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ducation model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25초

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에 기반한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 탐구 (A Practical Exploration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of Teacher Agency)

  • 이혜원;박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3호
    • /
    • pp.359-376
    • /
    • 2022
  •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of teacher ag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HE (home economics) subjects and CSE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for HE teachers, and their implementation in HE class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HE teachers nationwide for which 24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HE teachers who were actively practicing CSE.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were as follows. First, HE teachers strongly recognized the relevance of HE subjects and the topic of CSE with an average score of 4.63 (out of 5 points), and practiced CSE at an average of 72.23% (97.12%~43.21%) in their class. Second,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model of teacher agency, the factors facilitating the CSE practice of HE teachers included: childbirth and parenting experienced as parents, experiences of students encountering sexual problems in school, the philosophy and content of HE subjects,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and support from fellow teachers, and intention to help students in their lives. Conversely, HE teachers cited a lack of sexual education experience as learners, complaints from parents, weakness of HE teacher networks, lack of specific statem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insufficient class content and teacher training, and lack of absolute class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at CSE is highly relevant to the contents of HE subjects and is already being practiced in HE classes.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교수효능감과 교사의 태도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Attitude for Childhood Music Education)

  • 김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사이에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고자 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적절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음악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효과는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유아 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변수가 유아들의 음악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for mathematics education and outdoor movement activity

  • Park, Ji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204-20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eacher's awareness and need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outdoor movement activ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ight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Kore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on 2014.04. ~ 2014.07. Interviews were held twice each, semi-structured with the order and content of the questions adjusted.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categoriz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Early teacher's awareness of mathematics education', 'Early teacher's awareness of outdoor movement activities', and 'Educational teacher's awareness of mathematics activities linked to outdoor movement activit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mathematics education and outdoor movement should be present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ways to improve the teacher's confid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outdoor movement.

초등 과학 수업에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사 교육 모델의 개발과 적용 사례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Model for Us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차현정;가석현;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415-432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VR/AR) 콘텐츠 활용 과학 수업을 위한 교사 교육 모델과 원리를 개발 및 적용하고, 적용 과정에 참여한 초등 예비 교사의 교사 교육 모델에 대한 의견과 VR/AR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지식(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함양 교사 교육 모델 및 VR/AR 콘텐츠 활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VR/AR-TPACK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모델과 각 단계의 주요 원리를 도출하였다. 개발된 교사 교육 모델은 '탐색/경험'-'맵핑'-'협력적 설계'-'실행'-'성찰 및 개선' 총 5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개발된 모델의 단계와 원리의 적절성을 탐색하기 위해 25명의 초등 예비 교사가 수강하는 교육대학교 정규 강좌에 적용하였다. 수업 전후 VR/AR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 설문 결과,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그룹별 수업지도안, 교사 교육 모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의견 및 피드백 내용, 교수자/연구자가 작성한 연구 일지를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초등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교사 교육 모델에 대한 의견과 연구 참여 전후 인식 조사 설문 내용은 개방 코딩과 범주화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 교사들은 교사 교육 모델의 각 단계에서 이루어진 활동과 경험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VR/AR 콘텐츠 활용에 관한 인식은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를 보였다. 첫째, VR/AR 콘텐츠에 대한 막연한 긍정적 인식이 구체적인 교육적 어포던스에 기반한 긍정적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VR/AR 콘텐츠를 활용할 때 겪을 만한 문제 상황을 경험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셋째, VR/AR 콘텐츠를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교수 자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VR/ARTPACK 교사 교육 모델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확률과 통계 영역의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61-577
    • /
    • 2003
  • Because statistical concepts are important parts in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s have trained by special education model. In this study, a desirable direction of curriculum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at pre-service for mathematics teacher is considered. We proposed four subjects as Exploration and Analysis of Data for Mathematics Teacher, Probability and Statistics I, II for Mathematics Teacher and Statistical Software for Mathematics, and suggested the constituents and something being kept in mind for each subject.

