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e of cooked rice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2초

가공밥 제조를 위한 밥의 식미 및 식감특성 평가 (Studies on the Palatability and Texture of Korean Rice Cultivars for the Cooked-rice Processing)

  • 심은영;박혜영;김미정;이춘기;전용희;오세관;원용재;이정희;안억근;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80-888
    • /
    • 2017
  • 본 연구는 가공밥용으로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9개 쌀 품종의 단백질 함량, 수분관련 특성, 아밀로오스 함량, 호화점도 특성 분석 및 취반식미, toyo 윤기치, 식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쌀가루의 용해도는 선품과 친들이 6.98, 6.51%로 상대적으로 높았고, 총 전분 함량은 90% 내외를 나타났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은 월백이 12.74%로 가장 낮았고, 중생골드가 17.2%로 낮았다. 치반점도는 월백과 선품이 -89.94 및 -36.97 RVU로 쌀가루 반죽의 노화가 가장 느릴 것으로 생각되며, 월백, 친들, 하이아미의 최종점도가 각각 152.06, 160.66 및 191.03 RVU로 식은 밥의 노화가 가장 느릴 것으로 판단된다. Toyo 윤기치는 친들, 삼광, 하이아미가 좋게 나타났으며, 식미치는 친들(80.03)>삼광(76.21)>중생골드(74.08) 순으로 나타났다. 식감특성은 중생골드, 친들, 일품이 탄력성이 높으면서 부착성이 컸으며, 일품, 하이아미는 경도가 낮으면서 부착성과 찰기가 높았다. 전체적인 취반 식미 및 식감관련 평가 결과, 친들이 가공용으로 좋은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었다

팬 프라잉(Pan-frying)이 찰흑미 첨가 화전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n-frying on Anthocyanin Content in Hwajeon with Varying Proportion of Glutinous Black Rice Flour)

  • 서정희;고은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8-384
    • /
    • 2014
  • Hwajeon, pan-fried rice cake, containing glutinous black rice flour at different proportions (0, 5, 10, 20, 30, or 50% of glutinous rice flour) was cooked to investigate the cooking effect on anthocyanins, color, and texture. Two anthocyanins, cyanidin-3-glucoside and peonidin-3-glucoside, were detected in both hwajeon dough and pan-fried hwajeon. The hwajeon retained up to 60% of anthocyanins in the dough after pan-frying. The lightness (L) of dough and hwaje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black rice flour rice flour. Interestingly, the lightness (L) of hwaje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unterpart dough, indicating that the color of hwajeon resulted not only from anthocyanins, but also from the browning reaction occurring during pan-frying. The redness (a) of hwajeon initially increased by adding glutinous black rice flour, and decreased at higher than 10% of black rice flour.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hwajeon (0% black rice flour), the black rice-added hwajeon showed lower hardness, whereas it had higher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resulting 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umminess and chewiness among the hwaje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wajeon enriched with glutinous black rice flour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food containing health-promoting anthocyanins.

시판 압출숙면류의 저항전분 함량과 조리특성 (Study on Resistant Starch Contents and Cooking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Extrusion-Cooked Noodles)

  • 류복미;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8-254
    • /
    • 2015
  •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RS and cook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extrusion-cooked noodles. Ten kinds of noodles were selected and grouped according to the storage conditions; dry noodles (3), refrigerated noodles (2), freeze noodles (4), and dry noodle made from wheat flour as a control (not extrusion-cooked). The total starch of commercial noodles ranged from 62.50% to 84.13%, Refrigerated Naengmyeon and dry Dangmyun had high proportions of total starch (respectively 84.13% and 80.13%, respectively). The amounts of apparent amylose ranged from 25.01% to 42.93% and RS ranged from 0.61% to 5.99%. A high proportion of the total starch was rendered digestible by extrusion cooking, and a small amount of RS remained in the samples. Dry Dangmyun had the highest percentages of RS (5.99%), followed by refrigerated Naengmyeon C (2.41%) and dry Jjolmyeon (1.94%), and those of the other noodle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1.86%). Cooking properties and texture measurements were evaluated. Cooking loss and turbidity of cooking water were highest in dry Jjolmyeon and dry Naengmyeon. There was little cooking loss in dry Dangmyun and freeze rice noodles. In particular, dry Dangmyun and refrigerated Naengmyeon C containing high amounts of RS and amylose had relatively high measurements of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취반조건이 현미밥의 식미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ng Condition on the Eating Quality of Cooked Brown Rice)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27-535
    • /
    • 1995
  • 현미밥의 취반조건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수량과 취반기구를 달리한 현미밥의 형태변화와 관능적, 기계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X-선 회절도로부터 Peak높이가 멥쌀밥보다 찹쌀밥이 낮았고, 가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밥솥을 사용하였을때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SEM으로 관찰하였을 때에도 붕괴정도가 현저하게 보였다. 가수량을 달리하여 멥쌀현미와 찹쌀현미를 전기밥솥으로 취반한 결과 1.4배의 멥쌀현미밥과 1.2배의 찹쌀현미밥이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가 증가하였다. 가수량이 증가하면 텍스쳐 특성치의 차이가 커서 견고성, 탄성, 껌성 , 응집성 , 씹힘성은 감소하였고 조리기구에 따른 차이는 전기밥솥으로 취반한 경우가 압력밥솥으로 취반한 경우보다 견고성 , 응집성, 탄성, 껌성 및 씹힘성의 모든 특성값이 더 낮았다.

