 고려시대의 양식을 이어받아 상자형으로 만들었으나, 15세기 중 후엽에 과도기를 거쳐 15세기 후엽에 반원형 함개 원통형 함신이 정착하게 된다. 그리고 16세기 후엽에는 앞 시기의 양식에서 발전하여 태함에 돌기가 부착되는 등 장식성이 가미되나, 이는 예술성보다는 기능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반원형 함개 원통형 함신이 다시 17세기 초에 재현되며, 17세기 중엽 후부터는 함개에만 돌기가 있거나 무보주의 원추형 함개 또는 절구형의 함신 등 다양하게 나타나는 과도기의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다시 보주가 부착된 원추형 함개라는 새로운 양식이 18세기 전엽~18세기 중엽 초에 출현하며, 이것이 다음 시기인 18세기 중엽까지 지속되나, 함신의 감실이 일단벽호형의 방형으로 바뀐다. 계속해서 18세기 중엽에는 함개는 앞 시기의 양식을 유지하나 함신은 감실이 다시 한 면이 ㄷ모양의 열쇠구멍형으로 변화한다. 하지만, 18세기 말에 와서 다시 가장 전형적인 양식인 반원형 함개 원통형 함신의 태함이 재출현하여 태함의 양식이 이 형태가 가장 정형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19세기 중엽에는 함개가 반원형에서 상부가 편평한 장방형의 새로운 양식이 출현하여 쇠퇴기를 맞는다. 그리고 이를 다시 양식상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선 초에는 태함이 아직 정형화되지 않아 고려시대의 양식을 이어받았으나(I단계; 1401~15C 중엽), 15세기 후엽부터는 자체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정형화되고(II단계; 1477~1641), 시기가 지나면서 다시 일부 돌기나 보주가 부착되는 등 장식성이 가미되나(III단계; 1660~1754), 결국 18세기 말에는 정형화된 양식이 재출현하다가 조선 말기인 19세기 중엽에는 간략화되어 쇠퇴과정을 겪게 되는 것(IV단계; 1790~1874)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태함의 양식과 편년 결과는 문헌기록이 부족한 상태에서 앞으로 태실지에서 태함만 확인되더라도 그 조성시기와 주인공이 누구인지 밝혀내는 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서울 서촌지역 조선조 원림의 위치추적을 통한 경관 해석 (The Landscape Interpretation of Joseon Era Gardens in Old West Village, Seoul through the Locational Investigation)

  • 김한배;이승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8-182
    • /
    • 2014
  • 조선시대 서촌에서는 많은 성시원림들이 만들어졌고 그들 중 다수가 진경산수화로 그려졌었다. 본 연구는 먼저, 서촌의 대표적 원림들의 위치를 보다 실증적 기법에 의하여 규명하려 하였다. 조선조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원림경관을 ArcGIS 3차원 지형 모델링과 비교함으로써 사실에 근접한 위치를 밝혀내고 이에 근거하여 지형과 경관의 특징을 해석하려 하였다. 원림추정지 주변의 지형을 3차원 지형모델로 작성한 후, 조망점을 이동시켜 진경산수도와 근접한 3D 모델의 구도에서 대상지의 위치를 찾아내었다. 이후 모형에 지적도를 중첩시켜 원림 터의 지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서촌의 초기 원림인 '청풍계 원림'은 인왕산 계곡의 종단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감추어진 '위요형 경관'을 보인다. 중기원림인 '청휘각 원림'은 옥류동 계곡과 능선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보다 개방된 '반(半)개방형 경관'을 보인다. 후기원림인 '서원 원림'은 대상지 중 가장 높은 능선 상단에 위치하여 '조망형 경관'을 보인다. 말기원림인 '송석원 원림'은 능선과 시가지의 접점 언덕에 위치하여 '개방형 경관'을 보인다. 즉, 서촌원림의 경관과 사회적 기능은 함께 점진적으로 개방되어 온 것으로 나타난다.

