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icular cycl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8초

Efficacy of testicular sperm chromatin condensation assay using aniline blue-eosin staining in the IVF-ET cycle

  • Park, Yong-Seog;Kim, Myo-Kyung;Lee, Sun-Hee;Cho, Jae-Won;Song, In-Ok;Seo, Ju-Tae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3호
    • /
    • pp.142-147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esticular sperm chromatin condensation using aniline blue-eosin (AB-E) staining and its effects on IVF-ET. Methods: Chromatin condensation was analyzed using AB-E staining in 27 cases of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here were 19 cases of obstructive azoospermia (OA) and 8 cases of non-obstructive azoospermia (NOA) in IVF-ET. Mature sperm heads were stained red-pink whereas immature sperm heads were stained dark blue. The percentage of sperm chromatin condensation was calculated from the ratio of the number of red-pink sperm to the total number of sperm analyzed. Results: The overall percentages of chromatin condensation in OA and NOA were $31.1{\pm}11.2%$ and $26.3{\pm}14.4%$, respectively. The fertilization rate was significant higher in OA than NOA ($p$ <0.05); however, the rates of good embryos and clinical pregnancy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In OA and NOA,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in the rate of chromatin condensation, fertilization, good embryos, and clinical pregnancy between the pregnant group and non-pregnant group. Conclusion: Chromatin condensation is less stable than OA and showed a low fertilization rate in NOA.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romatin condensation results between NOA and OA, we propose that a pattern of decreased chromatin condensation in NOA is one of the factors of low fertilization results requiring further study.

Gametogenic Cycle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Biological Minimum Size in Protothaca (Notochione) jedoensis (Bivalvia: Veneridae) in Western Korea

  • Park, Kwan-Ha;Chung, Ee-Yung;Lee, Chang-Hoon;Kim, Sung-Han;Kim, Sung-Yeon;Seo, Won-Jae;Ryu, Dong-Ki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1-271
    • /
    • 2011
  • The gametogenic cycle, the spawning season and the biological minimum sizes in female and male Protothaca (Notochione) jedoensis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females,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s of the follicle areas to the ovarian tissue areas and the percents of the oocyte areas to the ovarian tissue areas increased in February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from May to July, with the spawning peak between June and July. In males,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s of the testicular tissue areas to total tissue areas and the percents of the spermatogenic stage areas to the testicular tissue areas increased in February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showed a rapid decrease from May to July.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in female and male P. (N.) jedoensis occurred once a year, from May to July. Therefore, P. (N.) jedoensis in both sexes showed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Compared the gametogenic cycle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2007 with the previous qualitative results of this species, the results of the gametogenic cycle calcul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ome differentiations in the spawning seasons evaluated by the gonad index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The intervals of the beginning of two spawning seasons showed one month betwee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biological minimum sizes (considering to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female and male clams by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species are 32.01 mm in shell length in females and 30.58 mm in male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ean shell length fitted to von Bertalanffy's equation, 30.58 and 32.01 mm in shell length were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Therefore, we assume that both sexes of this population begin reproduction from two years of age.

동해안 참가자미, Limanda herzensteini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Brown sole, Limanda herzensteini in Eastern Waters of Korea)

  • 장윤정;이정용;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8-132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자연산 참가자미의 주 어획지역인 강원도 주문진 인근해역에서 1998년 9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연간 생식소중량지수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조직학적 조사에 의한 생식소 발달과정과 생식주기를 밝혔다. 정소는 정소소엽 형태이며, 각각의 정소엽은 여러 개의 소낭구조를 가진다. 각 소낭내의 생식세포들은 같은 단계의 발달상태를 보인다. 난소는 원추형의 낭상으로 체강벽에서 연결되는 난소간막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는 결체성 조직인 다수의 난소박판으로 구성되며, 이곳에서 난원세포가 유래한다. 수컷의 GSI는 1월에 가장 높았으며, 암컷의 GSI는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생식주기는 성장기(6∼9월), 성숙기(10∼12월), 완숙 및 산란기(1∼3월)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4∼5월)로 나눌 수 있었다. 난모세포의 발달양식은 난군동기발달형에 속하였다.

