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apital region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8초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 분석 (An Analysis o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 박정호;이희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27-644
    • /
    • 2009
  • 지식기반사회로 진전됨에 따라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서 인적자본(human capital)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임금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개인 수준, 기업 수준, 지역 수준별로 위계선형모형을 구축하여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지식확산의 강도가 학력그룹별로 다를 것이라는 가설 하에서 고학력자 그룹과 저학력자 그룹의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비교하였다. 3단계 위계선형모형 추정 결과 지역의 평균 교육수준이 1년 증가할 때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4.4%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는 학력수준 집단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력수준을 고졸 이하와 전문 일반대 졸업, 그리고 석 박사 졸업으로 그룹화하여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산출한 결과 각각 3.0%, 4.7%, 11.8%로 나타나, 고학력으로 갈수록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학력 수준별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며, 고학력으로 갈수록 외부효과가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지방의 경쟁력을 살리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공간분포 특성과 고용증가 효과 분석 (Analysis of Job Creation Effects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tartups in Manufacturing at Different Technology Levels)

  • 우한성;서대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00-61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제조창업의 공간적 맥락에 대한 고찰과 함께 DID모형을 활용하여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연차별 고용증가 효과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도시 지역에서의 특성이 다르게 확인되었다. 특히 고기술 제조창업은 수도권에서 단기에 걸쳐 고용증가 효과가 두드러진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중고기술 제조창업이 장기에 걸쳐 고용증가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대도시 지역에서는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고용증가 효과가 뚜렷하게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제공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도권의 고기술 제조창업은 비교적 단기에 고용증가 효과가 높게 나타나므로 그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도록 창업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생존기업의 스케일업에 정책지원이 집중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반면 비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 지역에서는 창업지원 인프라의 수도권 쏠림현상과 인재유출 등의 현실적인 상황을 감안하여 실제적인 고용증가 효과가 확인되는 중고기술 창업, 즉 전통적 제조기반을 토대로 한 산업영역에 창업지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드러나는 시차를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정책지원,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학력 인적 자본의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요인분석 - 석·박사 집단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ighly Educated Human Capital: Focusing on Master's and Doctorate Group)

  • 김소영;김동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4-7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학력 인적 자본 집단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고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니계수와 탐색적 공간자료분석을 통해 불균형과 공간적 집중정도를 살펴보았으며 공간회귀모형을 통해 고학력 인적 자본 집단의 분포에 미치는 경제적 요인과 어메너티 요인의 영향 정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석·박사 집단 고학력 인적 자본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충남 및 강원 일부지역에서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박사 집단 고학력 인적 자본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경제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어메너티 요인은 석·박사 집단 고학력 인적 자본의 분포의 영향요인으로서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적 자본을 유입하고자 하는 지역경제개발 정책에 있어 시사점이 있다.

은퇴자의 경제적 만족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of Korean Retirees)

  • 장연주;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1호
    • /
    • pp.29-49
    • /
    • 2011
  • Social capital theory provides a robust framework for analyzing economic well 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of retirees in Korea. Th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used(n=1,628). SPSS 12.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ge, region, housing tenure, and personal income, the social capital of the retirees, including cognitive social capital(trust and reciprocity) and structural social capital(emotional and economic familial support, and a well-developed social network), contributes to increases in their economic well-being. Second, the degree of effect social capital has on well-being varied by gender and age; the effect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regardless of the person's age. These empirical results provide a basis for the institution of policies that help bolster economic wellbeing for retirees by creating conditions that increase social capital in this group.

  • PDF

수도권 산업단지(클러스터)의 광역권 내부 및 외부 연계구조 분석 (An Analysis on the Linkage Structure of Industrial Complexes(Cluster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pital Region)

  • 구양미;남기범;박삼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1-195
    • /
    • 2010
  • 광역경제권 정책에 따라 산업단지 정책도 광역권 단위에서 연계구조를 구축하려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분석의 목적은 수도권 산업단지들을 대상으로 산업단지간 연계구조를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수도권 산업단지 입주업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광역권 내의 지역간 연계 현황을 파악하였다. 산업단지의 업종별 종사자수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단지간 구조유사척도를 계산하고, 수도권 내부와 외부 산업단지의 유사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산업단지간 거리, 업종별 비율, 입지계수 등의 지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산업단지 허브-스포크 연계구조(안)를 도출하였다.

