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 sequence

검색결과 1,293건 처리시간 0.026초

제로 정(로녹시캄 4 mg)에 대한 로노캠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Bioequivalence of Lornocam Tablet to Xefo® Tablet (Lornoxicam 4 mg))

  • 강현아;조혜영;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1호
    • /
    • pp.67-73
    • /
    • 2006
  • Lornoxicam is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that decreases prostaglandin synthesis by inhibiting cyclooxygenase. It has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lornoxicam tablets, $Xefo^{\circledR}$ (Hyundai Pharmaceutical Ind. Co., Ltd.) and Lornocam (Samchundang Pharmaceutical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release of lornoxicam from the two lornoxicam formulation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I Apparatus II method with various dissolution media (pH 1.2, 4.0, 6.8 buffer solution and water). Twenty eight healthy male subjects, $24.39{\pm}1.95$ years in age and $68.63{\pm}7.25$ 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a single tablet containing 4 mg as lornoxicam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lornoxicam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 with UV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formulations were similar in all tested dissolution media.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C_{max}\;and\;T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test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formulations based on the reference drug, $Xefo^{\circledR},$ were -1.56%, 2.16% and -17.12% for $AUC_t,\;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formulation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 0.8 to log 1.25 (e.g., $log\;0.90{\sim}log\;1.05$ and $log\; 0.88{\sim}log\;1.17$ for $AUC_t\;and\;C_{max},$ respectively). Thus, the criteria of the KFDA bioequivalence guideline were satisfied, indicating Lornocam tablet was bioequivalent to $Xefo^{\circledR}$ tablet.

한국인 치주 감염 환자에서의 Prevotella intermedia와 Prevotella nigrescens의 발현빈도 (The Frequency of Detecting Prevotella intermedia and Prevotella nigrescens in Korean Adult Periodontitis Patients)

  • 백승엽;구영;류인철;함병도;한수부;최상묵;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419-429
    • /
    • 2000
  • Prevotella intermedia has been implicated as a potent pathogen in many kinds of periodontal, pulpal and periapical diseases. However, it has been isolated from periodontally healthy adults and from edentulous children as well. The intraspecies heterogeneity of Prevotella intermedia has been demonstrated in early studies and finally Shah & Gharbia confirmed the existence of 2 DNA homology groups and proposed dividing Prevotella intermedia into 2 species, Prevotella intermedia and Prevotella nigrescen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Prevotella intermedia and Prevotella nigrescens in diseased periodontal pockets and healthy gingival sulcus of Korean people by PCR based on 16s ribosomal DNA sequence. One hundred adults who had adult periodontitis but not taken any periodontal treatment or antibiotics during previous 6 months and 50 adults who had healthy periodontal tissu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lcular fluid was collected into VMGA by sterilized paper point and diluted to 1,000 times in anaerobic chamber. $100{\mu}{\ell}$ of sample was cultured in $37^{\circ}C$ for 10 days. Among the bacterial colonies, BPB were selected and cultured in BHI broth and then Prevotella intermedia was identified through Gram staining and biochemical test. Identified Prevotella intermedia was cultured again and centrifuged. DNA was extracted from the pellet using several reagents. PCR was performed by previously designed primer. The results were followed. 1. BPB were isolated from 39 of 100 samples of diseased periodontal pockets(39%). 2. Prevotella intermedia was identified from 24 of 39 BPB samples. 3. Among 24 Prevotella intermedia, 21 were confirmed as Prevotella inter - media(87.5) and 2 were confirmed as Prevotella nigrescens(8.33%). 4. BPB were isolated from 9 of 50 samples of periodontally healthy patients. Among them only two were identified as Prevotella intermedia, that is, one was confirmed as Prevotella intermedia and the other was Prevotella nigrescens.

