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55/kjchs.2021.54.1.120

An Archaeological Study on the Foundations of Five Palaces of the Joseon Period  

Choi, Inhwa (Division of Artistic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v.54, no.1, 2021 , pp. 120-13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re were five palaces built during the Joseon Period. Gyeongbokgung Palace was the first one, founded in the 4th year of King Taejo (1395), and depending on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Changdeokgung Palace, Changgyeonggung Palace, Gyeongungung Palace (Deoksugung), and Gyeongdeokgung Palace (Gyeonghuigung) were also built. The palaces represent the best architecture of the time. In addition, the palaces of the Joseon period have been rebuilt several times, so they contain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the Joseon period over the last 500 years. In this paper, all the excavations of five palaces in the Joseon Period were surveyed, and the foundations of the buildings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Jeoksim (foundations of buildings under cornerston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lace by period. Accordingly, the changes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foundations of the palaces were studied. There are a total of 23 types of Jeoksim. All five palaces have a certain type (I~V) of construction technique,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ertain pattern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foundations of palace buildings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Jeoksim was mainly built by certai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I-1) during the 14th to the 17th century, but new types of Jeoksim were built in the palaces starting from the 1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19th century, when King Gojong sat on the throne, the Jeoksim was built in various shapes, materials, and in 22 types of construction methods. Up to now, research on the remains of palaces were mainly conducted on the Gyeongbokgung Palace, so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foundations of 17th-18th century buildings, where reconstruction had stopped after the Imjin War in 1592.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transition periodsstheir features periods of palace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from the 14th to the 20th century by comparing the remains of five palace building sites.
Keywords
Joseon; Palace; Building sites; Jeoksim (foundation of buildings under cornerstone); chron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1998b, 慶熙宮址 發掘調査 報告書 : 集慶堂, 會祥殿, 隆福殿 및 龍飛泉 주변.
2 한울문화재연구원, 2020, 서울 경희궁 서측 궁장 유적(서울 경희궁 서측 궁장 추정지역 내 유적 시굴조사).
3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8, 경복궁 태원전지.
4 漢陽都城圖(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5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2017,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2.
6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2018, 경복궁 취향교지 발굴조사 보고서.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a, 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
8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b, 경복궁 흥복전지 발굴조사 보고서.
9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c, 경복궁 함화당.집경당 행각지 발굴조사 보고서.
10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a, 경복궁 발굴조사 보고서 1권 광화문 및 어도.
1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1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b, 경복궁 발굴조사 보고서 2권 궁장지.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c, 경복궁 발굴조사 보고서 3권 용성문, 서수문장청지.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d, 경복궁 발굴조사 보고서 4권 협생문, 영군직소, 봉의문.
15 국립중앙박물관, 1996, 경복궁 훈국군영직소지.
16 국립중앙박물관건립사무국, 1995, 경복궁 왕궁역사박물관 건립지 내 발견 유구 실측보고서.
17 국립문화재연구소, 1995, 경복궁 침전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18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03,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 약보고서.
19 문화재청, 2000, 경복궁 동궁지역 중건공사 보고서.
20 문화재청.중앙문화재연구원, 2002, 경복궁 태원전 권역.
21 문화재청.중앙문화재연구원, 2002 2003, 경복궁 건청궁지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8, 경복궁 태원전지.
22 최인화, 2008, 景福宮 建物址의 考古學的 硏究-특히 積心을 대상으로 하여,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인화, 2009, 경복궁 건물 유형에 따른 적심 연구, 문화재 42권 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창덕궁 금천교 발굴조사 보고서.
2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昌德宮 우물지.빈청지 발굴조사 보고서.
26 문화재청(삼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2000, 昌德宮 奎章閣, 舊璿源殿 圈域 發掘調査 報告書.
27 문화재관리국(삼성건축설계사무소), 1985, 창경궁 발굴조사 보고서.
28 문화재청.(주)건도.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02, 창덕궁 상방지 유구조사 보고서.
29 성림문화재연구원, 2018, 창덕궁 매표소 주변 종합정비사업 부지 내(와룡동 4-1번지)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30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5, 昌德宮 仁政殿 行閣址 發掘調査 報告書
31 (재)한백문화재연구원, 2018, 서울 창경궁 상수도 인입관로 이설구간 내 유적 덕수궁.
32 (재)고려문화재연구원, 2009, 德壽宮 咸寧殿 北行閣址.萬喜堂址 發掘調査 報告書.
33 (재)고려문화재연구원, 2012, 德壽宮 德弘殿 行閣址(中排設廳·移安廳) 發掘調査 報告書.
34 (재)고려문화재연구원, 2017, 덕수궁 돈덕전지 발굴조사 보고서.
3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미 대사관저 덕수궁터 유적-추정 아관파천 담장길 발굴조사 약보고서.
36 (재)동양문물연구원, 2015, 서울 덕수궁 선원전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37 (재)서라벌문화재연구원, 2020, 서울 덕수궁 돈덕전 권역 내 추가부지 문화재 시.발굴조사 보고서.
38 (재)혜안문화재연구원, 2018, 덕수궁 광명문지 발굴조사 보고서.
39 단국대학교박물관, 1985, (整備, 復原을 위한) 慶熙宮址 發掘調査 報告書.
40 단국대학교박물관, 1987, (整備復原을 위한) 慶熙宮址 第2次 發掘調査 報告書.
41 명지대학교, 1990, 경희궁 숭정전 발굴조사 보고서.
42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1994, 慶熙宮 崇政殿 回廊 및 資政殿 發掘調査 報告書.
43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1998a, 慶熙宮址 發掘調査 報告書.
44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1996a, 慶熙宮 資政殿 回廊 發掘調査 報告書.
45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1996b, 慶熙宮 泰寧殿址 建立敷地 發掘調査 報告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