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Good

검색결과 56,861건 처리시간 0.065초

영국해상보험법상 최대선의의무의 기원과 최근 동향에 관한 고찰 - Carter v. Boehm 사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gin and Current Status of the Utmost Good Faith in the Marine Insurance Act -Focused on the Carter v. Boehm case-)

  • 박지문
    • 무역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3-94
    • /
    • 2019
  • Article 17 of the Marine Insurance Act (MIA) states that "A contract of marine insurance is a contract based upon the utmost good faith, and if the utmost good faith be not observed by either party, the contract may be avoided by the other party." In the Carter v. Boehm case, Lord Mansfield was the first to provid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duty of utmost good faith, which is analyzed here. This judgement not only laid the foundation for the Modern English Insurance Act, but it also influenced the draft of the English Insurance Act of 2015, which aimed at correcting distortions that occurred during the application of statue law and common law thereafter. The duty of utmost good faith, applied between Lord Mansfield's insured and insurer presents the context of information asymmetry of the insured and insurer entering contracts. In the absence of information asymmetry, in contrast to the effects of being in both sides of the duty of utmost good faith, alleviating the duty of disclosure of the insured, and it is also clear that the warning of the severity of the retrospective avoidance of the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and the need for its limited application have already been pointed out. Furthermore,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retrospective avoidance, the duty of utmost good faith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limited to the duty of disclosure before a contract is concluded

Examples of Holistic Good Practices in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in the Workplace: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 Sivris, Kelly C.;Leka, Stavroul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4호
    • /
    • pp.295-304
    • /
    • 2015
  • Background: Whi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physical risks in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of individual employee health, mental health protection and promotion have received much less focus. Psychosocial risk management has not yet been fully incorporated in such efforts. This paper presents good practices in promoting mental health in the workplace in line with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ance by identifying barriers, opportunities, and the way forward in this area. Method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experts who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knowledge and expertise in relation to good practice identified tools. Interviewees were asked to evaluate the approaches on the basis of the WHO model for healthy workplaces. Results: The examples of good practice for Workplace Mental Health Promotion (WMHP) are in line with the principles and the five keys of the WHO model. They support the third objective of the WHO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for multisectoral implementation of WMHP strategies. Examples of good practice include the engagement of all stakeholders and representatives, science-driven practice, dissemination of good practice, continual improvement, and evaluation. Actions to inform policies/legislation, promote education on psychosocial risks, and provide better evidence were suggested for higher WMHP success.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commonalities in good practice approaches in different countries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a strong policy and enforcement framework as well as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for WMHP. For progress to be achieved in this area, a holistic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was unanimously suggested as a way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Good Death in Korea)

  • 김현심;이순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105-115
    • /
    • 2022
  •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향후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좋은 죽음 관련 66편의 논문을 분석준거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좋은 죽음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년도는 2019년(18.2%)이었다. 연구설계별 분석에서는 양적 연구가 52편(78.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조사연구가 36편(54.5%)으로 나타났다. 연구분야에서는 간호학 논문이 47편(71.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학제간 연구는 3편(4.5%)이었다. 좋은 죽음 연구대상자는 주로 지역사회 노인과 간호대학생으로 이 각각 13편(19.7%)으로 나타났고, 환자 대상연구는 4편(6.1%)으로 나타났다. 연구도구는 좋은 죽음 인식도구가 38편(73.1%)에서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변인은 좋은 죽음 인식과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간호였고, 가족지지는 매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좋은 죽음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학제 연구와 다양하게 좋은 죽음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한 '좋은 영아교사'의 의미탐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others of Double-Income Families with Infants about a Good Teacher for Infants)

