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imag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빛의 굴절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개념이해와 지도계획의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ie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al Planning of Light Refraction)

  • 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18
    • /
    • 2021
  •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가 빛의 굴절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를 읽을 때 생성한 질문을 분석함으로써 개념이해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지도계획을 세울 때의 어려움에 어떤 것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6학년 1학기 '빛과 렌즈' 단원의 지도서를 읽고 초등예비교사 283명이 생성한 의미있는 질문은 총 592개였고 이 중 물리 개념이해를 위한 질문은 총 306개, 교육학적 질문은 총 286개였다. 분석 결과, 초등예비교사는 물리 개념이해 측면에서 굴절이 일어나는 원인, 빛을 산란시켜야 하는 이유,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상의 변화 원인 등 교과서에 제시된 현상이 일어난 '원인'의 개념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지도계획 측면에서는 개념의 설명방법에 대한 질문, 즉 초등학생에게 개념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현상만을 지도하여야 하는 것에 대한 질문, 특정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방법, 실험 방법 등에 대한 질문 그 뒤를 이었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교사들의 개념이해를 돕기 위한 여러 가지 설명들과 보충자료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개념에 대해서는 지도서를 읽고서도 의문이 해결되지 않는 초등예비교사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문의 빈도가 높은 개념에 대해서는 좀 더 알기 쉽게 지도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지도계획에 있어서는 교수법과 실험방법에 대한 질문이 많았기 때문에 교사용 지도서에서 개념의 설명방법에 대한 예시와 구체적 실험방법을 좀 더 제공할 필요가 있다.

초,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 교사 자질에 대한 이미지 (Images of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김영신;조윤정;임수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61-73
    • /
    • 2020
  •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교사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교사의 자질은 교직에서 요구되는 기능 즉, 교수 활동 뿐 아니라 생활지도, 학급경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들이 원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 중, 고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과 기피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을 개방형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개념들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1) 학생들은 선호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과학 교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면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다양한 면에서 긍정적인 또는 선호하는 교사의 자질을 보여 줄 수 있다는 것이다. 2) 학생들은 실험을 통해서 과학 현상과 이론,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해주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은 직접적인 활동이나 체험을 선호하였다. 3) 학생들은 과학 교사의 자질에서 수업과 관련된 내용을 중요시하고 있다. 과학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과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대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 교사 나아가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과학 교사의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이미지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2세 영아의 정서조절 측면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의미 (The Meaning of Teachers as they Manifest themselves in the Emotional Regulation of 2 Year Old Infants)

  • 김보영;김용미
    • 아동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7-4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meaning of teachers as they manifest themselves in the emotional regulation of 2year old infants in a daycare center. In addition, the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ha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eacher's awareness, roles, attitudes, and classroom management for infant's emo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goal,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in a child care center class for infants under 2 years old from January 17 to January 29, 2012. The teacher is defined as follow : Teachers are authority figures whose image is that of absolute authority, and coupled with their dual role of passive caretakers. Additionally, they function as guides who guided infants through the process of emotional socialization, and played the central role of emotional contagion from whose expression speech and atmosphere the said infants receive much influence. Such results seemed to indicate that teachers today do not fully comprehen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in influencing the emotion regulation of infants.

초등 교사는 왜 그 사이트에서 과학수업자료를 찾는가? - 과학 교수·학습 자료 지원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 (Why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ok for Science Instructional Materials on the Website? - Focusing on the Website that Suppor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 나지연;문재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69-8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oosing websites that suppor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mi-constructed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factors that influenced participants to choose a website were teacher's thinking about appropriat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er's lack of ability to prepare science lessons. Second, the surroundings factors were the image of the teachers using the website, the formation of consensus, belonging to the peer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interests. Third, participants chose a website where they could provide ideas for science lessons that are not available in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all subjects, and see stories and tips related to teaching career. In addition, the website wa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he developer of science instructional materials was a teacher, whether the materials uploaded on the website were up-to-date, and whether the teachers can learn by themselves to prepare for the science class. Fourth, participants considered the design and interactivity of the website and chose a website that is easy to search for information. Finally,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building the websites that suppor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APP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APP us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 김종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73-47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아동의 스마트폰 보급률과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아동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이미지 인식 기술을 접목해 아동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개발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해 아동이 쉽게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사물을 촬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검색 결과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온라인 수업 등으로 인해 교사의 직접적인 지도를 받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아동이 자기주도적으로 손쉽게 공부하거나 더 알아보고 싶은 대상을 찾아보고 학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함양하고 스마트폰의 올바른 사용 방법을 익히는 데에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SET OF ATTACHED PRIME IDEALS OF LOCAL COHOMOLOGY

  • RASOULYAR, S.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3권1호
    • /
    • pp.1-4
    • /
    • 2001
  • In [2, 7.3.2], the set of attached prime ideals of local cohomology module $H_m^n(M)$ were calculated, where (A, m) be Noetherian local ring, M finite A-module and $dim_A(M)=n$, and also in the special case in which furthermore A is a homomorphic image of a Gornestien local ring (A', m') (see [2, 11.3.6]). In this paper, we shall obtain this set, by another way in this special case.