조선시대 5대 궁궐 건물지 기초의 고고학적 연구 (An Archaeological Study on the Foundations of Five Palaces of the Joseon Period)

  • 최인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1호
    • /
    • pp.120-137
    • /
    • 2021
  • 조선시대에는 5개의 궁궐이 있었다. 태조 4년(1395) 경복궁이 창건되고, 그 후 역사적 상황에 따라 창덕궁, 창경궁, 경운궁(덕수궁), 경덕궁(경희궁)이 추가로 중건되었다. 궁궐은 당대 최고의 건축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궁궐은 수차례 중건과 소실을 반복하며 조선왕조 500여년 건축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조선시대 5개 궁궐의 발굴 현황을 검토하여 건물의 기초인 건물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건물 기둥의 하중을 지탱하는 핵심 시설인 '적심(積心)'에 대한 분석을 통해 궁궐 건물지가 가지는 궁궐·시기별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적심의 편년을 통해 시기별 궁궐 건물 기초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적심은 총 23개 형식이 확인되는데, 전반적으로 5개 궁궐 모두 I~V 형식의 일정한 적심 축조 방식을 가지고 있어 조선시대 궁궐 건물 기초 축조 방식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4~17세기에는 일정하게 통일된 재료와 축조 방식(원형 잡석 적심(I-1))이 주를 이루다가 18세기 정조대를 기점으로 다소 다양해지는 양상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19세기 고종대에는 다양한 재료와 축조 방식으로 22가지 형식의 건물지 적심이 축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궁궐 건물지 연구는 발굴조사가 많이 이루어진 경복궁 건물지가 주가 되어, 임진왜란 후 중건이 중단된 17~18세기 건물지의 편년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다른 궁궐의 건물지들을 함께 비교 검토함으로써 14세기 말~20세기 초 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궁궐 건물 기초 축조 방식의 시대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세종대왕의 유불화해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ing Sejong's Amicable Consciousnes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 조남욱
    • 윤리연구
    • /
    • 제80호
    • /
    • pp.1-30
    • /
    • 2011
  • 이 글은 조선왕조 제4대 군주 세종대왕의 정신세계를 고찰하는 일환으로 그에게서는 유교와 불교가 동시에 중시되었다는 점을 밝혀 보려는 것이다. 왕조실록에서는 세종이 '해동의 요순(堯舜)'으로 평가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부처를 숭신했던 사례들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왕실에서 생명의 위험성이 다가오면 구병(救病)을 위한 기도행사를 펼쳤으며 선왕의 사당에는 불당까지 겸비할 것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이면에는 세종의 유불화해의식이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유신(儒臣)들은 숭유억불의 기조를 따라 유교문화 확장의 차원에서 부단히 척불론을 전개했다. 특히 왕실의 불사(佛事)에 대해서는 군주와 격렬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세종은 불교의 역사성과 현재성, 그리고 자신의 종교체험 등에 유의하여 그 적폐를 제거하면서도 불교 자체의 존재가치를 긍정하였다. 그렇다고 유교사상을 내세워 불교를 비난하거나 불교정신을 따라 유교를 경시하는 것도 아니었다. 즉 그는 유교를 높이면서도 불교를 버릴 수 없는 것으로 보고, 또 불교를 긍정하면서도 유교적인 삶의 태도를 중시했다. 현실적 삶의 태도로서는 유교윤리를 추구하고 생사 초월의 신앙적 측면으로는 불교를 높이며 융화해가는 입장을 보인 것이다. 특히 생사문제 등 인간으로서의 한계의식이 깊어질 때는 유교의 천명사상이나 제사의례뿐만 아니라 부처에의 믿음으로 위안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세종에서 유불화해의식의 절정은 선왕을 모시는 사당 문소전에 반드시 불당이 함께 있어야 한다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와 같은 화해의식이 작용하게 되는 원인으로는 첫째 유교와 불교는 모두 왕조국가의 기조를 튼튼히 하는 데에 긴요하다고 인식되었다는 점, 둘째 기도에 대한 감응을 얻으며 안심입명의 안정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 셋째 인간 평등의 가치관이 중시되고 있었다는 점 등을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세종 유불화해의식이 가지는 의의로서는 ① 사람들의 정신적 상황 그대로를 긍정하여 평화적 삶의 기반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것, ② 도덕적인 삶과 종교적인 삶의 포괄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 ③ 여러 가지 사회적 대립형상을 예방하는 데에 기여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