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3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단원의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Life and Reform Clothes' Uni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 양지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1-183
    • /
    • 2017
  •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수선과 재활용'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의복선택과 구입'에서 '의복마련계획', '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 '품질표시'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의복 손질과 관리'에서 '세탁물 분류하기', '얼룩빼기', '물세탁하기', '의복수선과 재활용'에서 '의복 수선하기', '옷 고쳐입기', '친환경적의생활'로 구성되었다.

2009 개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상의 STEAM 관련교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First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 김해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277-297
    • /
    •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 외에 어떤 STEAM 관련교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단원별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인문과학(스토리텔링)적 내용이 제일 많았고, 스토리텔링이 아닌 인문과학적 내용,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으나 음악교과와 관련된 내용은 매우 적었다. 또한 영역별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규칙성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는 인문과학(스토리텔링)적 내용과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 순으로 많았다. 그러나 단원별, 영역별로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편차가 매우 심하여 다양한 STEAM 자료 개발이 요구된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수학 내용,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inuity between Math-Related Activities of Nuri Manuals for Teachers a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ntents, Terms and Symbols, and Mathematical Processes -)

  • 장혜원;임미인;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57-272
    • /
    • 2015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의 중점 중 하나인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강화와 관련된다. 교육현장의 교사들이 교육과정보다 교과서에 더욱 의존적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활동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1, 2학년 수학 교과서를 수학 내용, 수학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와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과서이며, 본 연구와 동일선상에서 이루어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양자 간의 연계성 확보 방안과 교육과정 개정 및 수학 교과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2007 개정·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영역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의 비교 분석 (An Comparison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Chemistry Domain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RNC))

  • 이규희;홍훈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600-61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18권과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18권의 화학 영역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을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한 과학 글쓰기 문항을 인지적 과정, 글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과학 글쓰기 문항에 포함된 글로벌 이슈 내용을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비교하였다. 2007개정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은 총 183개로서 교과서 한 권당 10.17개, 10쪽 당 평균 1.32개의 과학 글쓰기 문항이 사용되었다. 한편, 2009개정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은 총 168개로서, 교과서 한 권당 9.33개, 10쪽 당 평균 1.23개의 과학 글쓰기 문항이 사용되어, 2007개정 교과서와 비교해 2009개정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의 한 권당 사용 빈도와 10쪽 당 평균 사용 빈도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교육과정에서 과학 글쓰기 문항 사용 빈도는 단원별, 출판사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과학 글쓰기 문항은 과학 교과서의 단원 마무리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지적 과정에 따라 과학 글쓰기 문항을 분류한 결과, 두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이해하기에 해당하는 문항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기억하기에 해당하는 문항의 사용 빈도는 가장 낮았다. 글의 유형에 따라 과학 글쓰기 문항을 분류한 결과, 정보를 전달하는 글쓰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에 해당하는 인지적 과정 중 이해하기가 가장 높은 사용빈도를 보였다. 과학 글쓰기 문항에 포함된 글로벌 이슈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07개정 교과서에서 21개(11.48%), 2009개정 교과서에서 33개(19.64%)가 글로벌 이슈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과학 글쓰기 문항으로 분석되어, 2009개정 교과서에서 글로벌 이슈 내용을 포함한 과학 글쓰기 문항의 사용 빈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환경 보전과 관련한 과학 글쓰기 문항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2009 개정 교과서에서 사용된 글로벌이슈 내용의 소재가 더욱 다양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내용분석 - '생명의 진화'와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STS in the High-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cused on the Unit of 'Evolution of Life' and 'Health of Humanity and Scientific Technology')

  • 정경하;손연아;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343-357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 교과서의 '생명의 진화'와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영역에서 STS 내용의 포함정도를 분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에 잘 부합하는지 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7종의 교과서를 STS 주제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비율로 보면, 적게는 16.67%를, 많게는 58.33%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TS와 관련된 주제 중, '우주개발과 국방'과 '환경문제'는 표현되지 않았다. STS 활동 영역에서는 '구조화된 토론', '자료 해석', '조사 연구' 영역에서 많은 활동 횟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현장 활동',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 '역할 놀이', '모의 실험', '사례 연구', '연구 고안'의 STS 활동 영역은 그 횟수가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2009 개정 과학 교과서에서는 STS 활동 영역이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영역별 STS 내용 포함률을 분석한 결과, '과학의 응용성'에 해당하는 내용이 67.57%로 최대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1.63%로 그 빈도의 차이가 켰다. '과학의 응용성' 이외의 7가지 내용 준거는 10%를 조금 넘거나, 대부분 10%가 채 되지 않는 비율로 각각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7종의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교과서 생명과학 영역에 포함된 STS 내용은 평균 20.75%로, 교과서별 최소 12.35%에서부터 많게는 26.90%를 포함하고 있었다.

