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agency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9초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 Minkyoung Lee;Sanglim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163-168
    • /
    • 202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with 32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outh Korea. The empirical data using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administering the Adult Introspective Intelligence Scal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Scale. SPSS and Hayes' PROCESS macro weres utilized. The results showed the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ajor variabl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Requests for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of First Graders: Important of Emotional Support

  • Lee, Jae-Hee;Kim, Dae-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06-21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pecific needs of 1st graders for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does 1st grader want from par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does the 1st grader want for the homeroom teacher? There were 31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focus group interview. Requests for parents are summarized as 'what 1st graders want from parents', and requests for teachers are summarized as 'what 1st graders want from homeroom teacher'. As the detailed topics of 'What 1st graders want from parents' are 'I have too much work to do, so I want to reduce it', 'Don't just scold me' 'Like in kindergarten, play with me' and 'I'm so hard. Take care of me'. As the detailed topics of 'what 1st graders want from homeroom teacher.' are 'At first it was exciting', 'Scary teacher, I hate it', 'Friendly teacher, good', 'Teacher, please praise me' and 'Teacher, please teach me fun'. We revealed that the emotional support of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is important for 1st graders to successfully adapt to elementary school.

수학 교사 공동체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Teacher Learning Community : Literature Review)

  • 김원;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439-46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사 공동체에 대한 국내·외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그 중 특히 공동체 활동에서 구성원들의 협력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교사 공동체 연구와 실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9년 7월까지 국내 KCI 등재 논문 14편, 국외 SSCI 등재 논문 24편을 대상으로 연구 방법, 연구 주제, 그리고 교사 공동체에서 협력 의지, 방향,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외 연구들은 통상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연구에서 주목한 주제와 공동체 협력의 특징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연구 주제 측면에서 국내 논문은 공동체 운영과 발달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며 국외 논문은 공동체 활동과 교수 발달, 특히 교수 관행에 집중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구성원들의 협력 양상에서 국내 논문은 지식의 제공과 교수 경험의 공유를 강조하였고, 국외 논문은 경험적 사례와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뿐 아니라 이를 반성하는 과정을 강조하였다는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국내·외 논문에서 교사들이 주체적으로 공동체 활동 내용과 규범을 협의하는 활동에 주목하였다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공동체 연구의 방법, 공동체에서 협력 방식, 그리고 교사교육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에 대한 영유아학교 교사 자격 연수의 과목과 운영 모듈 (Subjects and Operational Modules of Young Children School's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 김대욱;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43-452
    • /
    • 2023
  • 유보통합 이후에 현직교사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자격전환연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자격연수의 과목과 운영모듈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보육교사 자격이 없는 유치원교사에게는 4과목 12학점이 필요하고, 보육교사 자격만 갖고 있는 교사에게는 14과목 30학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연수기관으로 4년제 및 전문대 유아교육과와 방송통신대학교를 제안하였다. 보육교사를 소지하지 않은 유치원 교원의 경우 직무연수를 통하여 자격전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의 효과 탐색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using applications)

  • 남기원;이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9-2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으로 음악창작활동을 구성하였으며, 경기도 A시에 위치한 S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56명(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27명)을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음악창작활동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이 교사역할 수행에 대한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21세기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교육매체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재조명하고, 교사 양성교육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김수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23-1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50명이다. 연구대상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수준이 높고 심리적 소진의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 행복감이 심리적 소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의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위해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심리적 소진을 경감시키는 것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23-228
    • /
    • 2023
  •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한 교수 효능감,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중요한 변인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관해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 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은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행복감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의 행복감이 모두 있을 때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은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도록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 행복감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이주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29-43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를 살펴보고,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86명이다. 연구대상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총점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 교수몰입이 교수효능감 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고슬기;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77-383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를 알아보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인 유아교사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각 변인을 측정 후, SPSS 26.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수준이 증가할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는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준 높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예측함에 있어서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사의 근골격계 질환 및 직무 스트레스의 분석을 통한 직무 유해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Hazard Factors through Analysi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Job Stress of Teachers)

  • 김승연;정명진;서예슬;윤은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63-17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을 규명하고, 직무형태에 따라 유해요인 제거에 관한 해결책 도모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서울 소재 내 초·고등학교 교사 총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평균 RULA점수는 4.2점이었으며, 근골격계 질환을 호소하지 않는 교사의 RULA 평균 점수는 4.3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원의 직무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58.9점으로, 요인별 스트레스 점수의 경우, 학생지도, 업무의 과부담, 권위상실, 조직구조와 교육과정, 대우 및 복지, 인간관계 순이었다. 교사의 RULA와 직무스트레스 점수를 분석한 결과, 직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과 직무 스트레스 간 상관성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