담수산 석패와 7종의 발생시기에 관한 연구 (Seasonal Gonadal Cycle of the Seven Species of Freshwater Unionidae ( Pelecypoda : Unionoida ))

  • 박갑만;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7-163
    • /
    • 1995
  • The unionid family Unionidae contains several genera in Korea, among which occru considerable variations in life histories and sexual conditions. Seven species from the Korea(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Unio douglaseae, U. douglasiae sinuolatus, Lamprotula gottschei, Lanceolaria acrorhyncha, Solenaia triangularis)were stueide in order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seasonal gonadal activity and the visceral sex. The gonads of seven species were histologically examined by using the paraffin block technique for sectioning. All seven species were uniformly dioecious and testicular activity in six species except one species, S. triangularis, generated sperm-morulae(multinucleated cell).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seven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multicative, growing, mature, spent, deginerative and resting stages. The breeding season of six species was the summer and that of A. a. flavotincta was the winter.

  • PDF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Acheilognathus rhombeus, in Korea

  • Ki, Se-Un;Kho, Kang-Hee;Lee, Won-Ky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4호
    • /
    • pp.323-331
    • /
    • 2019
  •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a Korean flat bittering, Acheilognathus rhombeus, from Ogok-myeon located in Seomjin River. The reproductive cycle was examined histologically regarding water temperature and day length of the habitat, the gonadosomatic index (GSI),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female and male gonads. The maximum GSI was found to be 3.50±0.53 and 1.36±0.14 for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when the water temperature and day light was 16.9℃ and 11.3 hours, respectively in October 2018.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GSI was found to be 0.16±0.09 and 0.69±0.15 for males and females in December 2018 and February 2019, respectively. The ovipositor of females appear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8. We compared and calculated the stages of germ cell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testis and ovaries to determine the reproductive cycle. According to the result, we classified the female A. rhombeus reproductive cycle into four phases, which are ripe and spawning phase (October), degenerative phase (November to December), growing phase (January to March) and mature phase (April to September).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male A. rhombeus was categorized into four phases: mature phase (June to October), degenerative phase (November to March), resting phase (April) and growing phase (May). The Korean flat bittering is an autumn-spawner as the main spawning season in October. In male, testicular spermatogonia appeared all year-round, and the ripe and releasing phase, which is characteristics of the spawning season in other fish, did not appear.

한국산 수수미꾸리 Kichulchoia multifasciata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Korean loach, Kichulchoia multifasciata (Pisces: Cobitidae))

  • 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16-221
    • /
    • 2013
  •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수수미꾸리의 생식주기를 생식소중량지수와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수미꾸리 암컷과 수컷의 생식주기는 성숙기 (growing phase, 11~이듬해 3월), 산란기 (spawning phase, 4~5월), 퇴화기 (degeneration phase, 5~6월), 휴지기 (resting phase, 6~11월) 등 4단계로 구분되었다. 암컷과 수컷의 최적 수온이 $12.7^{\circ}C$, 일장시간이 13시간 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는 4월에서 5월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학적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형산강하구에 서식하는 참재첩 (Corbicula leana (Prime))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Marsh Clam, Corbicula leana (Prime) in Hyongsan Estuary)

  • 김진희;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4-191
    • /
    • 2000
  • 포항 형산강 하구에 서식하는 참재첩, Corbicula leana을 대상으로 생식세포 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참재첩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며, 생식소는 완숙하면 암컷은 흑갈색, 수컷은 유백색을 띤다. 생식소관은 내장낭의 간중장선 하방으로 부터 근충의 외벽근층내에 있는 섬유성 망상결체조직까지 분포되어 있다. 난소는 수지상으로 연결된 난소소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소 역시 많은 소관상의 정소소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소관의 내강상피가 생식상피 기능을 하고 있다. 성숙난모세포는 배포의 변화로 알 수 있으며, 그 크기는 $70{\~}80{mu}m$ 정도이다. 난소 및 정소의 초기 발달에는 간충조직과 색소과립세포들이 영양세포로 관여하고 있으며 난소와 정소가 발달하면서 점차적으로 사라진다. 생식소 발달은 수온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고, 비만도의 변화도 주기성이 일치하였다.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 성장기, 성숙기, 방출기, 퇴화기 그리고 회복기 둥의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할 수가 있다. 산란기는 6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이고, 산란성기는 7월과 8월이었으며 생물학적 최소형은 10.0 mm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 PDF

