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charg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U-러닝에서 UMPC의 역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MPC's Role in u-Learning)

  • 이문호;김미량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27-139
    • /
    • 2008
  •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와 같은 최첨단 모바일 PC는 이동용이성과 실시간 의사소통 가능성 등의 특징과 동료학생과의 대화, 학습 자료의 자유로운 송부 및 공유 등과 같은 학습활동이 요구되는 학습 환경에서 그 가치를 크게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과학시간에 한국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시한 u-러닝통합탐구모형을 중심으로 UMPC를 활용하는 수업을 전개하고, 학습 활동전개과정에서 의미 있는 요소를 찾아내어 UMPC가 u-러닝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UMPC의 역할은 수업전개에서 학습활동과 관계가 될 수 있는 요소로 활용되지만 학습활동 중에 교사와 지속적인 피드백이 있어야만 UMPC가 학습활동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다.

  • PDF

초등학교 교사의 식생활교육 실시를 위한 교육 요구도 조사 (A survey on dietary education needs for implementing dietary education b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 김주영;심기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3-193
    • /
    • 2012
  •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on the dietary life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Food Education Support Act us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subjects. A survey was conducted on 258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seve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Daegu, Korea from April 14-17, 2010. Most teachers reported that dietary life education was very much needed. The appropriate individuals to teach dietary life education were nutrition teachers, charge teachers, and dietary life education tutors, in that order. The most appropriate time to conduct dietary life education was during dietary life-related subject hours, dietary life education hours, food service hours, and discretionar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at order. The most effective materials and methods used for dietary life education were projection materials and dietary life-related special lectures. Efficient dietary life education methods can be used to develop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at dietary life education is very much needed and believe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conduct dietary life education using nutrition teachers in cooperation with other related teachers.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교육 선도학교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Qualitative Inquiry of Features of Science Education Leading School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곽영순;이성희;강훈식;신영준;이수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3호
    • /
    • pp.317-33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cience leading schools on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leading schools. Science leading schools at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level such as Creative Convergent Science Labs and Student Participatory Science Classes were investigated and 11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each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led to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leading schools in improving the student's PES in light of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leading schools, characteristic factors of science leading schools on students PES, and improvement plans and requirements of science leading school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general high schools. Science leading schools including Creative Convergent Science Labs and Student Participatory Science Classes applied for the leading school funding to secure supplies, equipments, and lab improvement for authentic science classes. In addition,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more broadly than before, and emphasized and expanded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and process-centered assessment 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level. Through student-participatory classes, the science leading schools stimulat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provide students with PES) through various instructions including projects, engage students in interesting science experiences in Creative Convergent Science Labs, and enhance inquiry skills and PES as well as science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ways to sprea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leading schools to general schools are suggested including expanding budget support, securing the space of science labs and improving spatial composition, providing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diversifying assessment subjects and methods, and the necessity of teachers'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etc.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Teachers' Perceptions of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Improvement Plan)

  • 이재호;조윤선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2호
    • /
    • pp.99-109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고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교육도 이를 반영하게 되었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9년부터 정규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교사들의 느낀 점과 어려움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담당한 교사 96명을 대상으로 개인 역량, 수업 운영 방식, 교과서 및 교육자료, 수업 운영 내용, 교육환경과 관련하여 36개의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시설과 환경 개선, 양질의 수업자료 개발 및 보급 활성화, 교사 대상의 참여형 연수와 교사 동아리 지원 확대 등의 개선사항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사진을 이용한 점심급식의 영양소 섭취량 분석: 예비조사 (Feasibility of Using Digital Pictures to Examine Individuals Nutrient Intakes from School Lunch: A Pilot Study)

  • 정현혜;윤지현;최경숙;정상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3호
    • /
    • pp.278-28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ilot study wa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digital pictures to assess individuals' nutrient intakes from school lunch.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9 male students and 40 female students from two classe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The school lunch service was self-operated and the students were allowed to portion the foods by themselves. The teacher in charge of each class took digital pictures of every student's lunch plate that was tagged with an i.d. number, before and after eating for two consecutive days. The researchers estimated the amount of food, which an individual actually consumed by comparing pre- and post-pictures of their plate with reference food pictures for better visual estimation of the food amounts. Individual energy and nutrient intakes were calculated using CAN-Pro (ver 3.0) using the food intake data visually estimated from the digital pictures and school lunch recipes. The teachers in charge reported that about 10~15 additional minutes were needed to take the pictures used for the study and this additional time did not place much burden on the service process during the lunch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actual energy and nutrient intakes from the same school lunch menus were quite varied as the serving portions were not regulated and left-overs were not prohibited. This pilot study suggests that examination of individual nutrient intake using digital picture is a feasible method in the context of school lunch service.

