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xpertise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4초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어린이집교사 온라인 상담의 내용분석 (Text Mining Analysis of the Online Counseling Contents of Nursery School Teachers)

  • 전지원;임선아;정윤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253-272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unseling conten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by us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s to find the necessary support directions for daycare teach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Methods: Five hundred thirteen cases of counseling recorded on the open bulletin board of online counseling (Naver Bands for Nursery Teacher Counseling)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solidarity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based topic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NetMiner4.3 program. Results: First, 'teacher-to-child ratio' was highest in the frequency. Second, 'colleagues' were all high in all centrality analysis. Third, machine learning-based topical analysis shows that the topics were categorized as subjects about 'childcare and education', 'work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orking condition', and among them, 'first-time teacher concerns' accounted for 44% of the total counseling conte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gh-quality child-care and education to infants by lowering the 'teacher-to-child ratio', and a systematic program is needed to help improve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between parents, fellow teachers, and principals. In addition, self-development and efforts to improve teachers expertise should be prioritized in order to improve infant care quality and quality of teachers.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ith or without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 지덕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가 공통과학 지도의 전문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3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객관식 문항은 통계처리를, 서술형 문항은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방향, 성공조건의 모든 영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인지도 및 과학교육과의 통합 필요성 및 통합 의향의 응답 평균도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 시 강점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의 큰 인식 차이는 없었으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모든 Topic에서 과학을 중심으로 두고 과학을 각 Topic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를 보였다.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and Analysis of Self Images for Teacher Librarians)

  • 변우열;이병기;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4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변별법을 이용한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사서교사의 자아상을 측정하여 개인별 특성과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자아상 측정 결과 사서교사는 스스로를 '친절하고 계획적이며 섬세하고 협조적일 뿐만 아니라 분별력을 갖춘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불공평하고 초라하며 영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시당하고 비활동적'이라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중에서는 교육경력이 평가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배 사서교사의 조언자 내지는 리더로서의 역할 수행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선배 사서교사와 후배 사서교사의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도서관협회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서교사 배치를 의무화하여 직업적 안정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 간 명확한 역할 구분을 통해서 전문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예비·경력·현지 교원을 위한 국외 파견 실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2017 국립국어원 카자흐스탄 파견 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of preservice career local milieu: focusing on 2017 Kazakhstan project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 이동은;이수연
    • 한국어교육
    • /
    • 제29권2호
    • /
    • pp.101-1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 on preservice teacher. This thesis based on the 2017 Korean Language (prospective) Teacher Overseas Dispatch and Practical Training Assistance Project (Almaty, Kazakhstan region). The present task established prospective teachers, career teachers, and local teachers as the targets of each assignment. We focused on developing a program that could match each of these characteristics.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conduc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real expertise through practical training," whereas for career teachers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leadership" and "retraining teachers" by focusing on their abilities as middle managers to build and maintain foreign and domestic networks. For local teachers, the goal was to provide "retraining as Korean language teacher certification". The limitations of those unable to attend domestic meetings were alleviated through training, workshops, and meetings, and a program was developed for real education practical training.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in particular,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enter on a system of collaboration in which classes based on international Project Based Learning(iPBL) were conducted, and groups prepared practical training and practice modules.

교육실습에서 수학 수업 실행 횟수에 따른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 양상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ir Mathematics Instructions in the Teaching Practice)

  • 김해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4
    • /
    • 2018
  • 2015년 1학기와 2학기에 J 교육대학에서 실시한 교육실습 1과 교육실습 2에 모두 참여한 11명의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들로 구성된 반성적 수학 수업 분석지를 활용하여 수업 반성을 하게 한 후, 수학 수업 횟수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 양상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수업 실습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이 증가하였고, 7명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이 증가한 하위영역의 개수는 최소 2개에서 최대 7개까지 예비교사에 따라 달랐다. 둘째, 수학 수업 실습을 2회나 3회 실시한 예비교사들보다 4회 실시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도가 더 높았다. 셋째, 2회나 3회 수업한 일부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도가 증가한 하위영역에서 조차도 수업 실습 전체 과정 동안 단 한 번도 해당 하위영역 만점의 90%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넷째, 수학 수업에서 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낀 하위영역은 '수업 전 반성 - 교수관점 - 수학교과 지식의 이해'로 분석되었으며, 그 이유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배경에 관한 자료 부족을 호소했다.

  • PDF

과학 교사의 탐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PLC) 프로토콜의 활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PLC Protocol for Enhanc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on Inquiry Class)

  • 이기영;정은영;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39-44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PLC에서 탐구 수업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시험 적용을 통해 개발된 프로토콜의 현장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5단계로 구성된 과학탐구 수업 PLC 프로토콜을 개발해서 6명의 참여 교사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프로토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5단계 프로토콜 적용 후 집단 면담을 통해 프로토콜에 대한 참여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사 탐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토콜을 (1)과학탐구 수업에 대한 생각 드러내기, (2)과학탐구 수업 경험 공유하기, (3)학생의 과학탐구 결과물 들여다보기, (4)과학탐구 지도 소양 쌓기, (5)과학탐구 수업계획 짜기 등의 5단계로 구성·개발하였다. 둘째, 참여 교사의 성찰 일지와 사후 면담 분석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과학탐구 수업 PLC 프로토콜의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프로토콜이 PLC의 체계적 운영, 교사의 참여도 제고 등에 도움이 되었으며, 5단계 프로토콜을 경험함으로써 자신의 탐구 수업에 대한 성찰과 개선을 위한 고민의 기회를 얻었고 탐구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사 PLC 프로토콜 개발 및 활용에 대해 제언하였다.