  • 강소영;전숙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47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교사와 어머니의 직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맞벌이 어머니의 시각에서 바라본 '좋은 영아교사'란 무엇인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N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 6명이며 2011년 2월 26일부터 2011년 3월 13일까지 총 2회의 개별적인 만남을 통한 심층면담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녹음, 현장노트, 활동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이와의 관계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엄마 같은 교사', '아이가 성장하고 변화함에 노력하는 교사', '신나게 놀아주는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엄마와의 관계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엄마의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교사', '양육적인 지식에 도움을 주는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자신의 측면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한결같은 교사', '진실성을 지닌 교사', '전문성을 지닌 교사', '상호 협력적인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 윤일훈;문원희;박수정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3-30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하위요인 간의 점수 비교를 통해 좋은 죽음의 속성 중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한 102명을 편의 모집하였다. 연구도구는 Schwartz 등의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을 번역한 도구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좋은 죽음 인식의 세 가지 하위요인별 점수의 평균차이를 보인 요인은 임상실습의 경험으로 도출되었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3.13±0.36점)이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학생들(2.90±0.31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156, p=.002). 특히 임상실습 유경험자(3.46±0.39점)가 무경험자(3.16±0.37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친밀감에 대한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이 높았다(t=3.476,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상실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 기반 공동선 증진을 위한 미래교육 방향성 탐색 연구 (A Study on Exploring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for the Common Good Based on Big Data)

  • 김병만;김정인;이영우;이강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7-46
    • /
    • 2022
  •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공동선 증진을 위한 미래교육 방향을 탐색함으로써 미래교육의 방향성 제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교육 + 공통선'이라는 키워드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 '공익', '사회', 'KAIST 미래경고', '대책', '연구', '미래교육', '정치' 등이 공동선을 위한 미래교육의 사회적 인식에서 공통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공동선 증진을 위한 미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인간, 물리적 환경, 사회적 대응, 학문적 관심, 교육정책, 교육계획 및 관련 변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선 증진을 위한 미래교육의 방향성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고전 유가에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 플라톤과의 대조를 통해서 (Classical philosophy on human virtue and good life : Platon And Confucianism)

  • 임헌규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333-359
    • /
    • 2010
  • 이 논문은 현행 신자유주의가 가장 기성을 부리고 있는 현행 한국사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진정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및 국가의 정의(正義)에 대한 고전적인 본래 관점을 복명(復命)하려는 시도에서 기술되었다. 여기서 필자의 문제의식은 현재 우리 사회의 주도적인 이념인 개인적 자유주의 및 기술 산업사회의 경쟁의 논리에 의해서는 미래 우리의 훌륭한 삶이 담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문제점을 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儒家)적인 인간의 덕(德)에 관한 관점과 사회 정의관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서양의 고전적 인간-사회관의 전형을 형성하는 플라톤의 입장을 먼저 개진하고, 이와 대조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에 대해 공자와 맹자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하여 유가의 훌륭한 인간 및 사회에 대한을 명확히 하려고 하였다. 먼저 고전 유가는 인간의 보편적인 덕목을 '인(仁)'이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곧 인간을 관계적-공동체적-사회적 존재로 정립한다는 점이다. 나아가 이러한 유가의 '인(仁)'은 인간 본성이 단순히 개인의 생존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동정심(同情心)으로 무조건적-자발적으로 발출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인간을 하나의 '유적(類的) 공동체(共同體)'로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유가는 인간의 인간다운 보편 덕의 실현에 인간의 훌륭한 삶이 구현된다고 주장했다는 점을 제시하여, 욕망의 실현에 모든 가치의 근거를 두는 현실의 입장에 대한 비판의 준거를 확보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가의 정명론(正名論)을 통해 올바르고 정의로운 사회란 무엇인가 하는 점을 반성하고, 국가는 단순히 권력기관이 아니라, 그 구성원을 훌륭한 삶으로 이끌도록 계도하여야 한다는 '교육국가'의 이념을 제시하고자 했다.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among Older Adults: Using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 Boo, Sunjoo;Han, Young Ran;Choi, Hye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spc호
    • /
    • pp.549-56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among older adults.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the 2017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67,532 older adults. The individual level data set was combined with regional-level factors from the administrative data released on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site. Distribution of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in 254 public health centers were calculated using sampling weights and presented as percentages.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Results: Overall, 21.1% of subjects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good, ranging from 9.3% to 39.4% by region. The prevalence of multimorbidity was 15.9%, and varied between 6.6% and 22.6% by region. At the individual level, perceived good health was associated with men, younger age, higher educational levels, higher income levels, and those married and living with a partner and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At the regional level, higher rates of health center personnel among public officials and higher levels of financial independence were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Multimorbidity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healthy lifestyle, and higher rates of health center personnel among public officials. Conclusion: Regional factors such as health care personnel and local economy could affect population health. Our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to promote good health among older adults and reduce the health gap by region.