  • PDF

모델 이그노런스 교수프로그램이 예비화학교사의 인식 및 교수 실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eaching Program for Model Ignorance on the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전은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228-2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이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을 교육실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교수프로그램의 구성은 Odden & Russ의 연구에서 제안한 센스메이킹 개념과 Asli 등이 제안한 교사의 센스메이킹 단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 중부 지역에 있는 교사 양성 대학의 화학교육과 4학년 예비교사 23명이었다. 교수프로그램은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에 대한 센스메이킹 형성을 위하여, 초기 생각 도출 단계, 불일치 상황에서 모델의 이그노런스 인식 단계,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을 위한 수업 전략 구성 단계, 그리고 교육실습을 통한 수업 실행 계획 및 실천 단계 등 4단계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첫 단계를 통해 산·염기 반응의 아레니우스 모델과 브뢴스테드-로리 모델, 산화·환원 반응의 전자 이동 모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초기 아이디어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 단계를 통해 모델의 지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불일치 상황을 제시하여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교과서 분석과 수업 전략 구성 활동을 통해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수 역량을 기르는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교육실습 동안 예비교사들에게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 실행을 계획하고 실천해 보도록 하였다. 이러한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에 대한 센스메이킹 형성 교수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모델 이그노런스를 반영한 수업 전략 구성 및 실천 역량을 획득하고,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가르치는 것의 교육적 가치와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게 되었다.

보육교사의 다문화 수용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가정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ulti-Culture Acceptability,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on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s in Childcare Centers: Mediation Effect of Attitude towards Multi-Culture Education)

  • 김혜금;임양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557-566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on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e teachers' attitude towards multi-culture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as a mediator between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Participants were 295 teachers and 295 young children between 3 and 5 years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Ulsan, Gyeonggi,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multi-culture acceptability,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multi-culture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 test with SPSS ver. 18.0 and AMOS ver.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scale of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general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loseness and conflict in the subscale of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s. Second, teacher's multi-culture acceptability directly influenced the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impact of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on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 was mediated perfectly by the multi-culture education attitud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promot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s and that can be changed to positive teacher relationships.

Proposing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Education

  • Shin Myeong-Kyeong;Park Jong-Wook;Chung Byung-Ho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7-357
    • /
    • 2005
  • Since 1998, 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has hosted the center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institute hired undergraduate students to escort and liaison each class of the gifted student participants with assisting classroom activities. These liaison teachers observed the gifted classroom activities and evaluated them by using a given checklist and filling out pre-made evaluation forms. Currently this system is being transferred from part-time jobs for students to earn allowance into well organized pre-service teacher program focusing on the gifted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system is being shifted from how liaison teachers facilitate the gifted program to how the system helps the liaison teachers to be quality teachers for the gifted who can understand what the gifted are and how to facilitate them. Analyzed were the self reports of the liaison teach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beliefs of the gifted and their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participant liaison teachers purposed to have more live experiences with getting along with students as well. Liaison teachers’ perceptions on establishing a gifted teacher professional education sequence we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potential scaffolding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model of the gifted education was provided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경험하는 임용시험 중도포기 및 탈락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An Ecological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Students' Drop-out and Opt-out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of Secondary School)

  • 조기범;김승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임용고사 시험에 중도포기하거나 탈락할 수 있는 요소들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으로 학업중인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요소 측면으로는 학업에 영향을 끼치는 현재 직업을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긍정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임용고사 준비를 위한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결정 할 필요가 있었다. 개인 간 요소 측면으로는 주관적 규범에 의해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개인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었다. 조직 간 요소 측면으로는 학비지원의 미흡과 학업을 위한 부적합한 장소가 강조되었으며 실기 지도 강사 혹은 임용시험 준비반과 같이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했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임용시험 대비 통합시스템'에 대해 소개하였다.

사범대학 과학교육계학과의 교과교육 평가요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ssessment Framework for Science Education Subjects in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 이화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6
    • /
    • 1992
  • The assessment framework of any edcational program is used not only as evaluation criteria of the program but as a guideline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develop and apply thoretical backgrounds and practical plans for the preparation of assessment framework of science education subject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backgrounds, basic direction and practical methods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introduction, and the natune and structure of science teachers competency,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assessment framework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in section II. Current status of science education program m. the science education departments of the Colleges of Education is outlined in section III, and precise description of development pIans fat the assessment framework is described in section IV. Finally conclution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follow by a model assessment framework and syllabus for science education subjects prepared by applying the theory and plans developed in this study.The model assessment syllabus modified by workshops of science teacher educatorts is shown in the appendi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