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aploid cultivar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Short-term grazing behavior of cattle under indoor housing for a new-bred tetraploid ruzigrass (Brachiaria ruziziensis Germain et Everard)

  • Ishigaki, Genki;Nitthaisong, Pattama;Prasojo, Yogi Sidik;Kobayashi, Ikuo;Fukuyama, Kiichi;Rahman, Mohammad Mijanur;Akashi, Ry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5호
    • /
    • pp.748-754
    • /
    • 2018
  • Objective: The preference evaluation of cattle is an important factor for estimation and improvement of the grazing amounts of newly introduced or bred grasses or cultivars in bar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grazing behavior (the amount of grazing and/or the grazing speed) of cattle as indirect method using newly bred Brachiaria ruziziensis tetraploid strain 'OKI-1'(BR) hay as treatment group and Cloris gayana 'Callide' (CG) hay as control group. It also compared the feasibility of using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s one criteria for evaluating preference by Japanese black cattle in barn. Methods: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12 growing Japanese Black cattle including 6 males and 6 females. In each experiment, the four Japanese Black cattle (2 males and 2 females) were placed in separated stall and allowed to graze BR and CG in manger that was separated into two portions for about 30 min. The position and behavior of the cattle were recorded, and weighed the residual of each gay at 15 and 30 minutes after experiment start. Results: The BR was superior to CG in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rotein, fibers and non-fibrous carbohydrate. The cattle, over all, tended to prefer BR over CG in the first half 15 minutes in terms of the time spent and amount of grazing. Additionally, growing cattle exhibited neophilia for BR bred newl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e current approach could be applied for one of criteria to evaluate the preference of hay by Japanese black cattle under indoor housing environment.

포도 주요 품종간 노균병 저항성 검정 (Downy Mildew Resistance of Grape Cultivars (Vitis spp.)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

  • 윤해근;박교선;노정호;정상복;김휘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54-59
    • /
    • 2001
  • 포도 노균병 저항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포도 품종간 저항성 검정체계를 확립하고 품종간의 저항성을 비교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포도 노균병에 대한 품종간 저항성 검정에는 $10^4-10^5spores/mL$의 포자현탁액을 분무접종하여도 큰 차이는 없었으나 $5{\times}10^4spores/mL$로 조절된 포자현탁액을 분무접종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포도 노균병균을 온실에서 분무접종한 결과 Campbell Early, Niagara 등의 품종은 저항성, Sheridan, 청수(淸水) 등의 품종은 중도저항성, Kaiji, Red Queen, Ruby Okuyama 등의 품종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포장에서의 저항성은 V. vinifera에 속하는 포도 품종이 V. vinifera-labrusca hybrids, V. vinifera-labrusca-aestivalis hybrids, V. vinifera-labrusca-aestivalis에 V. riparia, V. rupestris, V. lincecumii 등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추가된 hybrids에 비해 감수성이었으며, 특히 V. vinifera-labrusca hybrid에서는 4배체 품종이 2배체 품종에 비해 감수성이었다. 온실 내에서 병원균 포자의 분무접종을 통한 품종간 저항성 검정 결과와 포장상태에서의 저항성 결과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온실 내에서의 저항성 검정방법이 포도 노균병 저항성 검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이탈리안라이그래스 발아기 내염성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Salt Tolerance during Germination in Italian Ryegrass)

  • 이강수;최선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3-419
    • /
    • 1995
  • 본 연구는 이탈리안라이그래스의 발아기간중에 있어서 내염성에 대한 품종간 변리를 조사하기 위한 적정 온도 및 NaCl의 농도를 구하고자 2배체의 9 품종, 4배체의 11품종 등 20 품종을 온도 $25^{\circ}C$, 2$0^{\circ}C$ 및 15$^{\circ}C$인 조건에서 NaCl 농도를 350mM까지 8수준으로 조절하여 발아상태를 조사하였다. 1. 대조구에서의 발아율에 대한 발아 50%감소 염농도(발아 50%감소 염농도)는 15$^{\circ}C$에서 354mM이 었으며 2$0^{\circ}C$에서 324mM 그리고 $25^{\circ}C$에서 325mM이었다. 2. 온도조건간에 있어서 품종들의 발아 50%멸소염농도는 서로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는데 2$0^{\circ}C$와 15$^{\circ}C$사이의 상관관계가 $25^{\circ}C$와 15$^{\circ}C$ 또는 2$0^{\circ}C$사이에서보다 유의성이 높았다. 3. 온도 2$0^{\circ}C$인 조건에서 품종들의 발아 50%감소염농도는 NaCl의 농도가 350mM인 조건에서의 치상 10일후에 품종들의 발아속도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4. 온도 2$0^{\circ}C$이고 NaCl 농도가 350mM인 조건에서의 치상 10일 후 품종들의 발아속도를 비교하여 품종들의 발아내타성을 분류하여 본 결과 Wase Aoba, Bettina, E. K-11, Tetrone, Lira Sand, Tetra Florum 및 Billiken의 7 품종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uchi, Wase, Wase Yutaka, Sakura Wase, Magnolia, Limella, Delita의 6품종은 중정도로, 그리고 Atalja, Barmultra, Ajax, Liberta, LM-16, Elving, Wilo의 7 품종은 약한 품종으로 분류되었다.

