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xpertise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과학 수업에서 교사들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of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최지은;김용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210-22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es of teachers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To do these, the Science Teacher Stress Inventory has been developed the Science Teacher Stress Inventory, which consisted of 45 stress factors with subcategories such as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schoo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120 teachers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have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tress from teacher characteristics is perceived as having more stress factors than five stress factors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schoo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but all of the five stress factors was under normal. The detail question of stress such as 'Having to guide educational guidance and course in life education', 'Having to cope with the demand of new curricula', 'Pace of the school day is too fast', 'No time to attend training of the experiment (preliminary experiment)', 'Not enough time to complete lesson preparation and marking', 'Having to cope with non-teaching delegated duties', 'Fear of getting injured as a result of lab accidents' are perceived as having a lot of stresses. Second,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the course of high school.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whether elementary subject exclusive science teacher, career in education experience, teaching grade. Third, coping ways of stresses are active support for better science teaching conditions, training of the experiment for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developing a workbook for science class.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Teachers' Training to Strengthen Teacher Librarians' Expertise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16
    • /
    • 2010
  •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제도는 사서교사가 양성과정을 통해 충분한 전문성을 습득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성제도의 개선이 불가피하다. 이 연구는 사서교사 양성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교원자격검정령의 기본이수과목을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사서교사 기본이수과목의 개선방향을 설정한 후,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교과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현장상황을 반영하여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제안된 개선안은 현 8개 기본이 수과목에 문헌정보교육론, 정보활용 및 협동수업론, 장서개발론을 추가하여 총 11개 교과목으로 구성되었다.

고등학교급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전문성 요소와 차이: 과학고 수학·과학 교사를 중심으로 (Elements and Changes of Teacher Expertise for the Science Gifted : Focused o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ers in Science High Schools)

  • 정현철;허남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183-1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급 과학영재 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성의 요소를 도출하고, 과학고 수학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전공지식, 탐구지도, 교과교육, 학생지도, 학교업무로 크게 다섯 가지 요소와 각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고,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전국 19개 과학고, 총 284명의 수학 과학 교사들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전문성 요소별로 바람직한 과학고 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준과 자신의 수준을 조사하여 비교하였으며, 과학고 재직 경력에 따른 차이, 학위의 종류(이학, 교육학)와 최종학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향후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관련 요인 (Teacher Effica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재숙;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사항과 개인요인(자아존중감), 직무요인(전문성 신장, 학교교육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의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부실기재 된 31부를 제외한 나머지 194부의 자료를 가지고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과 교육수준, 교직경력에 따라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신장, 학교교육환경에 따라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신장, 학부모 참여, 학습자 특성, 동료교사의 특성,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교사의 지각이 긍정적인 집단에서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신장과 학교교육환경,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로 하여금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갖게 하고 현행 교사를 위한 현직연수의 내실화 및 자기연수 기회의 확대, 그리고 시간적, 경제적인 교육 당국의 지원이 절실하게 요청되며 교사로 하여금 학부모, 학생, 동료교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PDF

교사 참여형 교육프로그램(TPEP)을 경험한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 변화 사례 - 시각적 주의를 중심으로 - (The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er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Program (TPEP)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Class Expertise in Science Classes - Focusing on Visual Attention -)

  • 김장환;신원섭;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133-14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eacher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Program (TPEP)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Class Expertise in Science Classes with a focus on visual attention. The participants were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taught science subjects. The lesson topic applied to this study were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in the second semester of fifth grade and 'Volcano and Earthquake' in the second semester of fourth grade. The mobile eye tracker SMI's ETG 2w, which is a binocular tracking system was us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actual practice time, participant's visual attention, visual intake time average, and visual intake time average were analyzed by class pha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lass execution time, the actual class execution time was almost in line with the lesson plan after the TPEP application. Second, visual attention in the area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as high after applying TPEP. Factors affecting the progress of the class and cognitive burdens were identified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through visual atten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intake time average of participa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lass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intake time average of participant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troduction(video), activity 1, activity 2, and activity 3 stages in the lecture type class. The Teacher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Program (TPEP)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Class Expertise in Science Classes can extend elementary science class expertise such as self-class analysis, eye tracking, linguistic, gesture, and class design beyond traditional class analysis and consulting.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전문성의 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eacher-Expertise in Kindergarten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s' Self-efficacy)