  • PDF

수도권지역 자동차 화물유동의 공간적 패턴 (The Spatial Pattern of Freight Flows of Automobile in the Capital Region, Korea)

  • 박진희;홍현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4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경제와 산업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1997년에 실시된 화물 유동량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품목별 화물유동의 공간적 패턴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기능지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한 분석방법은 인자분석이고. 취급된 품목은 화물유동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3개 품목. 즉 화학공업품. 경공업품. 금속기계공업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인 수도권의 분석단위는 36개 존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대상품목별로 정도의 타이는 있으나, 화물유동의 공간적 패턴이 지역별로 분산되어 있기보다는 특정지역에 과다하게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서울 도착 지향적 특색이 두드러졌다. 유동이 특히 탁월한 지역은 주로 유통시설 분포가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일부 그 시설분포가 양호하지 못한 지역도 유동이 탁월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그 시설이 편재되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oward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Outbreak Among Selected Employed People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Philippines

  • Bautista, Angelito P. Jr.;Balibrea, Dianne;Bleza, Doris 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324-350
    • /
    • 2020
  • COVID-19 has challenged the pandemic response capability of many countries. Many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have imposed strict quarantine measures and border control to slow the spread of the virus. In the Philippines, the longest community quarantine has been imposed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NCR).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such measures is dependent on the cooperation of the publ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of selected employees in the NC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June 4-18, 2020, with 100 employed people living in the NCR.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omputed to describe the respondents' answers, and the Kruskal-Wallis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dents' KAP levels according to select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92% have a high knowledge of COVID-19. The respondent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eed for health education and the seriousness of COVID-19, as well as stricter measures against the pandemic, but are less positive in terms of how the government is responding to the pandemic. They also follow strict measures that will prevent the further spread of the virus. The results highlight the respondents' favorability of stricter government measures to control the spread of COVID-19, including the reimposition of an enhanced community quarantine in the NCR.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An Empirical Study from Vietnam

  • NGO, Thi Thuy An;TRUONG, Phuong Thao;TRAN, Yen Linh;TRAN, Thao Vy;TRAN, Ngoc Tram;HUYNH, Ai My;HUYNH, Thanh Truc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147-156
    • /
    • 2022
  • The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Vietnam's Mekong Delta region. The study examines entrepreneurship mindset, subjective norm, capital sources, concept development assistance, personality qualiti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university support for a student's entrepreneurial aim. The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ith a sample size of 611 students from 19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the Mekong Delta region. The methods that test the scale, including Cronbach Alpha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re used to consid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The results of SEM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five main factors affecting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with decreasing level of influence, including the source of capital,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usiness development support,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educational support. Besid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bjective norm, personality traits, and concept development support have no impact on the intention of students toward entrepreneurship. The research also reveals tha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tudent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and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capital sourc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미얀마 인구이동 패턴과 결정요인 분석 (The Pattern of Regional Migration in Myanmar)

  • 최영준;이가은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4호
    • /
    • pp.125-139
    • /
    • 2017
  • 본 연구는 미얀마의 지역 간 인구이동의 결정요인과 패턴을 분석한다. 인구이동은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소득과 취업 그리고 사회간접자본과 같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분석하려고 한다. 첫째로, 미얀마의 개혁과 개방으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이동이 일어나고 있는 지 분석하려고 한다. 미얀마에서도 다른 개도국들이 경험했던 인구이동의 패턴이 발생하는 지를 검증하려고 한다. 둘째로, 미얀마의 인구이동에 사회간접자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도로, 전기, 수도 등 기본적 사회간접자본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는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투자 정책 결정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로, 미얀마의 인구이동 패턴은 다른 개도국이 경험한 것과 같이 농촌에서 도시지역으로의 인구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미얀마의 도시지역인 양곤과 만달레이 지역으로 인구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로 도로를 비롯한 사회간접자본은 인구를 흡입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로, 취업기회는 미얀마 인구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개발 초기 단계이지만 해외 자본이 들어오고 있는 상황에서 취업의 기회가 높은 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해외자본을 통해서 경제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자본의 유입의 방향과 지역의 발전의 불균형 정도가 결정될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경제 성장에 따른 지역 내부의 경제적 격차 추정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Regional Economic Growth on Intraregional Disparities in Korea)

  • 이주한;김동현
    • 지역연구
    • /
    • 제36권3호
    • /
    • pp.29-4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 내 격차 간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16개 광역지자체, 수도권, 동남권을 공간적 범위로 하였으며 2005년부터 2016년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하였다.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 내 격차는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공간단위별 패널자료를 구축한 다음 자료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패널단위근 검정과 패널공적분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 내 격차 간 관계는 DOLS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인과성 검증을 위해서 VECM모형과 그랜져인과관계 검정을 시행하였다. 16개 광역지자체 단위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역경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지역 내부 격차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내 총생산이 1% 증가할 때 지역 내부 격차는 1.258% 증가하였으며, 단기 및 장기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동남권은 모두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 내부 격차 증감이 상호 간 인관관계성이 있었으나, 수도권은 격차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동남권은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 내 격차가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대표하는 광역경제권인 동남권의 양상은 서로 다름을 보여주었으며 서로 상이한 성장단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