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u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7초

Studies on Anti-Cancerous Substances from Higher Plants in East Asian Region

  • Takeya, Koichi
    • Plant Resources
    • /
    • 제3권1호
    • /
    • pp.1-45
    • /
    • 2000
  • To date many kinds of compounds have been obtained from plants kingdom as antineoplastic and anti-cancerous agents. However, there is no special type of compounds for cancer therapy. Various types of substances are effective for various types of cancers and tumors: for instance, alkaloids. lignans, terpenes and steroids etc. Curcumol obtained from Curcuma aromatica was tested and noticed to be effective against cancer of the uterine cervix clinically. Oridonin isolated from Rabdosia ssp. is now investigate for clinical trials in China. Moreover camptothecine isolated from Camptotheca acuminata is also antineoplastic alkaloid, but is very toxic. Chemical modification has been tried to decrease its toxicity This compound is now using as clinical agent. Harringtonin was investigated as an anticancerous drug in China. Taxol, a compound with a taxane ring isolated from the bark of Taxus brevifotia. has been demonstrated to have substantial anticancer activity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refractory standard chemotherapy. Supply of this drug has severely limited full exploration of its antineoplastic potential Some efforts are continued in National Cancer Institute(NCI) Washington for surveying various Taxus species for optimal taxol content, improvement in semi-synthesis from baccatin 111, improvement in method of extraction,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renewable resources. Further, there are many compounds which have been reported as antineoplastic agents. On the other hand, we have screened on higher plants collected In Japan, China, Korea. Southeast Asia and South America for antineoplastic activity, which has been done using Sarcoma 180 ascites in mice, P388 Iymphocytic leukemia In mice, Chinese hamster lung V-79 cells, P388 cells and nasopharynx carcinoma(KB) cells in our laboratory, as primary screening. In this meeting, 1 will present on antitumor and cytotoxic substances of the higher plants(Rubis cordifolia, Ailanthus vilmoriniana, Aster tataricus, Taxus cuspidata var. nana, Cephalotaxus harringtonia var. drupacea, etc.) selected from above screening tests.

  • PDF

주목세포 배양에 의한 (10-Deacetyl) Baccatin III 생산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10-Deacetyl) Baccatin III in Cell Cultures of Taxus baccata Pendula)

  • 유병삼;문원종;김진;김동일;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74-180
    • /
    • 1998
  • 유럽주목(Taxus baccata Pendula)현탁 세포 배양에서(10-deacetyl) baccatin III 생산을 증진시키는 연구를 하였다. 높은 초기 당 농도가(10-deacetyl) baccain III 생산을 증진시키는 연구를 하였다. 6% 의 초기 포도당과 자당의 경우 1O-deacetyl baccatin III 생산을 각각 3.배와 2.5배씩 증가시켰다. Baccain III도 초기 포도당 8%에서,초기 자당 6%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일리시터로서 methyl jasmonate는(10-deacetyl) baccatin III 의 생성은 $50{\mu}$M에서 최대치를 보였는데 이는 대조구에 비하여 4.5배 증가한 값이었다.Baccatin III 의 경우 methyl jasmonate $100{\mu}$M에서 생성된 Baccatin III 최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7.배 증가한 값이었다. Methyl jasmonate elicitation 에 의한(1O-deacetyl) baccatin III.과 각 taxane의 시간별 생성 경향을 보면 baccatin III와 10-deacetyl baccatin III는 투여 후 1일 까지 생성이 증가하다 그 후부터 감소하였고, paclitaxel, 10-deacetyl taxol 및 cephalomanine 의 생성이 이어졌다. (10-deacetyI) baccatin III의 생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구 물질을 투여하였다. Benzoic acid를 $500{\mu}M$로 투여 하였을 때 10-deacetyl baccatin III 및 baccatin III의 생산은 대조구의 비하여 각각 10배와 13배 증가 하였다. Lysine도 $500{\mu}M$로 투여하였을 때 baccatin III 의 생성량을 대조구 보다 8배 증가시켰다. 증가시켰다.

