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2초

Klopfer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과 지필 평가 문항 분석: 5학년 1학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s' Science Test Items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cusing on the First Term of the 5th Grade)

  • 양일호;나종철;임성만;임재근;최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21-23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ritten tests of the science lessons at elementary schools with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teachers' guide for the first term of the 5th grade by using Klopfer's taxonomic system. In the analysis of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teachers' guide, A.0(40.0%) and $B.0{\sim}E.0$(42.4%) showed high level but the proportion of processes of F.0(5.6%), G.0(4.0%), H.0(4.0%), and I.0(4.0%) showed low level, while in the written tests A.0 was 54.8%, $B.0{\sim}E.0$ was 36.1%, F.0 was 7.3%, and G.0 was 1.8% but H.0 and 1.0 was not taken at all. In the comparison with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teachers' guide about the domain of the knowledge and the comprehension showed hish and the processes of the scientific inquiry showed relatively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 desirable written test should be made to consider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hold up rates of each behavior category betwee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eachers guide and assessment objectives of written tests.

  • PDF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중력 및 지구자기 관련 주요 개념의 분석 (A Main Concepts Analysis of Gravity and Geomagnetics of Earth Science Textbooks in High School)

  • 최광선;양인숙;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2-84
    • /
    • 2008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ain concepts of gravity and geomagnetics which are introduced in the earth science textbooks of high school in 7th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validity and accuracy of the Earth Science textbooks and shows some effective teaching plans by using the latest materials. This study also illustrates the main concepts of gravity and geomagnetics through presenting some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 number of main concepts of six textbooks of high school were selected; the field of gravity, the direction and dimension of gravity, the measurement of gravity, the main reason of gravity anomaly and geoid, earth terrestrial magnetic field, secular variation of goemagnetics. Secondly, most Earth Science textbooks of high school explains the main concepts of the gravity and geomagnetics in similar ways. Those textbooks, however, don't put an emphasis on the essential contents which has been regarded as important thing in terms of the current educational course of study. The high school textbooks also use the material which is too old-fashioned and has some problems of accuracy and validity. Especially, many main concepts of the textbooks and scientific data(such as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measurement of gravity, the main reason of gravity anomaly, the use of geoid, secular variation) are different with those of South Korea, In addition, some materials(graphs and diagrams) are very old ones and they don't have authentic information.Finally, Among the various main concepts, some important ideas (the direction of the gravity and the method of measuring gravity, the measurement and use of gravity anomaly, the definition of geoid and secular variation of geomagnetics) should be corrected by showing the latest and authentic materials.

  • PDF

조류(鳥類)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상의 문제점 분석 (Analyses on Primary Teachers' Perception of Birds and Problems of Teaching Birds)

  • 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89-9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birds and problems on teaching it. For this study, the science textbooks from 3rd grade to 6th grade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here were 34 bird species recorded and these were described 55 times in the surveyed textbooks. Secondly, the survey showed that $20\%$ of the teachers were interested in birds despite the fact that $98\%$ of them had no special knowledge about birds nor had studied them in college.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that $41\%$ of the teachers felt lacking in specialist knowledge about birds and this lead to difficulties in teaching on this subject. Thirdly, academic backgrounds had an affect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ing this area. The teachers' levels of interest in birds and the teachers' ratio of teaching on this topic tended to increase as their academic careers developed, and the proportion of male teachers in this category were higher than female teachers. To overcome difficulty in teaching on this area, it is suggested that a reconstitution of subject materials, as well as a revision of the teachers' guidebooks be undertaken.

  • PDF

한국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 교과서 생명영역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Life Science Area in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Korean Elementary Curriculum Change)

