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검색결과 646건 처리시간 0.03초

강우계와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의 시공간적인 활용 (Spatial-Temporal Interpolation of Rainfall Using Rain Gauge and Radar)

  • 홍승진;김병식;함창학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7-48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격자형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상강우를 이용하여 홍수유출모의 시 강우장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강우장을 생성하기 위해 광덕산 레이더와 지상 관측강우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된 강우장이 현실적으로 타당한 시공간적 분포를 재현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홍수 유출모형을 이용하였다. 대상유역은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내린천 유역이며 유출모형의 지형학적 매개변수들을 구축하기 위해 250m 격자 규모의 수치고도자료, 토지피복도 그리고 토양도를 사용하였다. 강우입력자료는 관측-레이더강우(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QPE), 보정-레이더강우(adjusted Radar rainfall), 지상-강우(gauge rainfall)를 이용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의 $Vflo^{TM}$ 모형에 입력하여 관측 유출량과 비교 하였다. 모의결과, 관측-레이더강우와 지상-강우의 경우 관측치 보다 과소 추정되었으며 보정-레이더강우의 경우 실제 관측치와 유사한 유출모의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기상레이더와 지상강우자료를 합성할 경우 레이더 강우만을 또는 지상강우만을 사용하는 것 보다 수문모형의 입력 자료로써 수문학적 활용성이 더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조정보시스템의 GIS데이터베이스화 연구 (Study on a GIS Database of Red Tide Information System)

  • 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263-27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기법에 의해 적조의 발생시기와 생물학적, 해양학적인 인자를 통해 적조의 발생 가능한 시-공간적인 분포를 분석하는 적조정보시스템의 개발이다. 적조의 발생은 1994년까지 남해안에서 산발적으로 일어났다. 그러나 1995년 이후로 남해안과 동해안 전 해역에 걸쳐서 빈번히 광역적인 범위로 적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적조 연구 분야도 최근 중요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적조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 GIS, 퍼지 모델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 분야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안에서 발생한 적조의 발생 범위와 적조 생물, 그리고 해양환경 요소 등을 하나의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에 의한 적조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해 각각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적조발생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자료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비디오 영상에서 컬러와 움직임 기반의 화재 검출 (Color and Motion-based Fire Detection in Video Sequences)

  • 알라김;김윤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71-477
    • /
    • 2011
  • CCTV 카메라는 비디오 감시분야나 화재검출 시스템 등에 다양하게 응용되는 바,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카메라에서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비디오 시컨스를 분석한 후 화재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속영상의 배경과 화재정보를 공간적으로 검출하고, 시공간적으로 편차가 급격하게 나타나면 화재 발생 인자로 결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색상과 움직임 정보 기반의 화재 감지 알고리즘 (Fir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Color and Motion Information)

  • 알라 킴;김윤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011-101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공공장소에 광범위하게 설치되어있는 CCTV의 감시 기능을 활용하여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고정된 카메라로부터 칼라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시퀀스의 화재 프레임 후보를 찾아내고, 공간 기법을 기반으로 감지된 화재 정보의 전경 색상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비디오 시컨스에서 시 공간적 화재 후보 정보들이 급격히 변화할 때, 화재 감지의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ATMOSPHERIC DIFFUSE LIGHT

  • Kwon, Suk-Min
    • 천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1-160
    • /
    • 1989
  • In order to derive time dependence of the atmospheric diffuse light, which consists of the airglow continuum emission and diffusely scattered radiations of the intergrated starlight, the diffuse Galactic light, and the zodiacal light, we have analyzed the meridian scan observations of the sky brightness at $5,080\;{\AA}$ and $5,300\;{\AA}$. Amplitude of the time-variation becomes larger for lower elevation, and maximum amplitude is found to be about $50\;S_{10}(V)_{G2V}$ at elevation $10^{\circ}$. The atmospheric diffuse radiation attains maximum brightness at around midnight, and afterward it decreases slowly with time. The time-variations for the two wavelengths are similar to each other. The observed brightness distribution of the diffuse light along the zenith distance is fitted to an empirical relation of two parameters. By making the two parameters time-dependent, we describe the spatial and time variations of the atmospheric diffuse light. This enables us to make time dependent correction for the atmospheric diffuse component in the reduction of zodiacal light brightness.

  • PDF

다트판형 공간분할 기법을 이용한 서울지역 지하철 역세권 분석 (Geo-spatial Analysis of the Seoul Subway Station Areas Using the Haversine Distance and the Azimuth Angle Formulas)

  • 조재희;백의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9-150
    • /
    • 2018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human distribution in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using geotweets and subway ridership data. Eight stations were selected from the districts of Gangnam and Gangbuk. Geotweets located within a 600-meter radius of the central coordinates of each station were extracted, and distances between the center of station and each tweet location were calculated. Donut-shaped dimension and pie-shaped dimension were generated, using the Haversine distance formula and the Azimuth angle formula respectively. By combining the two dimensions, Dartboard-shaped space division is created. Popular places within the subway station areas identified from this research are almost the same as the current well-known popular places, and this is an important case showing that people send tweets from various places where they engage in daily activities. We expect this study can be a methodological guideline for social scientists who use spatio-temporal or GPS data for their research.