유가(儒家)의 교사(敎師) "상(像)" (An exemplary teacher in a Confucian scholar)

  • 박성일;정동욱;김영태;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76-5082
    • /
    • 2012
  • 본 연구는 교사의 권위가 약화되고,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각박해지고,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문제에서 논의가 엇갈리고 있는 우리 교육의 현 시점에서, 유가(儒家)전통의 교사상을 재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상을 권위상(權威像), 인애상(仁愛像), 사범상(師範像)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유가의 전통에서 교사의 권위는 이성적 권위이며, 사회적 제도와 교사의 사회적 역할의 산물이고, 더 중요한 것은 권위보다는 화해를 강조하고 있었다. 유가전통에서는 인(仁)을 근본으로, 예(禮)를 그 방식과 수단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사랑과 정을 중시하고 있었다. 또 유가에서는 인간의 모범으로서, 교사의 양호한 도덕품성과 전문적 자질을 요구하고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과, 사회적 역할 그리고 인애(仁愛)의 정신이 교사의 권위를 형성하였고, 또 전체적인 유가 전통의 아름다운 교사상을 형성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고는 서양의 문화와 가치관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동양 사회의 현실에서,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다시금 동양전통의 가치관과 그 의미를 재 사고해 볼 것을 권고하고 있다.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Narrative Inquiry on Student-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ith Extra Curricular Science Classes of a High Schoo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Constructed b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오필석;이선경;이경호;김찬종;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46-5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6명의 예비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그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예비 과학 교사들은 과학반 지도 경험을 계기로 교과 내용 지식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고 이를 스스로 학습할 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상황에서 그들의 교과 내용 지식은 과학 내용을 교수법적으로 전환하는 문제에까지 이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또 학생들과의 관계에 관한 지식과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교수법적 지식을 몸소 체득하였고, 새로운 수업의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을 새삼 발견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실제 교육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아에 관한 지식과 장차 과학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적인 실천에 관련된 지식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실제적인 지도 경험을 통해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 교사 교육 및 관련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모순 완화하기 -다양한 과학 수업 방법 사용을 위한 초등 담임교사들의 협력- (Mitigating Contradictions: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Cooperation For Using Diversified Science Instructional Methods)

  • 한문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07-320
    • /
    • 2019
  • 본 연구는 강의식 과학 수업 사용에 머물러 있었던 초등 담임교사가 어떻게 다양한 과학 수업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여 초등 담임교사의 한 해 동안의 과학 수업 준비와 실행에 대한 자기 기억자료, 수업일지, 페이스북 일기, 인터뷰 자료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수집되었고, 수집된 데이터들은 문화 역사적 활동 이론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자는 데이터를 통하여 활동 시스템 상에서 어떠한 핵심 요소(i.e. 행위자로서의 담임교사, 규범, 분업, 도구, 목표, 산출)들의 상호작용이 특징화되었고 이것들이 어떻게 교사의 수업 방법을 구체화시켜 나갔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첫째, 과학 수업 준비를 소홀히 하는 규범, 개별적인 공동체, 분업 없음의 요소들이 행위자인 초등교사의 수업을 강의식 수업만으로 이끌게 되었고, 이로 인해 모순이 발생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둘째, 기존의 규범, 공동체, 분업 요소가 과학 수업 준비시간을 절약하거나 다양한 수업을 준비하도록 하는 규범, 협력적인 공동체, 역할 분담의 분업 형태로 변화되면서 행위자의 수업 도구를 다양한 과학 교수 방법(i.e. 실험, 논변 수업, 교과 통합 수업, 현장 학습)으로 사용하도록 이끌었으며, 이를 통해 모순이 완화될 수 있었음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 담임교사와 동료 교사들이 개인의 과학 수업 전문성을 키우는 것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과학 수업 방법 사용에 모순되는 규범, 공동체, 분업 요소를 잘 다루어 나갈 때 학습자 중심 수업이 촉진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과학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실태 (Conditions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12
    • /
    • 2014
  •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가 확대됨에 따라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율성 확대에 부응하기 위해 요청되는 교사의 전문성, 자율성, 책무성 확대 방안을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 측면에서 찾고자 하였다. 미래 학교의 교사는 구체적인 학교 상황에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할 것인지를 탐색하고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국내외 사례연구, 설문조사 등을 통해 과학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의 발휘 실태를 진단하였다. 과학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실질적 자율성 부족, 인프라 미비, 학생성취도로 책무성을 묻는 체제, 숙고를 위한 시간의 부족, 교육과정에 대한 주체성 인식 부족 등이 교사의 자율적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장애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과학교사를 비롯한 현장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 발휘의 장애요인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실질적 자율화의 확대, 현장 교사의 교육정책 결정 참여 활성화, 학교평가에서 정성적 요소 강화, 교사의 직급 및 승진 경로의 다양화를 통한 교육과정 역량 강화,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