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estrial navigation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1초

측위 적용을 위한 중파의 전파 지연 예측 모델 구현 (Implementation of Propagation delay estimation model of medium frequency for positioning)

  • 유동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11-118
    • /
    • 2009
  • GPS의 이상 현상에 대한 대비 및 독자 항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유럽의 갈릴레오, 일본의 QZSS 등 세계선진각국의 GPS에 독립적인 위성항법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GPS의 백업 용도로 지상항법 시스템인 Loran의 현대화 작업 등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독자항법에 대한필요성이 거론되었고 국내는 해상 및 국내 전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신호 영역을 가진 DGPS신호의 대체항법 및 시각동기 인프라로서의 활용성에 대해 언급된 바 있다. GPS 보정 정보를 방송하는 DGPS 신호는 중파 대역으로 지표를 따라 전파되는 특성이 있다. 지표를 따라 전파되는 지표파는 지형의 전도율과 고도에 의해 전파의 전달시 추가지연(ASF)이 발생하고 이 추가지연은 항법 및 시각동기에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지상항법시스템인 Loran은 중파를 이용하여 항법을 하고 있으며 DGPS 신호를 이용해 측위를 하기 위해서는 국내에 거의 연구사례가 없었으므로 유사 특성을 가진 중파를 이용한 Loran의 검증된 지연모델을 분석하고 이를 DGPS신호에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파의 검증된 지연모델을 분석하고 이를 국내 기술로 구현하여 DGPS 신호의 측위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위성영상정보의 텔레매틱스 활용 방안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ry for Telematics)

  • 손홍규;이중근;박정환;최종현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9-404
    • /
    • 2004
  • Recently GPS has been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geodesy and positioning, for example, car navigation system, surveying,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LBS(Location Based Service) and so on. For telematics application, reception conditions of GPS signal are important. In some situation, such as in areas between buildings, metropolitan areas or areas with large skyscraper complexes, there are situations whereby the satellite signal is seriously restricted by various obstacles. Before the signal arrives at the receiver, it may be blocked, reflected, delayed, attenuated or scattered by terrestrial obstacles such as buildings. In this paper, we present satellite imagery data for telematics application. Therefore, for propriety of this studies, we made a GPS satellite visibility experiments in Bun-Dang on same time. This paper describes an approach to calculate building level using 0.6m, 1m, 6.6m resampling aerial polo imagery in stead of the satellite imagery and make a comparative study of accuracy. This paper tests the simulation of GPS signal using the building level.

  • PDF

ISDB-T 기반의 FULL-SEG 방송 수신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Full Segment Digital Broadcast Receiver based on the ISDB-T)

  • 엄우용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1호
    • /
    • pp.139-146
    • /
    • 2017
  • ISDB-T(Inte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전송기술 및 Time Interleaving 기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중 경로 및 Impulse Noise에 대응 가능하며, 이동 수신 환경에서도 어느 정도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 원세그(One-Seg), 풀세그(Full-Seg)는 할당된 세그먼트 개수에 따라 구분하며, 원세그 수신기는 변복조 방법으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를 사용하기 때문에 64QAM(64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사용하는 풀세그 수신기와 비교하여 높은 기술력 없이도 구현 가능하지만, 영상 데이터율의 한계로 화면 사이즈와 해상도의 제한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셋탑박스, 고정형 TV, 일체형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 가능한 HD급 해상도를 지원하는 풀세그 ISDB-T 방송 수신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실험을 통해 개발된 풀세그 ISDB-T 방송 수신 모듈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반사타겟 좌표 및 오차정보를 이용한 세종 VLBI IVP 위치계산 (Estimation of Sejong VLBI IVP Point Using Coordinates of Reflective Targets with Their Measurement Errors)