농업가뭄의 수문기상학적 특성 및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Droughts)

  • 장중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2호
    • /
    • pp.105-115
    • /
    • 2019
  • For 159 administrative areas,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RDI(Agricultural Reservoir Drought Index) and ARDIs(Agricultural Reservoir Drought Index Simulated)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drought index and agricultural droughts. In order to identify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droughts, SPI, ARDI and ARDIs were calculated nationwide, and the applicability was compared and examined. SPI and ARD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and depth of drought in both spatial and temporal. ARDI and ARDIs showed similar tendency of change, and ARDIs were considered to be more representative of agricultural drough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gricultural drought is a problem to be solved in the medium and long term rather than short term due to various forms of development, complexity of development, and difficulty in forecasting.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 preliminary and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meteorological, hydrological and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fragmentary approach, and that an agricultural drought index is need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agricultural drought.

25시간 연속관측을 통한 섬진강 하구에서 시공간적 해양환경 변화 조절 요인 (Factors Controlling Temporal-Spatial Variations of Marine Environment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rough 25-hour Continuous Monitoring)

  • 박미옥;김성수;김성길;권지남;이석모;이용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4-322
    • /
    • 2012
  • 섬진강 하구에서 수온, 염분, pH, 용존산소, 부유입자물질, 영양염류, 엽록소 a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6년 3월(건기)과 7월(우기)에 각각 25시간 연속관측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염분경사에 따라 해양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섬진강 하구에서 염분의 변화는 건기에는 조석주기, 우기에는 강물 유출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무기영양염류(질산염, 아질산염, 규산염) 농도의 시공간적 분포는 건기에는 염분의 변화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우기에는 시간에 따라 농도 변화가 작았다. 우기시 영양염류의 평균 농도는 건기에 비해 용존무기질산염의 경우 약 6배, 용존무기인의 경우 약 4배, 용존무기규산염의 경우 약 43배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a 농도는 용존무기영양염류의 농도가 높은 우기에 비해 건기에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 우기와 건기에 해양환경인자의 시공간적 분포는 조석과 강물유출량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며, 엽록소 a의 분포는 용존무기영양염류의 분포보다는 담수의 유출량 변화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곰소만 조간대에서 인의 시공간적 분포 (The Distribution of phosphorus in the Gomso Bay Tidal Flat)

  • 양재삼;김영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71-180
    • /
    • 2002
  •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에서 인의 각 형태에 대한 시공간적인 분포와 관련 환경 인자를 조사하였다. 퇴적물 내 총인(TP), 입자성무기인(PIP), 총유기인(TOP), 용존무기인(DIP)의 곰소만 전체 평균 함량은 각각 548.8mg P kg$^{-1}$, 426.1mg P kg$^{-1}$, 122.6 mg P kg$^{-1}$, 0.217 mg P kg$^{-1}$로써, TP 중 차지하는 순서는 연중 변화 없이 PIP>TOP>DIP이었다. TP는 여름과 겨울간에, 수평적, 수직적으로 일관된 변화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줄포천 하구에 위치한 조간대 퇴적물에서 높은 TP가 발견되었다. 시기적으로 대부분의 정점에서 8월에 TOP 농도가 높게 나타나 TP중 28.90%를 차지하는 반면, TIP는 71.10%를 차지하고, 11월에는 반대로 TOP가 15.63%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TIP가 84.38%를 차지하였다. DIP의 농도 자체는 낮지만, 뚜렷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DIP는 모든 정점에서 8월이 11월 보다 3배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11월에 비하여 8월 조사기간 동안 퇴적물 내 함유된 유기물의 절대적인 농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높은 수온에 의하여 수층의 일차생산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상층수에서 퇴적물로 공급되는 절대적인 유기물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유기물의 분해율 또한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공극수 내 DIP의 농도가 증가되었을 것이다. 여름철 퇴적물의 표층 하에서 혐기성 조건이 조성되어 퇴적 입자에 흡착되었던 PIP의 일부가 낮은 pH, Eh환경에서 용존 상태로 전환된 부분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 내 인의 분포는 일차적으로 줄포천과 같이 생활하수가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곳에서 높은 TP 농도를 보였고, 시기적으로 PIP와 DIP는 강한 계절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 이는 주로 하절기 높은 수온과 유기물 함량이 여타 다른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색영상을 이용한 동중국해 북부해역 하계 클로로필 a의 시공간 분포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Chlorophyll a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using Ocean Color Images in Summer)

  • 김상우;임진욱;장이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95
    • /
    • 2008
  •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ies of chlorophyll a (Chl-a)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are described, using both 8-day composite images of the SeaWiFS (Sea-viewing Wide Field-of-view Sensor) and in-situ data investigated in August and September during 2000-2005. Ocean color imagery showed that Chl-a concentrations on the continental shelf within the 50 m depth in the ECS were above 10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Kuroshio area throughout the year. Higher concentrations (above $5mg/m^3$) of yearly mean Chl-a were observed along the western part of the shelf near the coast of China. The standard deviation also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variability near $122-124^{\circ}E$, where the western region of the East China Sea was grater than that of the eastern region. Particularly the significant concentration of Chl-a, up to $9mg/m^3$, was found at the western part of $125^{\circ}E$ in the in-situ data of 2002. The higher Chl-a concentrations of in-situ data were consistent with low salinity waters of below 30 psu. It means that there wer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Chl-a and low salinity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