Predictors of Good Outcomes in Patients with Failed Endovascular Thrombectomy

  • Hyungjong Park;Byung Moon Kim;Jang-Hyun Baek;Jun-Hwee Kim;Ji Hoe Heo;Dong Joon Kim;Hyo Suk Nam;Young Dae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5호
    • /
    • pp.582-587
    • /
    • 2020
  • Objective: Endovascular thrombectomy (EVT) fails in approximately 20% of anterior circulation large vessel occlusion (AC-LVO). Nonetheless, the factors that affect clinical outcomes of non-recanalized AC-LVO despite EVT are less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outcomes in non-recanalized AC-LVO patients despite EVT.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and imaging data from 136 consecutive patients who demonstrated recanalization failure (modified thrombolysis in cerebral ischemia [mTICI], 0-2a) despite EVT for AC-LVO. Data were collected in prospectively maintained registries at 16 stroke centers. Collateral status was categorized into good or poor based on the CT angiogram, and the mTICI was categorized as 0-1 or 2a on the final angiogram. Patients with good (modified Rankin Scale [mRS], 0-2) and poor outcomes (mRS, 3-6) were compared in multivariate analysis to evalu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 good outcome. Results: Thirty-five patients (25.7%) had good outcomes. The good outcome group was younger (odds ratio [OR], 0.962; 95% confidence interval [CI], 0.932-0.992; p = 0.015), had a lower incidence of hypertension (OR, 0.380; 95% CI, 0.173-0.839; p = 0.017) and distal internal carotid artery involvement (OR, 0.149; 95% CI, 0.043-0.520; p = 0.003), lower initial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OR, 0.789; 95% CI, 0.713-0.873; p < 0.001) and good collateral status (OR, 13.818; 95% CI, 3.971-48.090; p < 0.001).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initial NIHSS (OR, 0.760; 95% CI, 0.638-0.905; p = 0.002), good collateral status (OR, 14.130; 95% CI, 2.264-88.212; p = 0.005) and mTICI 2a recanalization (OR, 5.636; 95% CI, 1.216-26.119; p = 0.027) remained as independent factors with good outcome in non-recanalized patients. Conclusion: Baseline NIHSS score, good collateral status, and mTICI 2a recanalization remained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outcome in non-recanalized patients. mTICI 2a recanalization would benefit patients with good collaterals in non-recanalized AC-LVO patients despite EVT.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초임 교사의 인식 (The Novic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olleg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 함승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72-79
    • /
    • 2010
  • 공업에 관한 전문교과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 교육을 담당하는 공업계 교사를 양성하는 공업교원양성교육은 보통교과 교원양성교육과는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대학에서 공업교육양성교육의 기억이 비교적 뚜렷하고 현직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로서 교직 경험이 3년 이내인 초임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공업교원양성교육은 사범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부전공 및 복수전공을 통하여 교원자격을 취득하거나, 공과대학 등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교육대학원 등에서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을 세 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사범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은 공업계교사가 되어서 학교 현장에 많은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실습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과대학의 교직과정 이수에서의 좋은 수업은 소수의 교직이수자를 배려한 공학 전공 수업, 교과목에 타당한 교직과목 수업,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습교육 등이 좋은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원에서의 좋은 수업이란 학부 전공이 다른 학생들의 전공을 고려한 수업, 교원임용고사에 도움이 되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실습 위주의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