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ry bridg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9초

노량행궁의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Noryang Temporary Palace)

  • 구욱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109-118
    • /
    • 2018
  • Noryang Temporary Palace was a place where king Jeongjo (1752-1800) would have lunch after crossing the Temporary Palace River on his way to Hwaseong Temporary Palace to worship at Hyeonryungwon, the tomb of his father, Sadoseja. The government offices in charge of ship bridge construction 'Jugyosa' and 'Byeoljangso' were located in the Temporary Palace. The central buildings of the Haenggung Palace, which ranged up to Yongyangbongjeojeong, were arranged to observe both 'Jugyosa' and 'Byeoljangso' from the Temporary Palace by lifting the ground from Sammun Gate to Yongyangbongjeojeong. Yongyangbongjeojeong, the center of Noryang Temporary Palace, features the style of royal palace architecture and functions of housing architecture. The 'Jugyosa' and 'Byeoljangso' buildings had eight quarters. According to the records, in addition, 15 wood sheds, 5 rice hubs, 3 barns, 1 side gate quarter, 1 front gate, 70 separate sheds, 2 suragan temporary buildings, oesammun gate and hongsalmun gate were found. Such architectural layout is matched with the Temporary Palace Jugyohwaneodo Painting.

강 사장교 가설 중 임시 제진방법에 대한 풍동실험 연구 (Wind Tunnel Aeroelastic Studies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 Wind Cable and Temporary Support)

  • 조재영;심종한;이학은;권오훈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3-45
    • /
    • 2006
  • 일반적으로 사장교와 같은 장대교량은 완성 후에 비하여 시공 중 바람에 흔들리기 쉬어 내풍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완공상태에서 충분한 내풍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더라도 시공단계에서는 설계풍속 이하에서 플러터 등의 공기역학적 진동현상 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설공법이 결정되면 반드시 풍동실험을 능한 적절한 제진 대책 안을 입안해 두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단계를 고려한 3차원 전교모형실험을 통하여 주경간이 500m인 사장교의 공기역학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작업 중에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밸런스드 캔틸레버 상태인 가설단계 50% 에서 내풍케이블 및 가설벤트를 이용한 4가지 제진 대책방안을 수립하여 각각에 대하여 내풍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각 설치방안 별 제진효과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검토 범위 내에서 사장교 시공 중 가장 효율적인 임시 제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밸런스드 캔틸레버 상태와의 내풍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완성계와 제진 대책이 없는 주경간 폐합전의 프리캔틸레버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온성 방법에 따른 수종의 임시 수복용 레진의 착색시의 색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Stability of Temporary Resins according to Polymerizing Methods and Staining)

  • 박성호;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1호
    • /
    • pp.1-11
    • /
    • 2000
  • Dental temporary resin should have adequate strength and similar esthetics as natural teeth. Recently esthetics has become a high priority in clinical dentistry. Thus the evaluation of color stability of dental temporary resin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in dental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color stability of 3 resins($Snap^{(R)}$, Temporary bridge $resin^{(R)}$, Trim $II^{(R)}$) according to polymerizing methods and stainning. The resins were divided into groups by 2 types of polymerizing methods ( air or pressure and heat curing) The resins were dyed with coffee, chlorhexidine and artificial saliva and then the color stability was evaluated with a spectrophotometer(CM-503i, Minolta,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color stability according to polymerizing method, pressure and heat polymerizing method was higher than air polymerizing method. 2. The color stability according to staining fluid decreased in the order of I, II, III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f staining fluid. 3. The color stability according to resins decreased in the order of $Snap^{(R)}$, Trim $II^{(R)}$, Temporary Bridge $resin^{(R)}$, The $Snap^{(R)}$ resin was highest color stabil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3 resins.

  • PDF

첨단복합소재 데크를 볼트결합한 조립식 아치가교의 거동분석 (Temporary Arch Bridges Assembled by Snap-fit GFRP Decks and Bolts)

  • 홍기증;이성우;최성호;금문성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47-254
    • /
    • 2010
  •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터(GFRP) 복합소재는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 강재, 콘크리트, 나무 등과 같은 기존의 구조 재료들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최근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복합소재를 활용하기 위해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수직결구식 복합소재 데크를 활용한 아치가교 유형을 선행 연구에서 제안하였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볼트결합에 의한 복합소재 데크 조립식 아치가교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구조성능시험을 통해 검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아치가교 유형을 제안한다.