  • PDF

초.중등학교정보통신기술교육운영지침의 개정방안 (A Note on the revise ICT curriculum)

  • 김종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9-166
    • /
    • 2011
  • 각 급 학교의 정보화 교육은 국민공통기본교육 기간인 10년 동안 초등 l학년부터 고등 1학년까지 초 중등학교정보통신기술교육운영지침(2005.12,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라 5단계에 걸쳐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제 7차 교육과정의 재현을 수행 중인 상황에서 공통교육과정 기간이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9년간으로 변화함에 따라, 컴퓨터교육의 근간이었던 10개년간의 교육과정은 9년간으로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들 1~5단계의 학습제제는 IT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컴퓨터교육의 구성을 조정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화된 IT환경에 따라 우리나라와 주요 국가의 수준에 대한 조사를 통해 나타난 ICT 국가경쟁력 종합점수 세계 1위 환경의 반영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2009년부터 시작된 미래형 교육과정의 방향을 토대로 초 중등학교정보통신 교육과정을 조정하고자, 사회적요구인 정보통신윤리교육 및 컴퓨터과학교육 요소를 강화하고,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의 변경된 9개년에 맞춘 초 중등학교정보통신기술교육운영지침 개정안을 제시한다.

  • PDF

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천문 분야 용어 분석 (An Analysis of the Astronomy Terms in Convergence Science Textbooks)

  • 이효녕;강용희;송미진;조현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8-15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rms of astronomy area used in six convergence science textbooks by 2009 curriculum re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e first, the contents about astronomy occupied about 18.6% account of science contents. There were the terms which all textbooks used, but some terms were not used other text book, and the others were used in only one textbook. And the second, there were some terms of having certain concept which had described differently.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the effort to prevent to descript same meaning terms differently and to make guideline for the depth and width of the terms.

핵심 개념으로 비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융합과학」 (A Comparison of 「Integrated Science」 and 「Converg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rough Core Concepts)

  • 이경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81-9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및 "융합과학"을 분석 비교하였다. 이 때 분석 틀로서는 교육적 맥락에서의 우선순위와 그 통합의 수준을 각각 살펴보았으며 이를 시각화할 수 있는 우선순위-통합수준 2차원 시각화 매트릭스를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과학"은 "융합과학"에 비하여 핵심 개념의 수는 줄어들었고, 우선순위 측면에서는 빅 아이디어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교과 간 통합의 비율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얕은 수준의 교과 간 통합을 지양하고 있었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융합형 "과학"에 비하여 양은 줄이고 질은 높인다는 엄격성(rigor)의 원리에 있어서 우수하며 한편으로는 그 적절성(relevance)도 낮지 않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시각화한 결과로 통합적 교과의 특성을 보다 쉽게 이해 및 비교할 수 있었다.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명과학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과학탐구 기능과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 chapter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8 Scientific Practices)

  • 김미정;홍준의;김성하;임채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318-3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이 기존 과학교육에서 강조되어왔던 탐구 기능과 구체적 학생 활동이 강조되는 NGSS의 8가지 과학 실천 측면에서 상호 분석되었을 때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생명과학 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 구분 없이 탐구 기능에서는 '추리', 관찰', '분류' 순으로 많이 치중되었고, 과학 실천에서는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와 '설명구성하고 문제해결 고안하기'에 치우쳐 있었다. 이를 통해 중학교 교과서 내 생명과학 탐구 활동이 탐구 기능뿐만 아니라 과학 실천 요소에서도 다양성이 부족하며 제시하는 활동의 목표가 한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과학탐구 기능과 과학 실천 요소 각 상호 매칭작업을 통해 탐구 기능 중심에서 과학 실천으로의 이행 시 내용 관련성을 검토하고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서 보이는 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 매칭분석에 비해 교과서 내 탐구 활동의 결과가 대체적으로 기초탐구-자료해석/기초탐구-설명고안에 치우쳐 있어서 단조롭게 매칭 되었다. 이는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내용의 다양성이 부족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단순하고 다양성이 부족한 탐구 활동에서 벗어나 2015개정 교육과정을 구현해나가는 과정에 다양한 과학 실천 요소를 포함시키도록 하는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됨을 제언한다.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보건 교과 편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Change of Organization in Curriculum for Subject in Health under The Influence of Change of Curriculum)

  • 이규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5-169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for health education in future while investigating change of organization in curriculum for health education in Korea. Method: It is to analytic thinking the trend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the health curriculum in national level. Resul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of change of organization in curriculum for health education in Korea,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 is proved to have established diverse subjects about health education in whole educ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each term shows that subjects on health education has diminished in amount or weakened in content in the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s they disappeared from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4th and 5th terms for education. Seventeen hours per year portioned for health education in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for 2007, which is currently operated, has been analyzed as being very short to its full requirement. The significant increase of hours for education is demanded for health education to be systematic and practically helpful in actual field of education in schools. Conclusion: It is also demanded that the more diversified and systematic method of education should be applied to and operated for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rather than strictly unified educational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