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검색결과 977건 처리시간 0.026초

다문화학생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디지털 큐레이션 적용방안 (Applying Digital Cura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Multicultural Students)

  • 위현미;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5-30
    • /
    • 2023
  •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의 공립 초등학교에서 다문화학생들은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수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교사들이 생산한 다문화 교수학습자료는 관리나 재사용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수업의 학습효과를 높이고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하여 디지털 큐레이션을 다문화 교수학습자료에 적용하여 저장, 이용,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교육청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인 A시의 B초등학교이다. 다문화학생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에 디지털 큐레이션을 적용하는 과정을 교수학습자료의 수집, 정리 및 선별, 주제 범주화, 하위주제 설계, 플랫폼 연계 방안으로 분석하였다. 디지털 큐레이션 적용 시 고려할 현실적 쟁점과 정책방안도 제안하였다.

중고등학교 피복재료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험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mplified Textile testing apparatus for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 장경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9-79
    • /
    • 1988
  •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experimental learning effect of textile materials in middle and high school. To this study, three kinds of simply devised apparatus were used for warmth retaining test, air permeability test and static electricity test. Two classes were chosen in a girls' high school comparing learning effect and classified the theoretical learning group and the experimental learning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a teaching plan to teach the properties of textile materials was made to use these apparatuses. The results were. 1. In the interest on the unit either the theoretical learning group or the experimental learning group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2. In the items facilitation of motivation, unsatisfied desires and prevention of failure, effect of transfer and development of inquiry power, both groups were significant. 3.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learning effect, two groups were examined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after teaching properties of textile materials. The mean value of the experimental learn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eoretical learning group. The experimental learning group had more higher markers(over the point of 90) than the theoretical learning group.

  • PDF

과업 중심 학습방법에 기초한 중학교 영어교과 재량활동 학습자료 모형 (A model of the learning materials for the middle school multi-purpose English classes through TBL framework)

  • 이정원;이경자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335-363
    • /
    • 2005
  •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is the introduction of the middle school multi-purpose English class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classes, there doesn't seem to be enough studies of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for them.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herefore, to develop English learning materials for the multi-purpose English classes based on the Task-Based Learning framework. To do so, various tasks were collected and adapted for the classes, and different teaching techniques suitable for the tasks were designed.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eachers prepare for teaching materials for the classes, and students recognize their interests in English and to improve their English abilities.

  • PDF

학습 단계별 수학사 활용 학습을 통한 수학 수업 개선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athematics via the Use of the Mathematical History based on the Learning Stages)

  • 이정재;윤상현;추신해;심수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1호
    • /
    • pp.57-70
    • /
    • 2007
  • 수학사 관련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만 치중하였고 개발한 교수 학습 자료는 학습내용에 알맞은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로 실제 수업시간 중 흥미유발 자료로 사용하는데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문제 파악, 문제추구 및 해결, 적용 발전, 과제 파악 등의 각 학습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학사 자료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수학 사업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폴리큐브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ycub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지영;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353-370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영재를 대상으로 폴리큐브라는 소재를 활용한 교수 학습용 자료 개발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가지 논의점을 바탕으로 차후 또 다른 교수 학습용 자료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공간능력의 하위 요소들을 바탕으로 폴리큐브 과제와 관련되는 13개의 주제를 추출하여 이들 중 학년과 수준을 고려한 9개의 주제를 실제로 반영한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자료들을 가지고 두 차례 현장 적용을 하는 동안 4명의 개별 학생들이 보여주는 공간능력 활용 사례를 집중 분석하면서 활동들의 연계성과 난이도, 과제 제시방법 및 발문, 학습 형태, 보조 자료의 활용, 수업 소요 시간과 같은 항목들을 점검하고 수학 영재 교수 학습자료 개발방향에 따라 평가, 수정,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과정에 필요한 7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에 관한 연구 -영국 TNA와 미국 NARA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ructure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Focusing on the TNA of UK and the NARA of USA)

