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Home Economics1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29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1학년도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운영 실태와 가정과 교사의 인식 (Current Stat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 조재순;김상미;강소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7-85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첫해에 중학교에서 집중이수제와 블록타임제의 운영실태 및 가정과교사의 인식, 기술 가정 교과의 편성 운영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전국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별로 나누어 비례표집하여 선정한 중학교 126 곳의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5월 25일부터 6월 4일까지 전화 및 이메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 중 11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011학년도 1학년은 대부분 기술 가정 교과의 집중이수제가 실시되고 있었으며 운영형태는 절반의 학교에서 1학년의 모든 학급이 두 학기에 운영되고 있는 반면, 21.5%의 학교에서는 1학년에서 운영하지 않고 있다. 기술 가정 집중이수제 편성 시 가정과 교사는 학교 관리자의 의견이 가장 많이 반영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편성 및 운영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었다. 가정과 교사는 집중이수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집중이수 교과에 대한 전입생의 미이수를 지적하였다. 기술 가정 교과의 블록타임제는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지 않았으며 60% 이상의 가정과교사는 블록타임제를 운영할 필요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 교사가 인식한 블록타임제 장점 평균과 블록타임제 단점 평균은 비슷(각각 3.67, 3.68)하게 높았다. 집중이수제를 시행하고 있는 학교의 기술 가정 교과 총이수시간은 평균 14.9시간으로 절반을 약간 넘는 학교에서 16시간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38.7%학교에서 총 1~8시간 감소되었다. 기술 가정 교과 집중이수제 이수형태는 주로 1학년과 3학년 또는 2학년과 3학년으로 구성된 2개 학년 4학기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학년이 적용되는 2012년에는 56.4%로 감소하나, 3학년이 되는 2013년에는 81.7%의 중학교에서 기술 가정 교과를 운영할 것으로 보인다.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기술 가정 교과의 집중이수제 운영 실태와 그로 인한 문제점, 가정 교과의 집중이수제 운영의 적합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복식디자인 분야 내용 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Clothing Design part in the middle-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①)

  • 박은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6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rganizational framework and contents of the clothing design section of the middle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 Home-economics(1)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scope this study lies in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framework, contents and the like from the Home Economics area of textbooks by seven publishers chosen from those that were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2.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ven textbooks have the same top Unit 'Juvenile Life' and mid-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but that smaller units were different and diverse in content. In the small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of the clothing design section, contents are structured to be put into practice by understanding and exercising the concept; the contents are offered as design theories, clothes design, clothing, and activities/investigation.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es) clothing was proposed in all textbooks in an order of the right way for Hanbok clothing, names of Hanbok, kinds of Hanbok and the order of wearing Hanbok.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e seven textbooks were constructed correspon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2009 for the clothing design section of Technology & Home-economics(1). This study suggests students can build their own insight for viewing society, the country and the world as well as appreciate their own importance in establishing consciousness if they go forward in solving the various problems they face in home life by grafting practical reasoning.

  • PDF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와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 분석: 2007개정 교육과정의 강조점 반영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Units of 'Adolescence Self-Management' and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Used in Middle Schools: Focusing on How the Emphasis of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is Reflected)