가교량의 온도응력 평가 (Assessment of Thermal Stress in Temporary Bridge)

  • 박영훈;이승용;변윤주;장동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통권34호
    • /
    • pp.1-10
    • /
    • 1998
  • 교량의 신설 또는 보수를 위한 작업차량의 진출입로나 기존 통행차량의 우회를 목적으로 한시적으로 사용되는 가교량은 일반적으로 상부구조로 H-Beam, 하부구조로 H-Pile을 사용하여, 이들 각 부재를 고장력볼트로 연결한 강구조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량은 상부구조에 신축이음부를 두지 않고 있어 일일기온차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응력이 전체 구조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부구조인 H-Beam에 온도와 변형률의 상시계측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여 측정된 온도 및 변형률 데이터로부터 발생온도와 온도응력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구조해석을 통한 이론치와의 비교를 실시하여 각 부재에서 발생하는 온도응력이 전체 구조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변화는 부재의 온도변화에 의한 온도응력이 주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부구조인 H-Pile의 충분한 교축방향 변위로 인하여 상부구조인 H-Beam의 온도변형 구속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부구조인 H-Beam간의 연결 강성이 충분하지 않아 전체 구조계보다는 부분 구조계에 대한 해석으로부터 얻어진 변형량이 측정 온도 및 응력으로부터 계산된 변형량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압축과 휨을 동시에 받는 가교량 주요부재의 좌굴설계 (Buckling Design of Temporary Bridges Subjected to Both Bending and Compression)

  • 소병훈;경용수;방진환;김문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6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77-984
    • /
    • 2006
  • Generally main girders and steel piers of temporary bridges form the steel rahmen structure. In this study, the rational stability design procedure for main members of temporary bridges is presented using 3D system buckling analysis and second-order elastic analysis. 2 types of temporary bridges, which are possible to be designed and fabricated in reality, are chosen and the buckling design for them is performed considering load combinations of dead and live loads, thermal load, and wind load. Effective buckling length of steel piers, effects of live loads on effective length of main members, transition of ~id buckling modes, and effects of second-order analysis are investigated through case study of 2 temporary bridges.

  • PDF

내풍케이블 배치에 따른 가설 중 사장교의 공기역학적 거동 비교 (Comparison of Aerodynamic Responses for Cable-Stayed Bridges during Construction with Temporary Stabilizing Measures)

  • 조재영;김영민;이학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47-160
    • /
    • 2007
  • 사장교 가설 시 태풍에도 내풍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내풍케이블 가설공법에 대한 심도 있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경간이 각각 475m, 230m인 강합성 사장교에 대하여 가설단계별로 내풍케이블의 배치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동적 풍하중이 가설 중 사장교에 미치는 영향을 전교모형실험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이를 위해 풍속 별로 캔틸레버 단부의 정적 및 동적 변위, 주탑상부의 가속도 그리고 주탑 하단부의 교축방향 휨모멘트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캔틸레버 당 두 세트의 수직 내풍케이블이 가장 효과적인 제진대책임을 알 수 있었다. 캔틸레버 한 쪽 길이가 약 105m인 경우 한 세트의 수직 내풍케이블도 상당한 제진효과를 발휘하였으며 캔틸레버 길이가 200m 이상의 경우 수직케이블과 우물통 경사케이블이 조합된 경우와 캔틸레버 당 두 세트의 경사 내풍케이블도 좋은 제진방안으로 판단된다. 우물통 상단에 연결되는 경사케이블은 캔틸레버 단부 부근에 설치된 경우에만 어느 정도 제진효과가 나타났다.

교좌장치 겸용 웨지잭을 이용한 교좌장치 보수공법 (Technique for Bridge Bearing Retrofit Using Wedge-Jack)

  • 백동명;유문식;임진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37-843
    • /
    • 1999
  • A common hydraulic jack using brdige retrofit has a problem of increasing cost and time of construction to construct additionally temporary bent or concrete bracket, in case of insufficiency work space and release hydraulic pressure. To solve the problem, this technique is developed to alternate the bridge bearing in adequate inspection condition. After control maximum lift-height and minimum lift-force of no damage to super structure, the constructive technique is to alternate and repair the bridge bearing using the wedge jack with bridge bearing ability that is no release hydraulic pressure stopper, and able to reuse separable cylinder.

  • PDF

PCCAP을 이용한 장대 사장교의 버페팅 해석 (Beffeting Analysis of Long Span Cable-stayed Bridge using PCCAP)

  • 유원진;이석용;남효승;이완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2-208
    • /
    • 2003
  • In this study, a time domain analysis is presented for investigation on the buffeting response of cable-stayed bridge during both erection and completion stages. The main span length and width of deck are 520 m and 15.1m, each. Since the ratio of span over width is 34.44, aerodynamic stability of the bridge during erection is expected to dominate the safety of the bridge in construction stage. Several conclusions regarding different construction stages and temporary wind cables are obtained.

  • PDF

가설구조물의 설계반영실태 분석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Design Change of Temporary Structures)

  • 이연수;이명구;김용곤;백신원;송창근;한대희;오태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5-52
    • /
    • 2014
  • The construction accidents in temporary structures have ceaselessly happened and these mostly lead to serious disasters associated with public criticism. Recently, the accidents under construction due to incomplete or faulty design has repeatedly occurred such as the overturned girder accident in Jangnam Bridge, the submerged incident in Noryangjin and the slab collapse in Banghwa Bridge. In order to prevent such accidents due to the faulty design in temporary structures, it's important to set up the soli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which allows the reasonable design change if necessary.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for the reasonable design change in temporary structures by conducting a question investigation to the construction, design, and supervising companies. From the survey results, the kind and range of the temporary structures which should considers the design change were suggested by the deduced reasonable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