  • PDF

식물육종에 있어서 비환원 ( 2n ) 배우자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Unreduced ( 2n ) Gametes in Plant Breeding)

  • Rim, Yong-W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1997
  • Unreduced (2n) gametes are meiotic products (pollen or egg) having a sporophytic (somatic) chromosome number, resulting from abnormalities during either microsporogenesis or megasporogenesis. They occur naturally at a low frequency in many plant species. Unreduced (2n) gametes in plants can be identified for four possible ways as follow i) pollen size and/or shape differences between haploid (n) and diploid (2n) pollen, ii) ploidy analysis (chromosome number) of progeny or meiotic analysis (presence of dyads andlor triads at the microspore stage), iii) progeny performance and fertility and iv) dosage of isozyme and DNA markers. Unreduced (2n) gametes can be an effective breeding tool in synthesizing new cultivars, providing a unique method to maximizing heterozygosity, i.e., transferring a large proportion of the non-additive genetic effects (intra- and inter- locus interactions) h m parent to offspring and can also be used to overcome infertility of interploidy crosses. Sexual polyploidization through 2n gametes has been a major route to the formation of naturally occurring polyploids. The three mechanisms of 2n pollen formation in potato have been discovered as follow: i) parallel spindles (ps) or tripolar spindles (ts), ii) premature cytokinesis (pc-I, pc-2) and iii) synaptic mutants (sy-2, sy-3, sy-4). 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echanisms of 2n gamete formation were controlled by single recessive gene in potato, alfalfa, red clover, etc., and by two recessive genes in wheat. The use of 2n gametes which can efficiently transfer germplasm fiom wild relatives to cultivated species, especially fiom diploid to tetraploid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germplasm base in breeding programs.

  • PDF

대자뽕과 감백뽕의임성 및 오디의 과실적 특성 (Fertility and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s on Daejappong and Garmbacppong (Morus Spp.))

  • 박광준;성규병;이용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3-98
    • /
    • 2001
  • 오디용 뽕품종으로 국상20호의 동질4배체인 대자뽕(4원뽕 31호)을 육성하였으며, Turkey 재래종 중에서 3배성인 감백뽕을 선발 육성하였는바 그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염색체수는 대자뽕은 2n=56인 4배체이고, 감백뽕은 2n=42인 3배체 이다. 2. 대자뽕의 종자형성률은 48.2% , 침종자율은 32.7%로 낮았으나 발아율은 90%에 달하였다. 감백뽕의 종자형성율은 41.0% , 침종자율은 1.9%, 발아율은 7.0%에 불과하였다. 3. 대자뽕 오디의 단과중은 4.39 g로 대과충만형이고, 오디색은 연자색이며, 감백뽕 오디는 3.269의 중대형이고 유백색 이다. 4.대자뽕 오디의 당도는 14.2 Brix 총산도는 0.45%이며, 감잭뽕 오디의 당도는 19.3%로서 고당성이고 총산도는 0.15%이다. 5.두 품종 모두 오디의 숙기는 만숙성이고, 오디의 착과정도는 대자뽕은 많으며, 감백뽕은 보통수준이다. 춘기 발아개엽기는 공시품종 모두 중생뽕이다

  • PDF

절화장미 품종간 정역교배에 있어서 EST-SSR 마커의 유전 (Skewed Inheritance of EST-SSR Alleles in Reciprocal Crosses of Cut Roses)