  • 홍창기;배태석;이상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17-723
    • /
    • 2020
  • VLBI, SLR, DORIS, GNSS와 같은 우주측지기술 사이의 3차원 벡터를 결정하는 작업은 ITRF에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각각의 우주측지기술에 해당되는 IVP를 정확하게 계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모델에 비해 업데이트된 수학모델을 사용하여 세종시에 위치한 VLBI의 IVP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계산의 효율과 신뢰성을 높였다. 관측값으로는 안테나에 부착된 반사타겟의 좌표가 사용되었으며 이때 관측오차크기는 1.5 mm로 설정하였다. 조정계산을 통해 VLBI IVP 좌표와 정확도를 계산했으며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값과 비교했을 때 성공적으로 계산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관측오차가 고려된 VLBI IVP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향후 VLBI IVP 계산을 위한 추가적인 지상측량이 필요하다.

지상파 DMB 기반 DGPS 서비스 측위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DGPS Service vi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김혜인;김지혜;김군택;박관동;김두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37-442
    • /
    • 2012
  • 국토해양부에서는 NDGPS 서비스의 광역화와 상용화를 위하여 2012년 현재 지상파 DMB 기반 DGPS 서비스를 구축하여 전국적으로 실험방송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가의 GPS 수신 장비를 사용하여 지상파 DMB 기반 DGPS 서비스를 이용한 동적환경에서의 이동측위를 수행하고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GPS 단독측위, NTRIP 기반의 단일기준국 NDGPS 측위, 그리고 지상파 DMB 기반의 가상기준국 DGPS 측위를 동시에 수행하였으며 고정밀 측위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수평오차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GPS 단독, NTRIP-DGPS, DMB-DGPS 측위의 수평오차가 DMB 송출간격이 3초일 때 2.3m, 1.0m, 0.7m, 1초일 때 2.0m, 1.2m, 0.8m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 단일기준국 기반의 NDGP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수평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강하구 뱃길 개발을 위한 하구역 퇴적상 변동 조사 (Bar Morphological Changes for Navigation Route Design with Environmental Affinity in the Han River Estuary)

  • 양찬수;박진규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05-208
    • /
    • 2006
  • 북방한계선 주변의 한강하구는 지난 60년 동안 개발 및 이용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자연하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인수로를 비롯한 민간 이용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강하구의 기본적인 특성에 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합성개구레이더 (SAR)를 이용한 하구역 퇴적상의 변동 조사를 실시하고, 퇴적상을 기반으로 한강하구 뱃길을 제안하고자 한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의 Radarsat-1 영상을 이용하여 시계열해석한 결과에 따르면, 1) 한강 하구역은 집중호우등에 의해 부유사가 많이 발생하며, 2) 식생역 (vegetated area) 은 거의 안정화단계에 있으며, 3) 퇴적상(bar)의 월 변동성은 크지 않으나, 매년 발생하는 호우 등에 의해 퇴적상의 위치 변화는 상당히 컸다. 여기서 얻어진 퇴적상의 변동 특성을 기반으로, 북방한계선 이남의 한강 수역에 대한 뱃길의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장기간에 대한 위성 및 현장 조가를 바탕으로 자연하천의 특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한다.

  • PDF

ATSC 8-VSB 신호의 시뮬레이션 및 성능 해석 (Analysis of Performance and Simulation of ATSC 8-VSB Signal)

  • 하연철;윤혁준;고봉진;오창헌;박승엽;박무훈;김영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56-6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 하고 8-VSB 신호의 성능을 해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경우, 표준 파라미터에 의한 송수신기 모델링을 Baseband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인접 채널간 간섭에 대해서는 Passband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리고 8-VSB 신호의 페이딩과 간섭에 대해서도 오율식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Rician 채널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주파수 간격이 20MHz 이상 떨어지면 간섭이 거의 없었고, Rician 채널의 경우, 간섭이 없더라도 페이딩에 의한 성능의 저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해상도 CDMA Pilot 신호세기를 활용한 새로운 측위기법의 성능 검증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 New Positioning Technology by Low-Resolution CDMA Pilot Strength Measurements)