  • PDF

아황산(亞黃酸)가스 및 ABA 전처리(前處理)가 침엽수(針葉樹) 유묘(幼苗)의 생장피해(生長被害)와 생리적(生理的) 감수성(感受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 Dioxide Gas and Abscisic Acid Pretreatment on Physiological Susceptibility and Growth Damages of Coniferous Seedlings)

  • 이임균;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31-343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수목(樹木)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아황산(亞黃酸)가스 노출시(露出時) ABA전처리(前處理)가 각(各) 수종(樹種)의 감수성(感受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으며, 몇 개(個) 침엽수(針葉樹) 유묘(幼苗)를 대상(對象)으로 7개(個) 수준(水準): 0ppm, 0.5ppm, 1ppm, 2ppm, 4ppm과 2ppm+ABA(26.4ppm), 2ppm+ABA(56.8ppm)의 아황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를 통(通)하여 공시목(供試木)의 엽중수분함량(葉中水分含量), 생체수분함량(生體水分含量), 수피산도(樹皮酸度), 엽중산도(葉中酸度),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황함량(黃含量),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및 증산율변화(蒸散率變化)를 측정(測定)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알 수 있었다. 1. 엽중수분함량(葉中水分含量)과 생체수분함량(生體水分含量)은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감소(減少)하였으며, 전나무가 주목이나 잣나무에 비해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엽중수분감소율(葉中水分減少率)과 생체수분감소율(生體水分減少率)이 컸으므로 공시수종간(供試樹種間)의 상대적(相對的)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수피산도(樹皮酸度)와 엽중산도(葉中酸度)에 있어서는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증가(增加)하였으며,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수피산도(樹皮酸度) 증가율(增加率)은 잣나무가, 엽중산도(葉中酸度) 증가율(增加率)은 전나무가 컸으므로 각각(各各) 상대적(相對的)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함량(硫黃含量)은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증가(增加)하였으며, 주목이 전나무나 잣나무에 비해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함량(硫黃含量) 증가율(增加率)이 컸으므로 상대적(相對的)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감소(減少)하였으며, 주목이 다른 공시수종(供試樹種) 보다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 감소율(減少率)이 컸으므로 상대적(相對的)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각(各) 측정항목별간(測定項目別間)에는 모든 수종(樹種)에서 처리간(處理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6. 공시목(供試木)의 ABA 처리(處理)에 대한 증산율변화(蒸散率變化)는 주목과 전나무가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노출(露出)된 직후(直後)부터 증산율(蒸散率)의 변화(變化)가 없었으므로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민감(敏感)하게 반응(反應)함을 알 수 있었으나, 잣나무는 가스노출(露出) 이후(以後)에도 약간씩 증산(蒸散)을 계속(繼續)하여 상대적(相對的)으로 그 감수성(感受性) 반응(反應)이 늦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7. ABA를 농도별(濃度別)로 전처리(前處理)한 후(後) $SO_2$가스 2ppm에 노출(露出)시킨 결과(結果) 6가지 측정항목(測定項目) 모두에서 그 결과(結果)를 확인(確因)할 수 있었으며, ABA가 기공(氣孔)의 폐도(閉度)에 작용(作用)하여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대한 수목(樹木)의 감수성(感受性)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 공시수종별(供試樹種別) 및 측정항목별(測定項目別)에 있어서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대한 상대적(相對的) 저항성(抵抗性)은 잣나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나무는 상대적(相對的)으로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기처리에 의한 주목의 삽목발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ooting of Taxus cuspidata Cuttings by Electric Treatment)

  • 정진철;최정호;장규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2
    • /
    • 1994
  • Tow-year-old Taxus cuspidata shoot cuttings were treated with various electrical impacts of cathode on their base and anode on their apex by normal and reverse source. The cuttings were previously treated with 200ppm IBA for 12 hours and the rooting percentage, the length, and the weight of roots were checked. The auxin contents of cuttings were also exa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ormal treatment, cathode into the base and anode into apex, seemed to accelerate rooting while reverse treatment showed less effective than normal treatment on rooting, but both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control. 2. The impact of electrical treatment at 30mV for 30min has a remarkable effect on the percentage rooting, the length, and the weight of roots. 3. Root primordia were formed at the basipetal end of cuttings where the end of primary pith ray meets the cambium in control treatment and formed at the basal part of cuttings irregularly in electrical treatment. 4.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howed electrical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on auxin accumulation than control, and 30mV-30min was the most effective on auxin accumulation.