  • 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5-7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실천적 문제해결 과정, 지속 가능한 삶을 고려한 소비생활, 진로교육이 현재 중학교 1학년이 사용하는 기술 가정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과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에 어떤 내용과 형태로 반영되었나를 분석하는 것이다. 2010년 3월부터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12종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 요소인 대단원 도입, 목표 진술, 중단원 도입, 소단원 제목 및 도입, 본문 진술, 활동과제, 표/그림/사진, 보충 및 심화 학습자료 대단원 및 중단원 마무리 부분에 반영된 3가지 강조점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3가지 강조점은 목표 진술을 제외한 교과서의 모든 단원 구성 체제 요소에서 반영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활동과제, 표/그림/사진, 보충 및 심화학습 자료에 반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중 단원마다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강조점을 반영하는 정도가 다르다 전체적으로 '청소년기의 자기관리 단원'에 비해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이 3강조점의 반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출판사 마다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강조점을 반영하는 정도도 다르고 반영하는 방법도 다르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과 교사의 현장수업에서의 교과서 활용방안과 교과서 개발 기관 및 심사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가정과교육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수.학습전략 - 교수.학습 모형 및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중심으로 - (Instructional Strategy Utiliz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 Technology (ICT)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Centering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and Lesson Plan -)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7
    • /
    • 2001
  • This study is based on education reforms related to strengthening information education in curriculums. This study develops and presents ' General Economics'Model Utilizing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 Technology) in Home Economics'which could be used as a concrete guidance and direc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s. To do so, this study reviews the necessity of adopting ICT in Home Economics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it also reviews and analyzes previous studies of how ICT contribute to instructional activities. Such analysis was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Instructional Model. The Tool of ICT is a useful instructional strategy because it allows the learners'self-lead learn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Therefore the 'General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ICT'interprets the role of ICT tools to adequate class activities in each step of instruction which includes the conventional step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review and evaluation. It also develops and presents Lesson Plan that can be adopted in school education and thereby shows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heory. This study has limits in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and Lesson Plan are theoretical in nature.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desirable to critically review the Instructional Model an Lesson Plan and prove their applicability in real classes and the real learning effects.

  • PDF

제7차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애로점, 교수 활동 자신감 및 만족도 -대구광역시 중.고교 "기술.가정" 담당 교사를 중심으로- (The Problem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on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 장현숙;최지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29
    • /
    • 2006
  • 본 연구는 2001학년도부터 시행되어 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애로점, 교수 활동 자신감 및 만족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중, 고등학교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담당 교사들에게 질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의 운영형태는 전담지도와 분담지도가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져 2001학년도 시행초기보다는 영역별 분담지도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국 공립학교와 남녀공학인 학교에서 영역별 분담지도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지도와 관련하여 느끼는 애로점은 비전공 영역의 기능 및 지식 부족, 학생들의 학습 흥미 저하, 수업 자료 부족, 평가에 대한 부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의 내용 영역에 대한 교수 활동 자신감에서는 전공에 따라서는 가정 영역은 가정과 교사의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고, 기술 영역은 기술과 교사의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운영형태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를 보면 분담지도하는 교사가 전담지도하는 교사보다 교수 활동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영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전담지도보다 영역별 분담지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영역별 분담지도하는 교사가 전담지도하는 교사에 비해 거의 모든 단원에서 교수활동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고 운영형태에 따른 만족도도 높게 나타난 점은 일선 학교에서의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운영에서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7차교육과정의 학교소비자 교육 내용분석 - 중학교 1, 2학년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Contents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of the 7th Curriculum - Focused on "Home Economics & Technology" for 7th, 8th Grade -)

  • 이승신;김민경;조정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31-24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nsumer education system in middle school’, whether it is suitably organized to help students make the right decision in their daily life as a rational consumer in this fast changing “the Informational Society”. We divided the consumer education of “the Informational Society” into 4 fields of studies(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decision making on purchasing, consumer financial management, and consumerism) and made specific analysis for this research. The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which follows ‘The 7th curriculum’ conducted by “Korean Educational Board”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first and second grade in middle school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founded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urriculum analysis according to the 4 fields of consumer educatio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textbook had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as the major portion of the consumer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ade levels showed that the second grade level has higher portion of consum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 Technology” textbook than the first grade level. Third, the present status of consumer education showed that the first grade level's consumer education was only limited in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but the second grade level's consumer education was ranging evenly throughout the 3 fields of consumer education: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decision making on purchasing and consumerism.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and desirable curriculum for the adolescent' consumer education, specially for school consumer education, in “the Informational Society”.