  • PDF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균주를 이용한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White Rot in Garlic Using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 한광섭;김병련;김종태;함수상;홍기흥;정창국;남윤규;유승헌;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24
    • /
    • 2013
  • Sclerotium cepivorum에 의한 흑색썩음균핵병은 마늘에 큰 피해를 주는 중요한 토양병이다. 충남 서산 및 태안의 마늘 재배농가 포장을 중심으로 2009년부터 3년간 조사한 결과, 흑색썩음균핵병은 4월 하순부터 발생을 시작하고, 5월 중순에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여 5월 하순에는 최고 발병률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에 사용된 길항미생물 CAB008106-4 균주는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Burkholderia pyrrocinia로 확인되었다. B. pyrrocinia CAB08106-4 균주는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하여 69.6%의 포장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B. pyrrocinia CAB08106-4는 마늘에 발생하는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하여 효과적인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바질 균핵병 (Sclerotinia Rot on Basil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함수상;김병련;한광섭;권미경;박인희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56-59
    • /
    • 2017
  •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예산 지역의 농가포장에서 재배 중인 바질에서 균핵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초기에는 잎과 줄기가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반점이 커지면서 점차 위쪽으로 진전, 위조하여 결국 전체적으로 썩어 죽는다. 잎과 줄기의 병반부에는 다량의 흰색 균사가 발생하며 $30-100{\mu}m$ 직경의 균핵이 형성하였다. PDA상에 균체는 흰색과 옅은 초콜릿 흑색으로 다양한 색을 나타내었고, 균핵은 검은색으로 대부분 불규칙한 구형이며 크기는 $5-50{\mu}m$였다. 병원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바질의 잎과 줄기에서는 자연 발생된 바질과 동일한 괴사와 위조증상을 보이며, 병반에서 역시 같은 균을 분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분석,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는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바질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대구지역 안면골 골절의 임상역학적 연구 (Clinical Epidemiologic Study of Facial Bone Fractures in Daegu)

  • 권혁준;한준;김준형;정호윤;김종엽;윤신혁;송철홍;류민희;김용하;서만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365-370
    • /
    • 2007
  • Purpose: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facial bone fractures, but limited to retrospective data of a single hospital. Etiology and severity of the facial bone fracture have been changed and treatment method and materials have been advanced. In order to reflect those changes and provide up-to-date data of the facial bone fractures in Daegu, we gathered the data and analyzed the epidemiologic study.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058 fractures in 895 patients were gathered from 5 general hospitals in Daegu during last year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following parameters: age, sex, place of residence, occupation, cause of injury, time of injury, location of fracture, length of in-hospital stay, time of operation, treatment method, associated injury, complic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Most commonly involved age group was 20s(26%) and the sex ratio was 3.4:1(male predominance). Fractures were occurred more in unban and white-color workers. Among variable etiology of injury, traffic accident was the most common cause. Time of injury was heighest at 6 to 7 P.M., on Sunday, in July. Locations of fractures were following sequence: nasal, zygoma, mandible, orbit, maxilla. Mean length of in-hospital stay and time of operation after injury were 6.3 and 3.2 days, respectively. In treatment methods, operative methods were dominant than conservative management and general anesthesia were favored than local anesthesia. Associated injuries were noticed in 188 cases(21.2%) and complications were in 94 cases(8.9%) and among them, ocular problem were common. Conclusio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mean age of occurrence was lowered and the etiologies showed age-specific pattern and reflected the change of lifestyle. In young age groups, sports injury, violence were more dominant and the other hand, traffic accident and fall were dominant in older groups.

Rhizopus oryzae에 의한 감귤 무름병 (Soft Rot on Citrus unshiu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권진혁;김진우;현재욱;이용환;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78-81
    • /
    • 2011
  • 2010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구입한 감귤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상처 난 감귤 껍질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병징으로부터 분리한 감자한천 배지에서 곰팡이는 연한 갈색의 균총과 검은색의 포자낭을 형성하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으나 $37^{\circ}C$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였다. 포자낭경은 흰색에서 갈색이며 크기는 $6{\sim}20\;{\mu}m$ 이었다. 포자낭은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40{\sim}200\;{\mu}m$이었다. 주축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85{\sim}120\;{\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 단포이며 구형으로 크기는 $4{\sim}10\;{\mu}m$이었다. 이상과 같은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유사도,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oryzae에 의한 감귤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가축분뇨액비의 길항미생물에 의한 토양전염성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 (Inhibition of in Vitro Growth of Three Soil-borne Turfgrass Diseases by Antagonistic Bacteria from Composted Liquid Manure)

  • 류주현;심규열;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79-886
    • /
    • 2014
  • 가축분뇨액비의 토양전염성 잔디병해들의 억제능력을 알아보고자 군위, 논산, 무안, 여주, 이천, 익산, 합천, 횡성 등 8개 지역의 가축분뇨액비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액비를 이용하여 기내에서 수행하였다. 가축분뇨액비와 병원균주들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총 110종의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였으며, 각 병원균주별로 길항능력이 우수한 한 종씩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각각의 미생물은 16s rRNA 서열분석을 통해 brown patch에 길항력을 보인 ICIIIB60은 Alcaligenes sp., large patch에 길항력을 나타낸 GWIV70은 Bacillus licheniformis Ab2, dollar spot에 길항력을 보인 ISSH20은 B. subtilis C7-3으로 동정되었다. 이들의 최적배양조건은 NB 배지(ICIIIB60)와 TSB 배지(GWIV70, ISSH20)에서 온도는 $29.5^{\circ}C-31.4^{\circ}C$의 범위에서, pH는 6.5-7.3의 범위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균주를 5종의 살균제와 혼용한 결과, ICIIIB60 균주는 테부코나졸 제제, GWIV70와 ISSH20 균주는 토클로포스메틸 제제에서 생존율이 높아 혼용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축분뇨액비는 비료로서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잔디 병해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한 환자에게서 분리된 Imipenem 내성세균들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Imipenem-Resistant Bacteria Isolated from One Patient)