  • PDF

쌀의 품종별 취반 특성 (Cooking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Rice Produce)

  • 최옥자;정희남;심기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86
    • /
    • 2012
  • 다산, 큰섬, 고아미, 백진주, 설갱, 한강찰 및 흑설 등의 7가지 품종 쌀의 특성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취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쌀 곡립의 색도측정에서 L값은 설갱에서 가장 높았고, a값은 흑설에서 가장 높았으며, b값은 한강찰에서 가장 높았다. 상온수분흡수율에서 흑설은 80분, 다산, 고아미 및 한강찰은 50분, 백진주 및 큰섬은 30분 그리고 설갱은 10분에 포화수분흡수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의 취반특성인 수분흡수율은 다수계 품종인 큰섬에서 351.38%로 가장 높았고, 부피팽창율은 226.97~551.08%, 용출고형물은 5.56~21.05%로 부피팽창율에서는 통일벼 품종인 다산이 가장 높았고, 용출고형물은 설갱이 가장 높았다. 취반한 쌀의 경도 측정에서는 유색미 품종인 흑설이 24.30 kg으로 가장 높았고, 찰벼품종인 한강찰이 7.49 kg으로 가장 낮았으며, 흑설 제외한 품종에서는 고아미가 가장 높았다. 취반한 쌀의 관능검사에서 맛, 질감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는 반찰벼 품종인 백진주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색에서는 설갱, 향미에서는 흑설 그리고 외형에서는 한강찰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다수계 품종인 다산과 큰섬은 질감을 제외한 항목에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매실(Prunus mume)추출물이 쌀밥의 관능적 특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the Sensory Quality and Shelf Life of Cooked Rice)

  • 박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3-508
    • /
    • 1998
  • 쌀밥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밥물에 매실 추출물을 첨가하여 취반하고 쌀밥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을 측정하였다. 매실 물추출물 500ppm과 매실 알콜추출물 500ppm이 첨가된 쌀밥의 관능성은 맛, 색깔 그리고 향기에서는 대조구보다 우수하였고, 조직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매실 알콜추출물 500 ppm이 첨가된 쌀밥의 색깔이 가장 우수하였다. 색도는 매실 추출물 첨가로 L값은 감소하였고 a, b값은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와 색도차이($\Delta$E)는 매실 물추출물 500 ppm과 1000 ppm 첨가구에서 2.00과 4.85이며, 매실 알콜추출물 500ppm과 1000ppm 첨가구에서 2. 71과 3.36으로, 매실 추출물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인(0<0.05)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쌀밥이 부패되었을 때 pH는 5.8~5.9, 적정산도는 0.1% 그리고 총 세균수는 $10^{8}$ cfu/g수준이었다. 3$0^{\circ}C$에서 저장중 대조구에서는 3일만에 변질이 되었으며 매실 알콜추출물 500, 1000 ppm 첨가구에서는 각각 4, 5일만에 변질되었으며 매실 물추출물 500ppm 첨가구에서는 5일만에 변질되었고 매실 물추출물 1000ppm 첨가구에서는 5일 까지 변질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매실 추출물을 첨가하여 취반된 쌀밥의 저장성이 1~2일 이상 연장되었으며 매실 알콜추출물 보다 매실 물추출물이 쌀밥의 저장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기 압력 밥솥 밑 전기 밥솥 취반미의 저장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The Quality of Cooked Rice Prepared by Both an Electric Cooker and Electric Pressure Cooker, with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한귀정;박희정;이혜연;박영희;조용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35-643
    • /
    • 2007
  • 쌀밥의 저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산 쌀 탑 라이스 4품종(일품, 새추청, 신동진 및 수라)을 전기 압력 밥솥 및 전기 밥솥을 이용하여 취반한 다음 상온, 보온 및 냉장 저장하면서 수분함량, pH, 색도 및 관능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취반 직후 쌀밥은 전기압력 밥솥으로 취반했을 때 수분함량이 낮고 pH는 높았으며, 색도에서 b값은 높고 L값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으로도 구수한 풍미, 조직감 등이 강하고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기간에 따라서는 수분함량 및 pH는 취반 용기에 관계없이 모든 저장 온도에서 감소하였고, 색도는 상온 및 냉장 보관시에는 취반 용기에 관계없이 L, a 및 b값 모두 저장기간 동안 유사하였으나 보온 조건에서 전기 밥솥 취반미를 저장했을 때는 초기(6시간)에 녹색도 (a값)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4시간 후에는 황색도(b값)가 크게 증가하면서 L값이 감소하였다. 관능적으로도 상온에서는 저장 48시간까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보온 및 냉장 저장 시에는 각각 24시간 및 3일 경과 후에 대부분의 관능적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기호도가 감소하였다. 이상으로부터 저장 중 쌀밥의 품질은 상온에서는 48시간까지 색도 및 관능적인 변화가 적어 가장 효과적이었던 반면 보온 및 냉장에서는 각각 황변 및 수분증발과 함께 이취가 증가하면서 관능적으로 품질이 낮아졌으며, 전기 압력 밥솥 보다 전기 밥솥을 사용하여 보온했을 때 품질저하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쌀 전분의 노화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Rice Starch)

  • 이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5-110
    • /
    • 2003
  • 밥의 식미에 영향을 주는 쌀품종별 노화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아밀로오스 함량과 gel consistency가 다른 5가지 품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Brabender amylograph에 의한 쌀품종별 호화특성에서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관계없이 hard gel인 품종이 높은 setback 값을 보였다. 저장시의 경도변화에서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의 최종경도가 더 높았다. 또한 Avrami equation에 의한 쌀전분겔의 노화특성 연구에서도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에서 노화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되는 time constant(l/k)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아밀로오스 함량이 쌀전분의 노화현상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