  • 이형근;심주영;김희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4-16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비시선각 오차에 크게 영향을 받는 지상파 기반 무선측위의 정확도 개선을 위하여 근래에 제안된 무선신호 지도정합법의 성능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무선신호 지도정합법은 지상파 무선 네트워크 으로부터 다량의 익명 이동기기들로부터 무선신호를 자동적으로 무작위 채집하여 확률 통계적으로 비시선각 오차의 크기를 추정하고 보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이다. 무선신호 지도정합법은 이동성 관리가 필요한 어떠한 형태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적용이 가능하며 측위를 위하여 특별한 사양의 이동국 단말기와 기준국의 사양을 별도로 요구하지 하지 않으므로 향후 다양한 개형으로 전개될 ubiquitous sensor network의 고효율 측위 수단으로 전개가 가능하다. 실재 도심환경에서 획득한 CDMA 신호에 대하여 무선신호 지도정합법을 적용한 결과 비시선각 오차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측위성능의 향상이 현실적으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공항 및 항공사를 위한 AeroMACS 인프라 활용 연구 (Utilization of AeroMACS Infrastructure for Airports and Airlines)

  • 임인규;강자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73-379
    • /
    • 2019
  • AeroMACS 스펙트럼은 WRC-07에서 ITU에 의해 국제적으로 할당된 국가 자원이다. AeroMACS는 WiMAX 기반의 IEEE 802.16e를 표준으로 하는 공항 광대역 이동 통신 인프라로서 실시간 비디오, 그래픽, 음성 및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2008년 ICAO의 개발 기술기준이 승인되면서 2009년 미국을 시작으로 2019년 기준 11개국 50개 공항에서는 이미 AeroMACS 인프라를 활용하여 D-TAXI나 A-SMGCS 기술에 대한 시험을 완료하였다. 지상 통신 운영에 있어 안전과 편의성에 많은 장점을 가진 이 시스템은 ICAO의 ASBU 계획에 따라 공항 운영에 대한 성능개선 영역으로 되고 있다. 본 논문은 AeroMACS의 국내 개발구축 현황을 알아보고 실제 사용자인 항공사 및 조업사에서 적용 가능한 부분들을 열거한다. 또한 능동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실현 가능한 이동 지역 내 협력업체 관리와 항공기 통신 시스템 활용 방안을 제시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차세대 공항 이동 통신 시스템 서비스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Discontinuity in GNSS Coordinate Time Series due to Equipment Replacement

  • Sohn, Dong-Hyo;Choi, Byung-Kyu;Kim, Hyunho;Yoon, Hasu;Park, Sul Gee;Park, Sang-Hyu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1권4호
    • /
    • pp.287-295
    • /
    • 2022
  • The GNSS coordinate time series is used as important data for geophysical analysis such as terrestrial reference frame establishment, crustal deformation, Earth orientation parameter estimation, etc. However, various factors may cause discontinuity in the coordinate time series, which may lead to errors in the interpret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iscontinuity in the coordinate time series due to the equipment replacement for domestic GNSS stations and discuss the change in movement magnitude and velocity vector difference in each direction before and after discontinuity correction. To do this, we used three years (2017-2019) of data from 40 GNSS stations. The average magnitude of the velocity vector in the north-south, east-west, and vertical directions before correction is -12.9±1.5, 28.0±1.9, and 4.2±7.6 mm/yr, respectively. After correction, the average moving speed in each direction was -13.0±1.0, 28.2±0.8, and 0.7±2.1 mm/yr, respectively. The average magnitudes of the horizontal GNSS velocity vectors before and after discontinuous correction was similar, but the deviation in movement size of stations decreased after correction. After equipment replacement, the change in the vertical movement occurred more than the horizontal movement variation. Moreover, the change in the magnitude of movement in each direction may also cause a change in the velocity vector, which may lead to errors in geophysic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