  • PDF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중요도에 대한 집단 간 인식차이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erception of the Level and Importance of the Key Competencie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안광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중요도를 측정하고 향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산학협동교육을 담당하는 담당자 12명과 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7명 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 직업기초능력의 여러 부분에서 산학협동교육 담당 교사와 기업체 업무 담당자 사이에 인식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문서이해능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수준과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여 직업기초능력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직업기초능력에 추가되어야 할 능력으로는 한자 독해능력, 경청 능력 등으로 밝혀졌다.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습득해야할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정확히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직업기초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CIPP 모형 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양성과정)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Diagnosis and Improvements Plan Study of CIPP Model-based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Training Course))

  • 배광민;우혜정;최명란;윤관식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95-121
    • /
    • 2017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을 수료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갖추어 고용노동부 장관으로부터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이에 국내 유일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를 담당하고, 노동시장에 양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H대학교의 교육성과는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IPP모형에 기초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실태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자격연수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교직훈련과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73부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설문결과에 대한 세부현황 파악과 심층 분석을 위해 8인의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요인에서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자원 등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도출되었다. 반면 학습자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었다. 투입요인에서는 교육목표와 훈련요구 항목에서 긍정의견이 도출되었으나 학습자들의 교육목표 성취여부는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또한 온라인콘텐츠 교육의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과정요인에서는 수업관련 부분, 학습자 출결관리, 기관지원 등에서 긍정평가가 높았으나, 자격연수 종합평가에 대해 부정의견이 도출되었으며 학습기간 부족에 따른 학습자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산출요인에서는 교육과정의 현업적용가능성에서 산업직종별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훈련교사들에게 교육학 및 직업훈련 운영과 관련된 학습이 편성된 자격연수에 긍정적인 의견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학습 성취도에서 교육수준 대비 학습시간과 학습 집중도문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등 부정적 의견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평일과정 연수일정의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수요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과정 개선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거주 교육이수자들의 자격연수 접근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격연수 합격자들에 대한 사전 교육지원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격연수 수료자에 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Study on the Real Cond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Ab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 김용숙;유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63-273
    • /
    • 2017
  •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이 부족하고, 본질적으로 인성교육이 가야할 운영방향에 대한 내용 분석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다시 한번 조사 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S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에서는 인성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었으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는 "개인이기주의"이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가치관", 도움을 주는 요인은 "전인적 인간발달과 건강증진", 인성교육의 내용에서는 내적내용은 "용기", 외적내용은 "예절"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실태에서는 과반수 이상이 인성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교수자료로는 "인성교육 관련 자료", 교수-학습방법은 "이야기나누기", 횟수는 "주 1회", 소요시간은 "30분 이내", 주체자는 "담임교사", 어려운 점으로는 "학부모의 비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요구에서는 가장 적합한 시기는 "영아기"부터이며, 지도방법은 "가정과의 연계하여 지도"해야 하며,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교사의 솔선수범"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유아에게 올바른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발달수준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더불어 이에 따른 교사교육이 먼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북지역 초등학교 남.여 교사의 식습관과 영양지식 (A Study on Food Habit and Nutrition Kon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nbuk Area)

  • 윤인숙;정수진;박정은;차연수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80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actual education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for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s. Five hundred male and female teachers, who attended the programs for teacher's qualification of 1st and 2nd grades and function education during summer vacations, were surveyed using of questionnaire at Jeollabuk-d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A lot of teachers have had undesirable dietary habits. The most frequently(65.4%) used sources of nutrition knowledge were mass media such as TV, radio, magazines and newspapers, About 93% of teachers recognized nutri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s, and 75.6% of them answered that their dietary habits may have an influence on students' dietary habits. Or,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level was found to be low in general. The improvement of dietary habits and their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ir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have an influence on formation of students' dietary habits.

  • PDF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of the Science Teachers at Science Academy in Korea)

  • 김경진;권병두;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4-525
    • /
    • 2005
  • 일반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서는 영재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각급 학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단 기간의 영재교육연수를 받은 후 영재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런 단기간의 영재교육연수만으로도 그동안 일반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던 교사가 영재교육에 대한 나름대로의 철학을 정립하고 영재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최근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개인적 신념과 교수활동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구체적 으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아.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무엇인가? 둘째, 이들의 신념은 교수활동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 되고 있는가?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과학영재학교 물리교사 2명, 생물교사2명, 기구과학교사1명으로 총 5명이다. 자료는 참여교사 당 4차시의 수업 관찰 및 녹화, 심층면담을 통해서 수집하였고, 모든수업과 면담자료를 전사 후에 분석하였다. 이외에 추가적인 자료는 이메일을 통해서 수집하였다. 참여교사들의 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신념이 서로 맞물려 하나의 신념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교사들의 신념체계는 '학생 중심', '교사 중심', '갈등 혼돈', 이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학생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수업진행 시 학생들의 질문이나 의견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며, 학생들이 교사의 지적권위에 의지하지 않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에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수업에 동참하게 하는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교사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주어진 시간 내에 많은 지식을 가르치는데 치중하고, 수업진행에서 학생보다 교사가 절대적인 역할을 수항하여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기 보다는 교사의 지적권위에 학생들이 의존하는 수동적인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갈등 혼돈'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는 자신만의 확고한 신념체계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교수활동에서 전통주의 교수학습관이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시켜준다. 특히, 영재학생 담당교사의 경우는 영재교육에 관한 신념뿐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개인적 신념이 교수활동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사교육에 대한 몇 가지 개선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