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medicin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7초

Internet Based Telemedicine & Distance education System

  • Kim, Seok-Soo;Park, Cil-Cheol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73-377
    • /
    • 2001
  • The telemedicine & distance education system that this paper suggests has been designed on the CTE(Collaborative Telemedicine & distance Education) framework, which is an integrated multimedia environment. This is a CBM-based collaborative telemedicine & distance education typ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doctor based general practice, and is an integrated multimedia telemedicine & distance education system capable of many application developments using information super highway. This paper presents the content regarding electronic medical examination chart and data treatment for efficient medical examination and prompt treatment by realizing mutual conversation type 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among 3 parties(patient, doctor, pharmacist) on internet base. And, The implementation of this new teaming system should be designed with multimedia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 base which is interfaced with computer engineering, computer network technology, CSCW (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 technology, and education engineering.

  • PDF

의료취약지 근무 간호인력의 원격협진 수행 경험 (Telemedicine Cooperation Experience of Nurses Working in Remote Areas)

  • 진영란;김현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3-4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elemedicine cooperation experience of nurses working in remote areas.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three main categories and seven sub-categories of telemedicine cooperation experience that emerged are 1) requirement of education on remote support service, 2) consideration of the recipients of medical support serv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3) difficulties in conducting telemedicine cooperatio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legal protec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rea where remote cooperation is essential, to discover subjects, and to reduce the burden of work and division of manpower and duties.

해양 원격의료 도입을 위한 추진전략 마련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Establishing Action Strategy for Introduction of Marine Telemedicine)

  • 전영우;김재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211-1220
    • /
    • 2015
  • There exists dead zone from the aspects of health equity and health medical equity for maritime personnel. They could not have been benefited from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in comparison with shore personnel due to the restricted medical accessibility caused by long voyage ship operation. Furthermore, the system of health management and medical assistance for maritime personnel is insufficient, the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system does not exist, nor health diagnosis system, maritime industrial accidents and occupational disease control systems are adequate.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and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recommend their Member Governments to take necessary measures in the management of seafarers' health and diseases through conducting continuous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Thus,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ction strategy and tasks for introducing marine telemedicine system aiming to provide seafarers with health management service for the years to com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given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hat a systematic medical service system needs to be provided to promote seafarers' health. Second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the marine telemedicine system incorporating U-Health technology.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o introduce the marine telemedicine system. Fourth,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assistance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furtherance of global marketing of marine telemedicine system.

강원도 보건진료소 고혈압 환자의 원격관리시스템 적용 효과 (The Effect of the Telemedicine Service System Application for the Patients with Hypertension at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s in Gangwon Province)

  • 권명순;노기영;최정화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5-64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utilizing a telemedicine service system o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t home in rural areas.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to be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2patients with hypertension who were managed b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s; using telemedicine service system group (n=76), usual care group (n=76).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EMR (electric medical recor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3,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f $x^2$/t-test and ANCOVA.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elemedicine service system was an effective way to deal with body weight (F=4.723, p=.031) and BMI (F=5.225, p=.024).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utilizing the telemedicine service system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as intervention method in the hypertension management.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원격진료 앱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테크노 스트레스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echnostress on Telemedicine App Usage Intentions in the Post-COVID19 Era)

  • 이동언;정세윤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echnostress on the intention to use telemedicine applications (apps) in the post-COVID19 era, a period marked by the rapid popularization of such apps to mitigate COVID19 infection risks. Utiliz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study identifies variables and proposes a research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involving 364 adults is analyzed through Partial Least Squares-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 positive significance for variables linked to the TAM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Notably, techno-complexity negatively affects perceived ease of use, while techno-unreliability negatively impact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Surprisingly, techno-uncertainty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Techno-overload, although negatively impac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does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consider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cluding technostress, when evaluating telemedicine app usage. Additionally, recognizing the varying impact of technostress based on users'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fidence levels is crucial. Overall, these findings contribute academically to telemedicine app adoption literature and hold industrial significance by providing a user perspective on these apps.

의사 환자 간 원격 의료의 의료법상 적법성에 관하여 - 원격 환자에 대한 처방 중심으로 - (On the Legality of the Telemedicine between the Patient and Doctor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 Focused on the Prescriptions to the Distanced Patients-)

  • 김장한
    • 의료법학
    • /
    • 제22권1호
    • /
    • pp.3-23
    • /
    • 2021
  • 원격의료는 원격지에서 영상, 통화 등 기기를 사용하여 환자를 진단, 치료하는 의료의 한 분야이다. 환자를 대면하여 진단, 치료, 처방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원격에 있는 환자에게 의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의료 소외 지역,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 도움이 될 것이고, 의사들은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환자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의사가 환자를 대면 진료하는 것에 비하면, 진료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어서, 허용 여부와 한계를 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원격의료 유형 중에서 의사가 환자를 원격에서 진료하고 처방전을 발행하는 것을 원격진료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현행 의료법상 허용되는지에 대하여 법 해석이 일관되지 못하고 있다. 의료법 처방전 조항은 의사의 '진찰' 또는 '직접 진찰' 규정에 의하여 처방전을 발급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을 대면 진료를 요구하는 규정이라고 해석하는 헌법재판소 결정과 일정한 제한 하에서 전화 처방을 인정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이 대립하고 있다. 또한 의료법상 원격의료 규정에 의하여 명백하게 법상 허용되는 원격의료자문 외에 의사 환자 간 원격진료는 불법이라는 대법원 판결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법 개정 연혁, 개정 이유 및 관련 의료법 조항과의 관련성을 통하여 원격진료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해석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의료법상 처방전 규정에 의한, 의사의 직접 진찰 후, 처방전 발급 조항은 환자를 진찰한 의사가 처방전을 발급해야 한다는 처방전 발급 명의에 관한 의무 조항으로 해석하며, 의료법 원격의료 규정에 의하여 의사-환자 간 원격진료는 허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원격의료의 허용 여부와 그 한계 (The Legitimacy of Telemedicine and its Limit)

