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nary copolym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pH-민감성 삼성분계 공중합체 젤의 합성 및 팽윤 속도론 (Synthesis and Swelling Kinetics of a Cross-Linked pH-Sensitive Ternary Copolymer Gel System)

  • Zafar, Zafar Iqbal;Malana, M.A.;Pervez, H.;Shad, M.A.;Momma, K.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19-229
    • /
    • 2008
  • A pH sensitive ternary copolymer gel was synthesized in the presence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as a crosslinking agent through radical 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 (VA), acrylic acid (AA) and methyl acrylate(MA) with a weight ratio of 1 : 1.3 : 1. A number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welling behavior of the gel under a variety of pH conditions of the swelling medium. As the pH of the swelling medium was changed from 1.0 to 8.0 at $37^{\circ}C$, the gel showed a shift in the pH-dependent swelling behavior from Fickian (n=0.3447) to non-Fickian (n=0.9125). The resulting swelling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graphical and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welling of the gel was controlled by the pH of the medium, i.e. $n=n_o{\exp}(S_{C}pH)$, where n is the diffusion exponent, $n_o(=28.9645{\times}10^{-2})$ is the pre-exponential factor and $S_C$(=0.1417) is pH sensitivity coefficient. The swelling behavior of the gel was also examined in aliphatic alcoho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swell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alcoholic molecular chain.

Morpholog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PS/PMMA/SMMA Blends Filled with Carbon Black

  • Lee, Moo-Sung;Ha, Min-Gyu;Ko, Hyun-Jin;Yang, Kap-Seung;Lee, Wan-Jin;Park, Min
    • Fibers and Polymers
    • /
    • 제1권1호
    • /
    • pp.32-36
    • /
    • 2000
  • An alternative strategy to .educe the percolation threshold of carbon black (CB) in polymer blends was investigated using random copolymer ternary blends of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PMMA), and a styrene-methyl methacrylate random copolymer (SMMA). The target morphology was to selectively locate CB particles in the encapsulating layer of SMMA during melt mixing. The CB used in this study is BP-2000 from Cabot and has a strong selective affinity to PS. Even when the CB was premixed with SMMA, it moves to the PS phase during the melt mixing. However, we also observed the CB particles loc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SMMA and PS phases.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olymers and CB particles is critical for selectively localizing CB particles in multi-component polymer blends. Although appropriate processing condition may retard the movement of CB particles to the polymer phase with affinity, it cannot prevent it completely and locate them to the SMMA phase, which is not thermodynamically favored. To locate CB particles in an encapsulating layer of ternary polymer blends, first of all, polymers forming it should have selective affinity to CB.

  • PDF

폴리아마이드 66/폴리프로필렌 블렌드의 상업화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of Polyamide 66/Polypropylene Blend)

  • 김석준;남병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3호
    • /
    • pp.262-272
    • /
    • 2003
  • 말레인산 무수물을 그라프트시킨 폴리프로필렌(PP-g-MA)을 폴리아마이드 66(PA 66)/PP-g-MA 이원 블렌드 및 PA 66/polypropylene(PP)/PP-g-MA 삼원블렌드에 한 성분 및 상용화제로 각각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원 및 삼원블렌드 사이의 여러가지 물성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평가된 물성으로는 인장강도,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 충격강도, 용융흐름지수 그리고 전단속도 증가에 따른 점도변화가 포함된다. 이원 블렌드의 충격강도는 모든 조성에서 삼원 블렌드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PA 66 말단의 아민 그룹과 PP-g-MA의 산 무수물이 반응하여 이미드(imide) 그룹이 형성되어 PP-g-PA 66 공중합체의 합성이 분자량을 증가시키고 이 반응이 삼원 블렌드에서 보다 이원 블렌드에 더 많이 일어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삼원 블렌드계의 경우 대부분의 물성이 이원 블렌드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PP의 물성이 PP-g-MA의 물성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충격에 매우 강한 70/30(PA 66/pp-g-MA) 및 80/20 조성의 이원 블렌드는 가공성이 나빠 상업적 응용에는 불리하다. 따라서, 상업적 응용에는 낮은 용융점도를 보이는 삼원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고전압 전력케이블 절연체 응용을 위한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기반 3성분계 블렌드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mpact Polypropylene Ternary Blends for High-Voltage Power Cable Insulation Applications)