  • PDF

상호작용적 독해 과정에서 생성된 질문과 답변의 분석을 통한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예비교사의 내용지식 사이의 불일치 탐색 -'그림자와 거울' 단원을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Discrepancies between Text and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an Analysis of Questions and Answers Created in the Interactive Reading of a Teacher's Guide: Focusing on a 'Shadow and Mirror' Unit)

  • 고아라;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3-263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빛의 직진과 반사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 텍스트와 초등예비교사의 내용 지식 체계 사이의 불일치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279명이 교사용 지도서의 '그림자와 거울' 단원의 정해진 분량을 읽고 생성한 과학 지식에 대한 질문 455개와 답변 543개를 분석하였다. 질문은 과학 개념의 종류와 불일치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고, 답변은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질문의 과학 개념을 분석한 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은 직진 개념에서는 그림자에 대해, 반사에서는 상에 대해, 그 외 개념에서는 광원에 대해 가장 궁금해하였다. 부정확한 답변이나 무응답률이 높아서 정답률이 낮은 질문은 반사에 의한 빛의 중첩, 실험도구의 원리, 렌즈에 의한 상 등으로 초등과학 교육과정에 일부포함되어 있거나 심화된 내용이었다. 불일치 유형에 따라 질문은 분류하면, 지식 충돌에 의한 질문보다 지식 결핍에 의한 질문 빈도가 89.5%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결핍 유형 중 현상의 원인에 대한 설명 요구 유형이 45.9%로 질문도 가장 많고, 답변의 정확도도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초등예비교사의 지식 결핍에 의한 인지적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도록 초등교육과정에 현상 중심으로 제시되어 다루지 않는 개념이라도 교사가 알아야 할 개념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을 현장의 상황에 맞게 재구성할 때 정확한 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험 설정의 이유와 실험 도구의 작동 원리에 대한 추가 설명을 지도서에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식 충돌에 의한 불일치는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과 교과용 지도서에 제시된 내용이 충돌하여 생기는 사례가 많았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우리 삶의 실제 맥락과 교과서 맥락에 대한 차이를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하여 교사용 지도서 텍스트와 초등예비교사의 지식 사이의 불일치를 줄일 필요가 있다.

가족과 학교 관련 요인에 따른 청소년 세분집단의 신체 이미지와 자아존중감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Adolescent Segments According to Family and School Factors)

  • 황진숙;나영주;이은희;고선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948-958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adolescents into groups by family and school factor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regarding body image and self-esteem. The study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to the adolescents who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total respondents were 2240.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 test, and $X^2-test$. Factor analysis showed that body image had four dimensions: appearance management, physical attractiveness, weight control, and the opposite sex fear.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Korean adolescents were segmented into four groups (family preference/school preference group, family dissatisfaction/school dissatisfaction group, family average/peer competition group, family average/peer dissatisfaction group). The four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 to three dimensions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demographics. For example, the family preference/school preference group was most satisfied with their bodies, had a lowest opposite sex fear, and had a highest self·esteem. However, family dissatisfaction/teacher dissatisfaction group was most dissatisfied with their bodies, had a greatest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and had a lowest self-esteem.

의미분석법에 의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ool for Measuring on a Scientist Image by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송영욱;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8권1호
    • /
    • pp.63-73
    • /
    • 2024
  •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과관련 직업에 대한 이미지를 아는 것은 교사의 교수·학습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기존의 그리기 이미지 분석도구는 과학자의 외형적인 이미지 및 그림을 분석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의미분석법은 특정 대상의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의미분석법을 활용한 연구는 초창기 연구에서 사용한 형용사쌍을 연구 내용에 맞추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른 용어나 요인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미분석법을 활용하여 중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활용의 유용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에세이 쓰기 활동에서의 과학적 사고력과 감성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tific Thinking and Emotions in Writing a Science Essay)

  • 임성만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41-35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적 사고력과 과학적 감성을 계발하기 위한 과학 에세이 쓰기 활동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G지역의 교사 양성 기관에 다니고 있는 1학년 학생 60명이 선택되었다. 60명의 초등 예비교사는 모두 '과학 탐구'와 관련된 교양 강의를 선택한 학생들이었다. 연구결과, 과학적 사고력과 관련된 글에서는 과학적인 방법인 '귀납'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학적 감성과 관련된 글에서는 이야기의 배경, 매개체, 목적과 관련된 서술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초등 예비교사들은 글쓰기가 거듭되면서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과학'에 대한 이미지도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과학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다양하고 흥미로운 과학 탐구 활동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