  • 현두륜
    • 의료법학
    • /
    • 제21권3호
    • /
    • pp.3-33
    • /
    • 2020
  • '원격의료(telemedicine)'란 '의료인이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실시하는 의료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통설은 의료법 제34조를 근거로 의료인 간의 원격자문만 허용되고, 의료인과 환자 간의 원격의료는 금지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의료법 제34조는 의료업 수행에 대한 장소적 제한 규정일 뿐, 원격의료 자체를 금지하는 규정은 아니다. 그 외 현행 의료법에는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건강보험 요양급여기준과 별개로 현행 의료법 해석상 원격의료가 일반적으로 금지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의료법 제17조와 제17조의2에서의 '직접 진찰'의 의미와 관련해서 해석상 논란이 있다. 헌법재판소는 이를 '대면 진찰'로 해석한 반면, 대법원은 '스스로 진찰'로 해석하였다. '직접'의 사전적 의미와 관련 의료법 규정에 대한 해석 등에 비추어 볼 때, 대법원의 해석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직접 진찰'이 '대면 진찰'을 의미하지는 않더라도, '진찰'의 개념 안에 '대면진찰의 원칙'이 내포되어 있고 '비대면 진찰'은 대면진찰을 보완하는 수준에서만 허용되기 때문에 비대면진찰로 인한 문제점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결국은 진찰이 얼마나 충실하였느냐, 즉 '진찰의 충실성' 여부가 원격진료 허용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대학생의 비대면 진료 수용의향에 관한 연구: 사회인지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intention to accept telemedicine of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전하제;박서현;박채림;신영채;박세연;한세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25-338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서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에 대한 대학생의 수용행동을 탐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비대면 진료의 의료 서비스 및 디지털 기술 간 융합 특성을 반영하여, 각 분야의 수용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널리 연구되어 온 사회인지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비대면 진료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수용의향의 영향요인을 조사하였다. 연구모델 및 가설 검증을 위하여 비대면 진료 사용 경험이 없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184개의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기술 자기효능감, 유용성 이점, 편의성 이점, 사회적 규범, 비대면 진료 제공자에 대한 신뢰가 대학생의 비대면 진료 수용의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대학생을 비대면 진료의 새로운 타겟으로 보고, 이들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의 기초 방향을 제시했음에 의의가 있다.

원격의료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 (Prerequisites for Activation of Telemedicine)

  • 전영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69-176
    • /
    • 2014
  • 어떤 정책을 원만히 정착시켜 시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검토와 대화, 사회적 합의가 필수적 요소이다. 정부에서도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원격의료를 의료산업발전을 통한 국가의 신성장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밀어붙이기식의 보건정책은 큰 사회적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또한 의료계에서도 그들만의 이기적 주장을 탈피하고 어떠한 시스템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담보할 수 있고, 급변하는 의료기술의 발달에 발맞춰 국민에게 최상의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변화해야 한다.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의료산업분야의 과학화는 분명 우리에게 많은 편의성과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원격의료 활성화 이전에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담보할 수 있는 안전성 및 유효성의 검토가 필요하고 어떠한 제도를 시행하기 전에 충분한 검토와 사회적 합의가 반드시 선결되어야 한다. 이에 원격의료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로 외국의 원격의료 현황과 우리나라의 현황 등을 살펴보고, 원격의료 활성화를 위해서 선결 되어야할 문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고소공포증 치료를 위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데이터 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Clinical Data and Telemedicine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crophobia)

  • 유종현;백승은
    • 정보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1-32
    • /
    • 2006
  • Acrophobia is a symptom of feeling an abnormal fear of heights. Medications or cognitive-behavior methods have been mainly used to treat the acrophobia. In these days the virtua1 reality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treat such an anxiety disorders. In this thesis, an telemedicine assistant system for treatment of acrophobia using biomedical signals and virtual reality technique is proposed. I made two virtual reality simulations for treatment of acrophobia and telemedicine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 using personal computer. A virtual environment provides patient with stimuli which arouses phobia, and exposition to such environment makes him have ability to overcome the fear. Recently, the patient can take diagnosis from a medical doctor in distance with the telemedicine system. Multimedia conference service, on-line questionary, signal transfer system are needed to configure such system. Virtual reality simulation system that composed of position sensor, head mount display, and audio system, is also included in this telemedicine system. I added virtual environment update system to this virtual reality telemedicine system for treatment of acrophobia. Former acrophobia treatment systems use only patient's score of the questionary to appraise. The new system developed in this thesis uses not only patient's score of the questionary but also biomedical signals such as HR, GSR amplitude, GSR RT to increase the objectivity and quantitativ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HR and GSR amplitude are useful for decision of acrophobia. We will apply this system to the acrophobia patient in distance and be able to offer better medical treatment for mental illness in near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