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xpertise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초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전문성 인식 (The Recognition of Expertise According to the Infant Class's Teacher Sensitivity and Efficacy of Teaching Play)

  • 정혜진;박재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5호
    • /
    • pp.193-20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ather basic data to make nursery teachers' role clear and to suggest a way to improve their expertise by investigating their sensitivity and expertise. To fulfill this aim,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targeting 180 nursery teachers responsible for infant classes in national, public, and private nursery schools. To measure the nursery teachers' sensitivity, Gerber's (2003) teacher sensitivity indicator is used. And to measure the efficacy of teaching play, the indicator, which was developed by E. Shin, Y. Yu and H. Park (2004), was used through modification and complement. Also for measuring the teacher's expertis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generalized and modified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in H. Yoon's (2010) resear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show that the teacher group with higher sensitivity in the infant class shows meaningfully higher professional ethics, higher performance, and higher recognition of expertise than the teacher group with lower sensitivity. And the teacher group with higher awareness of the efficacy of play shows higher professional ethics, higher performance, and higher recognition of expertise than the teacher group with lower sensitivity. too. Als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ant teacher's sensitivity, efficacy of teaching play, and recognition of expertise show that the teacher's sensitivity has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total points of social necessity, professional ethics, fairness, teacher's performance, and recognition of expertise. When we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we find that positive sensitivity and higher efficacy of teaching play make the infant class teacher's expertise recognition higher.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of Expertise)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9-270
    • /
    • 2009
  •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사서교사는 양성과정에서 정보관리와 관련된 전문성에 대해서 많은 교육을 받지만, 현장에서는 학교도서관 교육 및 경영과 관련된 전문성을 보다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원자격검정령의 개정, 사서교사 선발제도 개선, 현직연수 강화를 제안하였다.

  • PDF

Exploration of Teach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eacher Educator PCK Characteristics in Future School Science Education

  • Youngsun Kwak;Kyu-dohng Ch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1-341
    • /
    • 2023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CK required for science teachers and PCK required for university teacher educators in terms of school science knowledg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role of science educators, which are the main axes of science education in future school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is a follow-up to a previous stage of research that explored the prospects for changes in schools in the future (2040-2050) in terms of school knowledge,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er role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riv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CK and PCK.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science teacher PCK in future schools should include expertise in organizing science classes centered on convergence topics, expertise in digital platforms and ICT use, and expertise in building a network of learning communities and resources, as part of the expertise of human teachers differentiated from AI. Teacher educators' PCK includes expertise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L methods using AI, expertise in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practice, and expertise in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research competencie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is the change in teacher PCK and teacher educator PCK with changes in science knowledge, such as convergence-type knowledge and cognition-value integrated knowledge; and the need to emphasize values, attitudes, and ethical judgments for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on-humans as school science knowledge in the post-humanism future society.

미래사회 과학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역량기반 과학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탐색 (Teacher Perception of Science Competency and Science PCK for Competency-Based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 곽영순;홍석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65-2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의 과학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그리고 이러한 핵심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을 실현하는 주체인 미래학교 과학 교사에게 필요한 역할과 전문역량 내용교수지식(PCK)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구과학 전공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5건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를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과학 교사의 역할, 역량기반 교육을 위해 필요한 과학 교사의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학생역량과 교사 전문역랑의 관계, 그리고 교사의 역할과 전문역량 간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미래사회 학생의 핵심역량으로는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과학 교사의 역할로는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면 과학수업실천과 관련된 전문역량과 관련하여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 다양한 소재와 콘텐츠 활용 등과 같은 역할과 뚜렷한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이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에 근거한 학생의 행위 주체성 촉진 방안, 교사 역할과 전문역량 구성요소의 관련성, 교사 전문역량의 총체성 등을 제안하였다.

초등 과학수업의 다면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 교사 참여형 교육프로그램이 초보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eacher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Multi-Faceted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on the Class Expertise of Novice Teacher)

  • 신원섭;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3호
    • /
    • pp.406-42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eacher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Program (TPEP) centered on Multi-Faceted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on the Class Expertise of novice teacher.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TPEP, lectures and exploratory science classes were analyzed using imaging and eye-tracking techniques. In this study, the TPEP was developed in five stages: image analysis, eye analysis, teaching language analysis, gesture analysis, and class development. Participants directly analyzed the classes of experienced and novice teachers at each stage. The TPEP developed in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hat it reflected the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aspects. The participants analyzed actual elementary science classes in a multi-faceted way and developed better classes based on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school sites, pre-service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experiences in class analysis and multi-faceted analysis of their own classes. Second,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lass observations and video analysis. Third, the TPEP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novice teachers' class expertise. Finally,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teachers' class expertise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education policy institutions.

사서교사 교유실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3-203
    • /
    • 2011
  • 이 연구는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실습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선장방법으로써 교육실습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두개의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모형에서는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으로 사전교육, 실습프로그램, 지도교사, 실습환경, 실습기관의 조직적 분위기를 선정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모형에서는 사서교사의 주요 전문성 신장경로인 대학교육과정, 교육실습, 현장경험 및 자기계발이 역할인식과 직무수행 역량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습프로그램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선장경로 중 교육실습은 직무수행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은 사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정으로써 실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교육실습의 효과적 전개방안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제고, 양질의 실습프로그램 개발, 충분한 사전준비, 지도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The Meaning and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이은실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83-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성장하는지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필요한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 기술과 행동, 가치를 포함하며, 교사의 생애주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70여 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는 교사의 관심사, 각 전문성 요소의 중요도와 보유 정도, 전문성 개발 노력과 도움 정도를 질문하였다. 심층 면담은 7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 교사 자질과 역량, 전문성 성장을 위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교과를 재구성하는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 관계, 소명의식을 전문성으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성 성장에는 소명에 반응하고자 하는 교사의 결단,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사공동체,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교육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을 위해서 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과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성장의 접근을 제안하였고,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과 관계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둘 것을 강조하였다.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s'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3-213
    • /
    • 2011
  • 교육실습은 사서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주요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을 바탕으로 교육실습의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학교도서관에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추출된 32개 실습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실습내용 선정기준으로 사서교사 전문성의 균형 유지, 실무적 역량 강조, 교육실습의 일반과정과 절차의 적합성, 실제 실습 가능성을 설정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13개 실습내용과 28개 요소를 선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이 연구에서는 실습목표, 지도방법, 교육자료,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구성된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 교수창의성,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교실환경의 다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Multiple Mediation of Classroom Environment on the Effect of Infant Teacher Expertis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Beliefs on Play Teaching Efficacy)

  • 이미선;황혜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87-98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variables that improve the efficacy of the play teaching of infants and toddlers following a play-oriented curriculum. The participants were 287 infant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we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mediating effect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lay belief was significant, but teaching crea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expertise, play belief, and teaching creativ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both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multimedia effec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ediating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These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the necessity for teacher education to explore ways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eaching play and their teaching skills.

사서교사 평가제도로서 현행 교원평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System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21-443
    • /
    • 2008
  • 우리나라 사서교사 평가제도로서 현행 교원평가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교원평가제도는 사서교사의 직무수행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타당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현행 평가기준을 적용하면 사서교사는 낮은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 직무수행 성과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이를 통해서 사서교사의 책무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