  • 김진기;안동춘;오혜정;김광환;최영미;오승용;강남준;정병룡;김주현;박영훈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18-626
    • /
    • 2010
  • 장미속 종간교잡 후대에서 발견되는 경모유전(matroclinal inheritance) 현상은 세포질 유전, 단위결과, 그리고 비대합적 배우자생식(asynaptic heterogamy)의 결과로 설명될 수 있다. 비대합적 배우자생식은 $Caninae$ 아절($Rosa$ $hybrida$ L. sect. $Caninae$ DC.)의 종간교잡에서 독특하게 관찰되며, 5배체의 경우, 화분세포를 통해서는 2가염색체(2x=14)를 이루는 상동게놈 중 한 게놈(x=7)만이, 난세포에서는 이러한 게놈(x=7)과 더불어 1가 염색체를 이루는 나머지 게놈들(3x=21)이 동시에 유전되어 후대에서 종자친의 배수성(5x=35)이 회복된다. 본 연구에서는 절화장미 품종간 정역교배시 대립유전자의 후대유전 빈도를 관찰함으로써, 4배체 품종교배에서 관찰되는 경모유전의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절화장미 6품종을 이용한 6개 정역교배조합 당 8개의 후대개체를 총 30개의 EST-SSR 마커로 검정해 본 결과, 뚜렷한 세포질 유전의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단위결과의 경우도 'Redtem' ${\times}$ 'Red Sandra' 조합의 후대개체 하나에서만 발견되어, $Caninae$ 아절의 종간교잡에서와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빈도였다. 비대합적 배우자생식의 예도 $Caninae$ 아절의 경우처럼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하지만, 6개 공시품종 중, 4개의 품종에서 화분친 보다 종자친으로 교배시 품종 특이적 마커의 후대유전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품종에 따라 대립유전자의 모계유전적 성향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특히 'Yellow King'의 경우, 11개의 대립유전자 중 10개가 종자친일 경우에 후대집단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 공시품종 중 가장 강한 모계유전성을 보였다.

Transcriptome Profiling and Characterization of Drought-Tolerant Potato Plant (Solanum tuberosum L.)

  • Moon, Ki-Beom;Ahn, Dong-Joo;Park, Ji-Sun;Jung, Won Yong;Cho, Hye Sun;Kim, Hye-Ran;Jeon, Jae-Heung;Park, Youn-il;Kim, Hyun-S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11호
    • /
    • pp.979-992
    • /
    • 2018
  • Potato (Solanum tuberosum L.) is the third most important food crop, and breeding drought-tolerant varieties is vital research goal. However, detailed molecular mechanisms in response to drought stress in potatoes are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we developed EMS-mutagenized potatoes that showed significant tolerance to drought stress compared to the wild-type (WT) 'Desiree' cultivar. In addition, changes to transcripts as a result of drought stress in WT and drought-tolerant (DR) plants were investigated by de novo assembly using the Illumina platform. One-week-old WT and DR plants were treated with -1.8 Mpa polyethylene glycol-8000, and total RNA was prepared from plants harvested at 0, 6, 12, 24, and 48 h for subsequent RNA sequencing. In total, 61,100 transcripts and 5,118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displaying up- or down-regulation were identified in pairwise comparisons of WT and DR plants following drought conditions. Transcriptome profiling showed the number of DEGs with up-regulation and down-regulation at 909, 977, 1181, 1225 and 826 between WT and DR plants at 0, 6, 12, 24, and 48 h, respectively. Results of KEGG enrichment showed that the drought tolerance mechanism of the DR plant can mainly be explained by two aspects, the 'photosynthetic-antenna protein' and 'protein processing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We also divided eight expression patterns in four pairwise comparisons of DR plants (DR0 vs DR6, DR12, DR24, DR48) under PEG treatment. Our comprehensive transcriptome data will further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regulating drought tolerance in tetraploid potato cultivars.

주요 장미 7품종의 FISH 핵형분석 (FISH Karyotype Analysis of Seven Rose Cultivars)

  • 황윤정;한태호;;임기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68-572
    • /
    • 2012
  • 효율적인 교배를 위해서는 모본 또는 부본으로 사용하게 될 개체의 배수성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미 신품종 육성 프로그램에 이용되고 있는 장미 7품종의 FISH 핵형분석을 통하여 배수성을 확인하고 이를 육종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수성 검경 결과, 7품종 모두 4배체(2n = 4x = 28)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FISH 핵형분석 결과, 45S rDNA는 4개의 signal이 7번 염색체 단완의 말단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염색체의 길이 관찰 결과, '알렉산드라'는 $1.67-2.67{\mu}m$, '프로이트'는 $1.40-2.04{\mu}m$, '리틀실버'는 $1.64-2.24{\mu}m$, '테레사'는 $1.69-2.26{\mu}m$, '티네케'는 $1.70-2.65{\mu}m$, '비탈'은 $1.35-2.08{\mu}m$, '옐로우미미'는 $1.39-2.04{\mu}m$로 관찰되었다. 염색체 전체 길이의 합은 프로이트 품종이 $11.23{\mu}m$ 로 가장 작았으며 알렉산드라 품종이 $15.05{\mu}m$로 가장 크게 관찰되었다. 염색체의 조성은 중부동원체형, 차중부동원체형, 차단부동원체형으로 구성되었으나 차단부염색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향나무속(屬)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Studies of Genus Juniperus)