  • 최미애;김순영;최양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48-258
    • /
    • 2019
  •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하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 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 17일부터 28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 유치원 교사 총 325명에게 방문 조사를 통해 설문을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2.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성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자유선택활동을 교육하는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도 교사의 전문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사 전문성에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셀프리더십과 교사 전문성 간의 관계를 간접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셀프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수준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업무환경에 대해 교사들에게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등을 제공하고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촉진자 및 조력자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 탐색 -지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Exploring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xpertise through Infographics Cre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Focus on the Subject Earth Science)

  • 김현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9-4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인포그래픽 유형을 분석하고 교사들의 그래픽 제작 도구 활용 실태를 점검함으로써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화자료를 분석하여 인포그래픽의 유형에 따른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유형별로 제시하고 연수 프로그램 이수 전후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교사들의 인포그래픽에 대한 인식 및 역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지구과학 교과에서는 도표형, 지도형, 비교분석형 인포그래픽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텍스트 보조형 인포그래픽으로 제시하였다. 과학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프로그램을 5회 진행한 결과 완성형, 텍스트 보조형, 불완전형, 그레이디언트형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였으며, 평가 문항 출제를 위한 불완전형 인포그래픽의 제작 수요가 가장 높았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과학교사는 인포그래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인포그래픽을 제작해 본 경험이 없어 양질의 인포그래픽을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이수 후, 74.1%의 교사들이 수업자료와 평가 문항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느꼈으며, 새로운 유형의 인포그래픽을 개발하는 과정이 전공 지식 재교육과 교수-학습방법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안하였다.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rough Lesson Plan Analysis

  • Kim, Seong-Won;Yi, Soyul;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07-2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TPACK 교육을 통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예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김성원과 이영준(2019)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업 전문성 분석을 위하여 예비 교사가 작성한 수업 지도안을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차 수업 지도안에서 예비 교사는 테크놀로지 활용이 저조하며, 지식을 전달하거나 실험하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2차 수업 지도안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이 증가하였지만, 교육적 맥락에 따라 테크놀로지가 활용되지 않았다. 3차 수업 지도안에서 모든 예비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교육적 맥락에 따라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수학학습 상담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연구 (Enhancing Expertise as Math Academic Counselor : Self-study for Math Teacher)

  • 이희연;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225-24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교사가 수학학습 상담을 하면서 학습상담자로서의 전문성을 어떻게 키워 나가는지에 대해 자기연구(Self-study)의 방법을 활용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교사의 수학 학습 상담의 과정과 상담의 내용, 수학학습 상담자로서의 교사의 자기 성찰의 내용과 전문성 신장 과정에 대한 자기관찰을 실시하였다. 교사는 수학 학습 상담에 맞는 상담 모형을 개발하여 총 5회의 상담을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의 수학 학습 상담 과정의 내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상담 과정에서 연구자는 상담 자료 분석과 자신의 상담 내용을 토대로 자기 성찰 일지를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상담 과정을 반성하였다. 또한 상담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상담 과정에서 필요한 교사의 역할과 개선할 점에 대한 조언을 얻어 상담에서 필요한 부분을 개선해 나가는 과정을 거쳤다. 위의 두 과정을 거쳐 연구자는 수학 학습 상담자로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파악하여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을 개선해 나가면서 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고, 학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자기연구 과정을 통해 교사는 스스로 변화되는 모습을 겪으며 학생과 함께 변화하고 수학 학습 상담에 필요한 실천적인 지식을 습득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 이용 경험과 역할 인식이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School Library Use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Library's Roles on Cooperative Reading Education Intention in Elementary Schools)

  • 윤설리;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3-187
    • /
    • 202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서교사와의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9개 학교,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쳐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이벤트 역할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가 협력 독서교육에서 효과를 기대하며, 사서교사(사서)가 전문성이 있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인식은 협력 독서교육의 기대효과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했으며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도 낮게 인식했다. 본 연구는 협력 독서교육 방안과 그 안에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