우럭, Mya arenaria의 생식연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Soft Clam, Mya arenaria)

  • 김진희;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56-660
    • /
    • 2001
  • 우럭, Mya arenaria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다. 생식소는 소화맹낭과 근육층 사이에 분포하고 있다. 난소와 정소는 작은 소낭들로 구성되어 있고, 성숙하면 비후된다. 이들 소관의 내강상피가 생식상피 기능을 하고 있다. 난소 및 정소의 발달에는 간충조직과 과렵세포들이 영양세포로 관여하고 있으며, 방란 방정을 마친 생식소는 완전 퇴화하고, 짧은 회복기를 거쳐 생식소낭의 형태를 갖추며 새로 분화 재배치된 망 상결체조직에서 생식소가 신생되어 기능을 발휘한다. 비만도는 99년 4월 (0.054)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방출기가 종료된 직후 1998년 10월에 최저값 (0.030)을 보였다. 완숙난은 $60{\mu}m$ 전후로 하나의 큰 인을 가진다. 암수의 성비는 0.89:1로 수컷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2월$\~$3월), 후기활성기 (4월$\~$8월), 완숙기 (9월),부분방출 및 방출기 (9월$\~$10월) 그리고 비활성기 (11월$\~$1월) 등의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할 수가 있다. 주산란기는 $9\~10$월로 추계산란종이다.

  • PDF

새조개, Fulvia mutica (Reeve)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Cockle, Fulvia mutica (Reeve))

  • 장영진;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1-250
    • /
    • 1982
  • 자웅동체형 이매패인 새조개, Fulvia mutica,의 자원관리 및 양식을 위한 기초생물학적 연구로서, 1980년 10월부터 1981년 9월까지 월별로 채집한 여수근해산 재료를 대상으로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월파를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제사하였다. 생식소는 복잡한 관상구조를 가진 않은 난소소낭과 정소소낭들이 서로 혼재된 자웅동체형을 나타내고 있다. 발달초기의 생식소에서 성장중인 생식세포와 함께 호산성 과립세포와 불분화간충조직들이 풍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생식소 성숙함에 따라 점차 소실되어 간다. 완숙난의 크기는 $56\sim67{\mu}m$으로 젤라틴장의 피막에 둘러싸여 있고, 변태를 마친 완숙정자는 청소소의 내경신앙에 파상의 정자수을 형성한다. 새조채의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 성장기, 성숙기, 방출기, 퇴화기 및 회복기의 연연시인 6단계로 나눌 수 있었으며, 산난기는 수온 $20^{\circ}C$내외의 $5\sim10$월로써, 그 성기는 $6\sim7$과 9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월의 조기산난개체들은 생식소를 곧 회복발달시켜 9, 10월 방난군에 다시 참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서해안산 큰이랑피조개, Scapharca satowi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Scapharca satowi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송홍인;조영록;박영제;박광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5-211
    • /
    • 2001
  • 한국 서해안에 한정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종이나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큰이랑피조개를 새로운 산업화 양식품종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1999년 7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충남 태안군 근흥면 연안에서 형망으로 채집한 큰이랑피조개(Scapharcs satowi)의 생식소 발달과정과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큰이랑피초개는 자웅이체로서,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 많은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낭에는 간충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여겨진다. 비만도는 2000년 5월에 0.012이던 것이 수온 상승과 더불어 증가하여 6월에는 최고값인 0.017로 증가하였다. 이 후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육중강량비도 비만포와 비슷한 경향으로 2000년 6월에 44%로 가장 높았다가, 이후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군 성숙도가 50%를 넘는 개체는 암, 수 모두 각장 70~79.9mm인 개체들로 조사되었고, 100mm 이상의 대형개체에서도 10%미만의 성적으로 미성숙한 개체가 관찰되었다. 생식주기는 수온 변화 경향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조기 활성기 12~3월, 후기 활성기 4~5월, 완숙기 6~7월, 부른 산란기 7~9월, 퇴차 및 비활실기 9~11월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