  • 이은영
    • 기록학연구
    • /
    • 제28호
    • /
    • pp.83-121
    • /
    • 2011
  • 해외 보존기록관리기관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용 프로그램 서비스는 이제 주요 서비스 메뉴이다. 국내의 여러 선행연구에선 해외의 교육용 프로그램 서비스 사례를 앞 다투어 소개하고 벤치마킹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왔지만, 관련 프로그램의 소개 수준에 그치면서 심층적인 사례 분석은 미흡한 감이 없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보다 심층적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조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영국 TNA의 교육 사이트를 개괄하고, 주요한 교수 학습자료용 콘텐츠인 '토픽' 메뉴에서 '냉전' 콘텐츠를 샘플로 선택하여 그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미국 NARA의 경우도 교육 사이트를 개괄하고 주요한 콘텐츠인 '기록 수업' 메뉴의 '매카시' 콘텐츠의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여 일반화하고자 하였다. 해외의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를 심층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와 같은 일관성 있는 내용 구성 체제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일차 사료를 원활하게 해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비용 문제를 고려하여 기록정보콘텐츠를 학령별, 교과 간에 연계 활용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해야 한다. 넷째, 일차 사료 선별 시 텍스트가 포함된 문서 사료를 우선으로 선별한다. 다섯째,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는 반드시 교육 과정과 연계해서 개발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활용을 촉진하도록 한다.

웹기반 학습지도안 관리 및 활용 시스템 (Web-based System for Managing and Utilizing The Teaching Plan)

  • 김선희;정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53-60
    • /
    • 2005
  • 학습지도안은 학습활동에 있어서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중요한 문서이긴 하지만, 그 중요도나 작성하는데 들이는 시간에 비해 학습활동에 대한 활용도가 매우 낮다. 웹이 발달하면서 개인 홈페이지나 에듀넷과 같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학습지도안의 공유가 활발해지긴 했지만, 단지 학습지도안을 작성하기 위해 내용을 참고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고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로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학습지도안을 형식적인 문서로써 재활용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한 후,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지도안 관리 및 활용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교수·학습자료 질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Manag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 강신천;김경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57-169
    • /
    • 2003
  • 최근 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자료는 많은데 쓸만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 ICT 활용 교육 활성화 이후 많은 디지털 자료가 개발 보급되어 교수 학습 자료의 양적인 팽창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료가 없어 수업하기가 어려웠던 시절에 비하면 교사들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정점에도 불고하고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문제점을 토로한다. 첫째, 자료는 많은데 쓸만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 교수 학습 자료의 적합도와 충실도와 관련된 질 관리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다. 둘째, 자료가 너무 많아서 어떤 것이 내가 쓸려고 하는 자료인가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 양질의 자료와 그렇지 못한 자료가 혼재한 교수 학습 자료의 보급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교수 학습 자료 질 관리 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글은 교수 학습 자료를 잘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쓰여 졌다.

  • PDF

제 7차 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문제 중심 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blem-Centered Learning Materials for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신인선;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369-386
    • /
    • 2003
  • Problem-centered learning has many implica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Students devise their solutions to solve problems and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with teacher and other students to share and justify their solution during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Therefore, we purposed to provide problem-centered loaming materials to be able to use in teaching and loam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study. First, we reviewed the 7th curriculum and its textbooks to know what and how students learn and suggested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to perform the 7th curriculum. Next, we developed the problem-centered loaming materials for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aught students with these materials to amend errors. Finally, we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to evaluate students while they teamed mathematics in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 PDF

과학수업모형의 비교 분석 및 내용과 활동 유형에 따른 적정 과학수업모형의 고안 (The Identification and Comparison of Science Teaching Models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Science Teaching Models by Types of Contents and Activities)

  • 정완호;권재술;최병순;정진우;김효남;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ppropriate science teaching models which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relevant situations. Five science teaching models;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s, generative teaching model,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 hypothesis verification teaching model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were identified from the existing models. The teaching models were modified and in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using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r teaching science concepts, three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 generative teaching model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2. For teaching inquiry skills, two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 and hypothesis verification teaching model. 3. For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two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s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Each teaching model requires specific learning environment.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select a suitable teaching model carefully after evalua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teacher and student variables, learning objectives and curricular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