  • 고연숙;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3-21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교과서의 생명영역 내용을 분석 통하여 앞으로 과학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은 교수요목기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 영역의 단원을 대상으로 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내용의 포함 여부와 포함된 학년을 알아보았고, 학습내용의 구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TIMSS 2015 생명과학 분석틀 4학년과 8학년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맞게 수정 개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국제적 기준으로 볼 때, '생물의 특성'에 대한 하위 요소로 '생물과 무생물의 차이점'은 대부분 교육과정에서 1학년에 제시가 되었으나, 1차와 6차 교육과정,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아서 학생들의 생명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균류 세균의 특징과 분류'는 7차 교육과정까지 대체로 균류만 다루어졌고,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하여 제시되었다. '한살이, 생식과 환경'의 하위 요소로 '자손의 생존을 돕기 위한 전략'과 '동물과 식물의 유전'은 주로 저학년에 편성되어 기초적인 학습 내용만 있어서 고학년에서 심화된 학습 내용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생물의 특징'은 교수요목기에서 2차 교육과정까지 주로 농촌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습 내용으로 제시되었으나, 3차 교육과정부터 삭제되고 주변의 생물들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이 제시되었다. '건강'의 하위 요소로 '감염성 질병'은 1차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강조되어 다루어졌는데, 이는 한국전쟁 직후 보건 위생 문제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은 보건과 위생과 관련하여서 모든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제시되었다. TIMSS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교과서가 국제적인 기준에 중심으로 볼 때, 개정 교육과정 과학교과서에는 유전과 진화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건강에 관한 학습 내용이 좀 더 심화하여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초등과학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지질 영역에 관한 내용 분석 (Analysis on the Contents about Geological Domain with Regard to the Change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조용남;권치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546-557
    • /
    • 2005
  • 제1차 교육과정부터 지금까지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지질 영역 관련 내용을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내용의 변천 과정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질 내용 분석틀을 기초로 지질영역 내용을 분석하였다. 지질 영역 관련 교육내용의 변천 과정은 내용의 구성과 학습 분량, 실험활동 학습 내용, 주요 용어의 변천과정, 삽화의 수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질 영역관련 내용 중 풍화와 토양,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 지표의 평탄화 작용, 습곡과 단층, 지진과 화산, 지층과 화서의 내용들은 전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졌다. 둘째, 학습 분량을 살펴보면 전 교육과정을 통하여 과학교육 전체 내용 중 5.1%에서 11.5%까지 평균 9.2% 정도 지질 영역관련 내용이 차지하고 있었다. 이 중 암석과 토양의 학습 분량이 전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지각변동의 학습 분량이 뒤를 이었다. 셋째, 실험 활동의 내용들을 보면, 각 교육과정별로 비율의 차이는 있으나, 풍화와 토양, 화성암, 지표의 평탄화 작용, 지층과 화석 등은 꾸준히 실험 활동이 적용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용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암석관련 용어가 가장 많이 바뀐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용어가 생기거나 삭제되거나 같은 용어를 다르게 제시하여 혼돈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교과서 삽화를 분석해 본 결과, 예전에는 그림이나 도해수가 많았으나, 과학이나 교과서 편찬 기술이 발달할수록 사진 수가 점점 많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아동들의 학습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만화나 도표 수가 근래에 증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교과대체형 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후 학생들의 인식 분석 - 6학년 에너지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Students' Perceptions after Application of a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 Focusing on Energy Unit in 6th Grade Curriculum -)

  • 임성만;채동현;김은정;현동걸;김오범;한제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9-132
    • /
    • 2014
  • In recent years, Korea encourages teachers to do STEAM education(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which includes Arts to STEM education to train creative science technology talent. Related to this, we developed a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for the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applied it in a field. The STEAM program which substitutes contents in curriculum related to Energy unit was developed and it was taught to twenty four sixth grade students during regular classes. During the classes, all activities of students were observed and they were written in recording notes during the observation. After all STEAM program ended, how students recognize the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compared to general class, understand learning contents and think about the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STEAM classes were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me students had difficulty in reconciling different ideas in group, creative thinking and crafts but most students liked the STEAM classes because many activities are fun and it is easy to understand. Second, learners regarded practical use of knowledge, learning different subjects together and interests as the reasons they can understand learning contents easily during STEAM program. Third, learners recognized STEAM classes are good to understand knowledge, think creative ideas and improve social skills after the STEAM classes while they showed anticipation, worry and fear before taking the classes. It is found that a subjective substitute STEAM program is helpful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s in learning, understand learning contents, increase creativity and have a good personalit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교육용 과학언어 연구를 위한 범용 자료로서 과학교과서 말뭉치 K-STeC(Korean Science Textbook Corpus) 구축 (Building Korean Science Textbook Corpus (K-STeC) for research of Scientific Language in Education)