중학교 과학 및 기술·가정 교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화와 에너지 단원의 내용 중복 및 연계성 분석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and Sequ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ar and Textbooks in Middle School about 'Digestion' and 'Energy')

  • 심왕섭;이현동;박경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1-1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 과정의 과학과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내용 중복과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 중복성 분석 및 주제 선정을 위하여 과학과 기술 가정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과 기술 가정 교과서 각 1종을 선택하여 '소화'와 '에너지'에 단원에서 제시된 개념의 중복성을 분석하였고 개념도를 통해 개념의 수준, 전체적인 구성 및 연계성을 비교하였다. 교과서의 중복성을 분석한 결과 소화와 에너지에 관련된 4개의 성취 기준이 중복되어 있었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소화는 22개 개념이 에너지는 9개의 개념이 중복되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개념을 기술할 때 과학 교과서에서는 그 내용이 상세하게 제시된 반면 기술 가정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예시나 유형이 제시되어 있지만 그 내용의 수준이 다소 낮았다. 동일한 용어를 다르게 표현한 사례도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두 교과의 중복된 내용에 대한 교수에 있어서 학습의 선후 관계나 연계성을 고려한다면 교육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서의 의복구성 분야 내용 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Clothing Construction field in the middle-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박은희;조현주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1호
    • /
    • pp.131-14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clothing construction field in the middle-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with curriculum revised in 2007. 10 kinds of textbooks certifi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0 were selected and home economics field in them was the subject of this study with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textbook system, instruction area and contents included. This study was content analysis-oriented and descriptive with data calcula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Reality of Home-Life', food life area showed highest as 34.4% followed by clothing life(28.7%) and dwelling life(28.7%). The portion of present teachers in writing staffs was highest while there was no textbook where professors of each field were included in writing staffs. The contents of costume society, clothes material, clothes management from section 'Choice and Management of Clothes' in the chapter 'Family Life' and clothing construction from the section 'Making and Modifying Clothes' of the chapter 'Reality of Home-Life' were analysed in this study. Clothing construction-related fields were suggested separately by method of measurement, construction theory, drafting theory, drafting an original form, fabric trimming, utilization of the original form, length measure, cloth cutting, hand stitching, how to use a sewing machine, basting and correction, needlework process, completion, and evaluation. The contents of the unit 'Making Shorts' were about clothing construction theory, human body measurement, drafting an original form, process of making shorts and activity/research/experience. The contents of the unit 'Wearing Clothes after Fixing' in clothing construction-related field were about how to fix and recycling.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공동체의 고교학점제 준비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of Operation Cas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

  • 한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사례를 통해 가정과 교육공동체에서 고교학점제를 준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한 강원도 지역 H 고등학교의 운영 과정을 5개월간 모니터링 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교육과정 운영 내용을 파악하였다. H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가정과 교육공동체의 준비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매력적이고 의미 있는 가정 수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업과 평가를 개선하고,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가정교과 영역의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하는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정과 교사 공동체 및 관련 학회는 지역의 가정교과 연구회를 하나로 연결하는 공고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수업 연구 결과를 확산하는 채널로 삼을 필요가 있다. 가정교과 교원양성기관은 변화하는 교원양성정책에 발맞추어 예비교사가 현장에서 다교과를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교육과정을 혁신하고, 현장교사 재교육을 위한 질 높은 온/오프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중학교 "기술$\cdot$가정"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만족도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Teachers)

  • 손순옥;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33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교과의 운영 형태와 교과 운영 형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과정에서 교사의 참여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교사의 만족도를 밝히는데 있다. 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2001년 7월에서 8월 사이에 중학교 1학년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 284명으로부터 우편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1학년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교과는 주로 가정과 교사에 의해 전담지도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담지도하는 교사는 비전공영역의 기능과 지식 부족,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학습 흥미 저하,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 문제, 설비 부족 등의 문제를 더 심각하게 느끼고 있었다. 영역별로 분담지도하는 교사가 의사결정과정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전담지도 교사보다 교과 운영 형태에 대해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과 운영 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주로 교과 운영 형태에 영향을 받으나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과 운영 형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참여정도에 대한 인식으로, 교과 운영 형태 자체보다 교사의 의사결정과정 참여가 교과 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