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nal care performanc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9초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for Cancer Patients)

  • 노선숙;이창관;성영희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1-7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on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cancer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illed by 526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eath percep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rminal care attitude (r = .45, p < .001),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terminal care performance. Additionally, terminal care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rminal care performance (r = .18, p < .001). The explanatory power of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14%.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attitude a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 PDF

임상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Stress, and Resilience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 손유정;박정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2호
    • /
    • pp.124-13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stress, and resilience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Methods: As a correlational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tal of 189 nurses working at K university hospital and a P university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for six months or mor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20th, 2020 to September 15th,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version 25.0,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analysis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subjects were resilience, perception of death, and the experience of terminal care education.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ose variables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21.0%. Conclusion: For the improvement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terminal care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increase the positive perception of death and resilience, and also includ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erminal care. Also, the efficiency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should be increased through periodic terminal care-related nursing education.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 김원순;조헌하;권수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2호
    • /
    • pp.154-162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시와 B광역시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21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이었으며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32.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종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 우영화;김경희;김기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1호
    • /
    • pp.33-41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상간호현장에서 임종간호수행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180명의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임종간호경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One-way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의 차이는 근무부서, 결혼여부, 교육정도 및 호스피스 교육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사들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노력을 통해 임종간호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수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호스피스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임귀연;최소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75-28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for explaining and predict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model was based on the stress integration model of Ivancevich and Matteson(1980)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Method: Data was obtain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22 from 267 nurses in 13 long-term care hospitals in G-do. Results: Results of model verification for this study, revealed that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were nursing work environment(β=0.43, p<0.001), death anxiety(β=-0.29, p<0.001), and terminal care stress(β=0.22, p=0.003). However, the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dying(β=0.07, p=0.287) had no effect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an individual's perceived nursing work environment, continuous education related to terminal care to reduce death anxiety, and an interventional approach for enhanc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종합병원간호사의 DNR(Do-not- resuscitate)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임종간호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thical Attitude to DNR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

  • 손유림;서영숙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61-37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d of this study was done to DNR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7 nurses working in hospital nurses in D and G cities. Data on DNR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 between April 2015 and July 2015.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PSS 12.0 program and included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 DNR attitud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high levels (DNR attitude: M=32.64/60, SD=6.14).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poor levels (physical M=20.72/32, SD=3.77, psychological M=20.26/32, SD=3.85, spiritual M=9.62/24, SD=3.65). The attitude of the hospital nur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xperience of terminal care. The DNR attitude by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ion to physioloical terminal care performance(r=.137, p<.049)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terminal care performance( r=.016, p=.815) and spiritual terminal care performance showed no correlation(r=-.099, p=.15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DNR attitude and to encourage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hospital nurses.

요양병원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간의 관계 조사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eath Recogniti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Terminal Hospital Nurses)

  • 정지수;이경선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79-88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3개 도시에 위치한 요양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수행하였으며,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9.1 ver.을 사용하였다. 간호사 자신의 정신적, 업무적 스트레스가 임종간호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간호사는 임종환자를 자주 경험하면서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임종간호수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상경력 이었다.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상경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임종간호수행도가 높았으므로 임상경력을 고려한 임종간호수행이 이루어져야 하며, 임종간호수행에 있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을 심도 있게 파악하여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수행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내과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임종간호수행 (Terminal Car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Nurses in Internal Medicine Wards)

  • 백유경;최은정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4호
    • /
    • pp.267-275
    • /
    • 2015
  • 목적: 내과병동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직무 만족도와 임종간호수행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내과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방법: B광역시와 P시에 소재한 3개의 대학병원과 3개의 종합병원에서 임종환자 경험이 있는 1년 이상 근무한 내과병동 간호사 201명을 분석하였다. 2014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31일간 이었으며, K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구조화된 자기기입형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SPSS/PC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직무만족도 정도의 관계는 미약한 역상관관계(r=-212, P=0.003)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도 정도는 임종간호수행 정도의 관계에서 미약한 순상관관계(r=0.383, P<0.001)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임종간호수행 정도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임종간호수행을 잘 하도록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성향과 임종간호수행 정도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 박순주;최순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85-297
    • /
    • 1996
  •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factors related to these two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study were 128 nurses who implemented nursing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s at C University Hospital in Kwang Ju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3 to 19, 1996, by means of Death Orientation by Thorson Powell(1988)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Scale by researcher. The data were analysed by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death orientation was 61.4. The degree of death orient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2. The mean scor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45.5. In comparison of the degre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three domains, the mean score of each item tended to show higher degrees in order of 'Psychological domain(2.4)', 'Physical domain(2.2)', 'Spiritual domain(1.9)'. 3. The degre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11.48 p=.0001), marital status(t=10.49 p=.0015), religion(t=5.01 p=.0270), period of clinical experience(F=10.30 p=.0001) and ward unit(F=3.73 p=.0036). The degre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physical dom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7.26 p=.0010), marital status(t=9.72 p=.0023), period of clinical experience(F=7.03 p=.0013), ward unit(F=6.23 p=.0001). The degre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psychological dom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8.73 p=.0003), marital status(t=4.22 p=.0419), religion(t=5.59 p=.0196), period of clinical experience(F=6.36 p=.0023), ward unit(F=3.33 p=.0075). The degre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spiritual dom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8.30 p=.0004), marital status(t=10.45 p=.0016), religion(F=5.41 p=.0216), period of clinical experience(F=8.80 p=.0003).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showed no correlation(r=-.026 p=.7746).

  • PDF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 of Locu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Stress and Fatigus on the Geriaic Hospital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 임희영;윤미진;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29-33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수준을 알아보고 임종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42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는 SPSS Win 22.0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 경로분석은 Amos 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피로, 내적통제신념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내적통제신념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덜 받고 또한 임종간호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피로를 감소시킬수 있는 전략적 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질적인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교육이나 업무환경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