  • 박철;이혁재;서민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13-419
    • /
    • 2017
  • 폐렴의 한(일개) 환자의 임상검체에서 연속적으로 분리된 Imipenem 내성세균 4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을 동정하기 위해 Vitek II system의 GN card를 이용하였으며 16S rRNA유전자 염기서열을 기초로 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리균은 P. aeruginosa (2 strains), P. monteilii (1) 및 P. putida (1) 으로 동정되었다. 분리균들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시험은 Vitek II system AST-N225 card를 이용해서 imipenem의 최소억제 농도가 모두 $${\geq_-}8{\mu}g/mL$$을 확인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beta}-Lactamase$ 유전자의 특이 시발체를 이용하여 증폭한 PCR 산물로 imipenem 내성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는데 분리된 4균주 모두에서 MBL 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2균주의 P. aeruginosa는 MBL유전자중 VIM형과 SHV형 유전자를 그리고 또다른 균주는 VIM형과 OXA group II형 유전자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었다.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서는 amikacin이 다른 항생제보다 감수성을 보였을 뿐 대체적으로 내성율이 높았다. 균주들간의 역학적 연관성 분석을 위해 ERIC-PCR을 이용한 DNA 지문 분석결과, 분리된 2 균주의 P. aeruginosa는 유사한 균주일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DNA band 유형의 상동성은 서로 다른 유형임을 알아 볼 수 있었다. 특이하게 한 환자에게서 imipenem 내성세균이 4균주가 검출 된 것은 이례적이며 동종의 DNA band 유형도 서로 상이하였다.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결구상추 밑둥썩음병 방제균주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 Active Against Rhizoctonia solani Causing Crisphead Lettuce Bottom Rot)

  • 김한우;박종영;김현주;이광렬;이진우;최우봉;이선우;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2-157
    • /
    • 2005
  • 결구상추 밑둥썩음병의 병원균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길항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결구상추 재배 포장에서 결구상추의 밑둥부위, 뿌리조직 그리고 근권토양에서 세균 702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중에서 대치배양에 의해 길항능을 나타낸 7균주를 선발하였으며, 그 중 포트검정 실험에서 유묘와 성체식물에서 발병억제효과가 우수한 BW-13균주를 길항균으로 최종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BW-13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생리$\cdot$생화학적 특성, API test 및 16S rDNA sequence를 분석한 결과 Stenotrophomonas maltophilia로 동정되었으며, 본 균주를 S. maltophilia BW-13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 maltophilia BW-13이 결구상추 밑둥썩음병의 생물적 방제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애호박 세균점무늬병 (Bacterial Spot Disease of Green Pumpkin by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 박경수;김영탁;김혜성;이지혜;이혁인;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58-167
    • /
    • 2016
  • 육묘장과 재배포장의 애호박에서 새롭게 발생한 병원균의 특성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병징은 잎에 수침상의 병반과 강한 노란색의 둘레무리를 가진 점무늬, 꽃에서 갈색 병반, 열매에 노란색의 점무늬였다. 잎의 점무늬로부터 분리된 세균은 박과작물 8개의 식물체, 흑종호박, 애호박, 쥬키니호박, 풋호박, 참박, 참외, 멜론, 오이에 병원성이 있었지만 수박과 밤호박에서는 병을 일으키지 못했다. 분리세균은 다발모를 가진 막대형으로 그람음성이며 King's B 배지에서 형광성이었으며, LOPAT 1a 그룹에 속했다. 그들의 Biolog 기질이용성은 Biolog database의 P. syringae pv. syringae 이용성과 유사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와 4개의 항존유전자(gapA, gltA, gyrB, rpoD)의 염기서열과 PAMDB에 있는 P. syringae균주들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MLST는 애호박 분리균주들이 P. syringae pv. syringae 균주들과 동일한 그룹(clade)으로 그룹화되었고, MLST 계통수에서 애호박 분리균주들의 그룹(clade)은 genomospecies 1에 속하였다. 표현형적, 유전적 특성은 애호박 분리균이 P. syringae pv. syringae임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