  • 윤은정;김진호;남길임;송현주;옥철영;최준;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5-5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그 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과학언어 및 과학용어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년간의 과학교과서 텍스트를 한 자리에 모아 과학교과서 말뭉치를 구축함으로써 다각도로 분석 가능한 형태의 언어 자원을 생성하였다. 말뭉치 구축 대상 자료는 6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의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든 과학교과서를 수집하고 이 가운데 두 개의 출판사에 해당하는 132권에 대한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원시말뭉치, 형태주석 말뭉치, 용어주석 말뭉치의 총 3단계로 구축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축된 과학교과서 말뭉치를 K-STeC(Korea - Science Textbook Corpus)이라 명명하였다. K-STeC은 과학용어에 대한 의미 구분과 분야가 표지된 의미 주석 말뭉치로서 교육과정, 과목, 학년, 출판사의 서지 정보와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의 단원 정보, 페이지, 문장번호의 위치 정보와 함께 본문, 탐구활동, 참고자료, 제목 등의 텍스트 구조 정보를 메타정보로 마크업 하였다. 총 3년여에 걸친 연구 기간 동안 언어정보학, 컴퓨터공학, 과학교육학의 세 분야 전문가들의 노하우를 융합하여 새로운 연구 방법을 창출하였고, 다수의 전문 인력들이 투입되어 노동집약적 결과물을 내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체적인 연구 절차와 방법을 조망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방법론 및 결과물을 소개하고 향후 과학언어 연구의 발전 가능성 및 결과물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cdot}$중등학교 교과서의 우유 영양교육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Milk-Related Nutrition Education Foun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 윤인경;김규태;김정현;박동호;서지영;박선영;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1-23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학교, 중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우유에 대한 영양 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에게 우유에 대한 영양 섭취 및 소비행동에 유익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cdot}$중등학교 교과서(1학년$\~$10학년)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의 내용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교교육을 통해 지도되어야 하는 우유 교육 내용의 체계화안을 마련하였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은 2학년 6학년을 제외한 4개 학년의 교과서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학년의 통합교과, 과학, 실과, 체육 교과서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가장 많은 내용을 다룬 교과서는 실과이며, 우유의 영양에 대한 기초 지식 중심의 정보와 우유 마시는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은 7학년에서 10학년까지의 과학, 기술${\cdot}$ 가정, 체육 교과서에서 고르게 다루어졌다. 가장 많은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룬 교과서는 기술${\cdot}$가정이며 우유의 성분 및 주된 영양소 식품으로서의 특징과 선택 및 보관 방법. 실생활에서 균형식으로서의 실천 방법 등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교과목간 학교급별간 중복 및 지식 제공의 위계가 맞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따라서 우유에 대한 영양 교육도 학교급별로 대상에 맞게 영양 교육 내용의 수준을 적정화하고 체계화하며, 교과목간 및 우유 급식 등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cdot}$운영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 PDF

$\cdot$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 이형철;안정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138-144
    • /
    • 200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rvey and analyze the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illustration organization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Japan. The analysis criterion was composed of two categories, the kind of illustration and the role of illustration. The kind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five subcategories such as photograph, picture, illustration, cartoon and diagram. The role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such as motive induction, guidance for learning, the supply of material, the presentation of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zing criterion, the frequencies of relevant subcategories of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were checked and arranged and the resultant data were analyzed by grad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orean science textbooks have about 3.29 illustrations per page whereas Japanese ones have 4.1l. Compared with Korean science textbooks, Japanese ones have more illustrations. 2. From the analysis of the kinds of the illustrations by grade basis,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percentage of illustrations is photograph, cartoon and picture in both countrys' science textbooks. Korean ones a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 As a contrast Japanese ones have more ratio of cartoon and picture than Korean science textbooks. 3. The analysis of the roles of the illustrations by grade basis showed that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major in both countrys' science textbooks.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prominent in Japanese ones, but in Korean ones,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supply of material.

  • PDF

화학영역에서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대해 진술된 모델의 평가 (Evaluation of Stated Models for the Floating and Sinking Phenomena in the Chemical Domain)

  • 김성기;박철용;최희;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26-234
    • /
    • 2018
  • 본 연구는 화학영역에서 뜨고 가라앉는 현상과 관련되어 교과서에 진술된 모델을 모델의 생성과 관련된 본성 측면을 기반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학년 과학교과서 2종과 중학교 과학교과서 21종이 분석되어졌다. 분석 결과 진술된 모델은 (1) 모델의 전제조건에 대한 설명 부재, (2) 물질적 관점의 질술 방식, (3) 패턴의 원리 결여, (4) 다루어진 사례의 부적절성의 특성을 보였다. 학생들에 대한 모델의 교육은 모델을 이용한 활동 보다는 모델이 생성되는 과정과 관계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에도 그러한 모델의 본성에 대한 교육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델의 생성과 관련된 모델의 진술과 이와 관련된 학생 모델 평가 도구 제작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