  • 김수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338-350
    • /
    • 1988
  • 남한(南韓)에 자생(自生) 또는 도입재배(導入栽培)되고 있는 향나무속(屬) 종류(種類)들의 분류학적(分類學的) 문제(問題)들을 해결(解決)하고 재정비(再整備)할 목적(目的)으로 자생종(自生種) 7종류(種類)와 조입종중(導入種中)에서 많이 재배(栽培)되고 유용(有用)하게 이용(利用)되고 있는 원예종(園藝種) 4종류(種類)를 재료(材料)로 하여 각종류(各種類)의 꽃의 구조(構造), 구과(毬果), 종자(種子), 가지습성(習性), 기본수형(基本樹形) 및 잎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해서 속(屬)과 종(種)의 검사표(檢査表)를 작성(作成)했으며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 특징(特徵)으로는 종간(種間)의 식별(識別)이 모호(模糊)한 것을 명확(明確)히 구명(究明)하기 위(爲)해서 근단(根端)을 재료(材料)로 하여 염색체(染色體)의 기본수(基本數)와 핵형분석(核型分析)을 하고 그 결과(結果)로 각(各) 종간(種間)의 차이점(差異點)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하였던바 전종(全種)의 염색체장(染色體長)은 $9.0{\sim}15{\mu}m$, 향나무, 심향나무, 가이즈가향나무, 섬향나무(일본산(日本産))은 4배체(倍體)(4n=44), 옥향나무, 눈향나무, 뚝향나무, 연필향나무, 노간주나무, 좀노간주나무, 해변노간주나무는 2배체(倍體)(2n=22)이고 향나무절(節)의 종(種)들은 염색체(染色體)길이 및 동원체(動原體)의 위치(位置)의 변이(變異)가 대단(大端)히 심(甚)하였다. 노간주나무절절(節)의 종(種)들은 11번 염색체(染色體)가 t형(型)이고, m형(型) 염색체(染色體)가 많은 비교적(比較的) 균일(均一)하고 단순(單純)한 염색체(染色體) set를 이루는 것이 향나무절(節)과 뚜렷이 다른 세포학적(細胞學的)인 특징(特徵)이다. 향나무절(節)에서는 대도시(大都市)에 여러 종류(種類)들이 혼식(混植)되어 잇는 곳에서는 동종(同種)의 지역품종(地域品種) ecotype간(間), 때로는 기본종(基本種)과 변종간(變種間)에 교배(交配)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향나무 종내개체(種內個體)들 간(間)에는 형태적(形態的)으로 차이(差異)가 다양(多樣)하다. 상기(上記) 결과(結果)들을 종합(綜合)하여 향나무속(屬)의 특성(特性)을 세포학적(細胞學的)으로 명확(明確)히 식별(識別)하고 종간(種間)의 고유특성(固有特性)을 밝히고 종(種)의 특징(特徵)을 기재(記載)하였다.

  • PDF

수분수 종류에 따른 키위프루트 '선플'과 '감황'의 과실 품질과 종자 형성 (Characteristics of Fruit Quality and Seed Formation Influenced by Pollen Donors in Kiwifruit 'Sunfl' and 'Garmhwang')

  • 이목희;장연진;김성철;김홍림;좌재호;김진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8-155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육성 품종 '선플'과 '감황' 과실 생산에 적합한 수분수를 선발하기 위해 'SKK2', '델리웅', '보화', 'Chieftain' 각각의 꽃가루로 인공수분하여 과실 품질과 종자의 발육을 조사하였다. 착과율은 두 품종이 모든 처리구에서 96% 이상이었다. '선플'은 '델리웅' 처리에서 과중이 가장 높았고 2021년은 '보화' 처리에서 2022년은 'Chieftain'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감황'은 2021년에 '델리웅' 처리에서 2022년은 'Chieftain' 처리에서 과중이 가장 높아 연차 간 차이를 보였다. '선플'의 과실 품질 조사 결과, 2022년에 건물률은 'SKK2'처리에서 가장 높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Chieftain'에서 가장 높았으며 2021년에는 처리 간 유의차가 없었다. '선플'의 총 종자 수와 미숙 종자 수는 6배체 수분수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천립중은 4배체 수분수 처리구에서 무거웠다. '감황'의 과실 품질 조사 결과, 건물률과 산 함량은 2년 모두 'SKK2'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연차 간 차이를 나타냈다. '감황'의 총 종자 수와 성숙 종자 수는 '델리웅'과 'Chieftain' 처리에서 가장 많았고 미숙 종자 수는 'SKK2'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