  • 이성환;김도균;홍신기;한진아;한세원;이대호;유승건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127-133
    • /
    • 2022
  • 폴리프로필렌은 가교폴리에틸렌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고전압 전력케이블 절연체로써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은 탄성률이 크고 충격에 취약하여 단독으로 절연체로 사용될 수 없고, 중합 단계에서 고무상이 혼재된 공중합체 형태로 주로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내충격성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탄성체, 그리고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의 용융 혼합을 통해 연성의 폴리프로필렌계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 기재를 유지하면서도 다량의 탄성체 상들을 지니는 적정 비율의 3성분계 블렌드를 개발하였고, 탄성체 상들의 도입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의 탄성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5도 및 -40도에서의 충격강도 및 연신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동적기계분석을 통해 가교폴리에틸렌이 기계적 물성을 손실하는 100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3성분계 블렌드는 고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의 저장탄성률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3성분계 블렌드는 30 kV/mm의 직류 전압 인가 하에서 공간전하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우르솔릭산 피부 적용제제의 설계 및 평가 (Formulation Design and Evaluation of Ursolic Acid Microemulsion Delivery System for Topical Formulation)

  • 박종희;경기열;이계원;지웅길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4호
    • /
    • pp.233-241
    • /
    • 2005
  • Ursolic acid (UA), a bioactive triterpene acid, has been known to increase collagen content in human skin in addition to other actions such as anti-inflammatory, skin-tumor prevention and anti-invasion. However, it is poorly soluble in water. Therefore, we firstly prepared microemulsion system with benzyl alcohol, ethanol and Cremophor EL, RH 40 and Brij 35 as surfactant in order to increase solubility of UA and then prepared microemulsion was dispersed in o/w cream base for the topical delivery of UA in an effort to improve anti-wrinkle effect. The pseudo-ternary phase diagrams were developed and various microemulsion formulations were prepared using benzyl alcohol as an oil, Cremophor EL, RH 40 and Brij 35 as a surfactant. The droplet size of microemulsions was characteriz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The accumulation of VA in the skin from topical cream was evaluated in vitro using hairless mouse skins. The mean droplet size was $26.8{\pm}6.6$ nm for microemulsions II with Cremophor EL. All UA creams showed pseudoplastic flow and hysterisis loop in their rhe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materials added in topical creams. The in vitro accumulation data demonstrated the UA topical cream prepared with the combination of Poloxamer 407 and Xanthan gum as a copolymer showed higher accumulation percentage than those prepared with either Poloxamer 407 or Xanthan g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UA topical cream using microemulsion systems may be promising for the topical delivery of UA.

Poly(phenylene ether)/Polyamide 블렌드의 상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tibilization of Blends Based on Poly(phenylene ether) and Polyamide)

  • 김형수;임종철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441-449
    • /
    • 2001
  • 폴리페닐렌 에테르(PPE)/폴리아미드(PA)를 근간으로 하는 블렌드를 상용화하기 위하여 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이 그라프트된 공중합체 (g-BS)를 합성하고 여기에 폴리아미드의 말단기인 아민기와 반응성이 높은 무수말레인산기를 그라프트시킨 g-BS*를 도입하여 블렌드의 형태학과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하고 상용화제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폴리아미드 연속상에 분산되어 있는 PPE상의 크기와 이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변화는 사용된 g-BS의 구조와 관능기의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블렌드의 내열성과 내충격성의 균형을 위하여 g-BS성분을 PPE상에 내재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상구조의 형성은 g-BS에 포함된 폴리스티렌의 함량과 분자량이 적절하게 유지될 때 가능하였다. 고무함량과 그라프트된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이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g-BS*에 존재하는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낮거나, 고무입자의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연속상과 분산상의 계면 보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g-BS*를 사용하면, 폴리페닐렌 에테르에 관능기를 도입하여 상용화하는 기존의 방법과 동등한 정도의 물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자연 색상이 보다 우수한 수지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