  • PDF

전구체 및 외부공급 Taxane이 세포배양에 의한 Taxan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cursors and Exogenous Taxanes on Taxane Production by Cell Suspension Cultures)

  • 황용순;김진우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23-328
    • /
    • 1996
  • Diterpenoid 생합성의 중요한 전구체인 geranyl­g geranyl pyrophosphate의 공급을 위해 외부에서 geraniol을 넣어 주었을 때 taxol을 포함한 일부 taxane의 생산이 증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투여 시기와 투여량에 따라 결과가 크게 변화하였다. Camphor와 menthol은 taxol과 같은 terpenoid 계열의 물질이지만 외부에서 공급하였을 때에는 taxol 생산을 증대시키는 효과는 없었다.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taxol과 cephalomannine, baccatin ill 를 공급했을 때 모든 경우에서 taxal 생산은 자극받지 않았으며 taxal을 공급했을 경우에는 bacca tin ill 의 생산이, cephalamannine을 공급했을 경우에는 7 -epl- 1 Q-deacetyltaxol의 생산이, 그리고 baccatin ill을 공급했을 경우에는 10-deacetyltaxol의 생산이 각각 가장 많이 중대하였다.

  • PDF

침엽수의 잎에서 분리한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Notes on Five Endophytic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Needle Leaves of Conifers in Korea)

  • 이봉형;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1-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설악산에서 주목(Taxus cuspidata Siebold & Zucc.)과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경기도 화악산에서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Traut.) Maxim.), 경북 울릉도에서 주목 등의 침엽을 채취하여 내생균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주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고, ITS rDNA와 LSU rDNA지역의 염기서열 분석하여 균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Biscogniauxia maritime, Nemania diffusa, Pezicula carpinea, Phomopsis juglandina, Sydowia polyspora 등의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을 확인하였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구상나무와 주목의 침엽에서 분리된 국내 미기록 내생균 (New Record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Abies koreana and Taxus cuspidata in Korea)

  • 박혁;김동여;김새롬;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1-248
    • /
    • 2018
  • 제주도 한라산의 구상나무와 주목의 침엽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형태적 특성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large subunitrDNA 영역 및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영역 염기서열의 계통분석을 통해 종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을 확인하였고, 확인된 종은 각각 Lachnellula hyalina, Ochrocladosporium elatum, Phacidium lacerum, Phyllosticta cussoniae이다. 확인된 4종의 미기록 내생균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염기서열 계통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주목의 줄기절간 조직배양에 의한 급속 대량증식 (Rapid Micropropagation by Stem Node Culture of Japanese Yew)

  • 선정훈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35-337
    • /
    • 1995
  • 주목의 줄기절간 조직배양에 의한 다경줄기 유도를 위해 식물생장조절물질 중 4가지 형태의 싸이토키닌 효과를 조사 한 바, BAP, kinetin 및 thidiazuron의 경우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나, zeatin을 5 $\times$ $10^{-5}$M 처리하였을 경우 평균 6 개 이상의 다경줄기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배양시료에 따라서 는 12개 이상의 다경을 형성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유도된 다경줄기를 지속적으로 계대배양하여 줄기를 신장시킨 후 이로부터 2 cm 크기의 기내삽목도 가능하였다. 기내발근율은 LP기본배지를 이용하는 것이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효율은 3%에 지나지 않았다. 기외발근의 경우, 약 34%까지 발근율을 올릴 수 있었으며 포지에 이식시킨 조직배양묘는 1년이상 정상적인 생육을 보이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실로퓨트에 의한 아세나프텐 흡착에 관한 등온흡착식, 동역학 및 열역학적 특성 (Isotherm, Kinetic and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for Adsorption of Acenaphthene onto Sylopute)

  • 조다님;김진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27-134
    • /
    • 2020
  • 상용흡착제 실로퓨트에 의한 Taxus chinensis 유래 주요 타르 성분인 아세나프텐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기 아세나프텐 농도, 흡착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흡착 데이터를 Langmuir, Freundlich, Temkin 및 Dubinin-Radushkevich 등온흡착식에 적용한 결과, Langmuir 등온흡착식이 가장 적합하였다. 동역학적 흡착 데이터는 유사 이차 속도식에 가장 잘 따름을 알 수 있었다. 열역학적 파라미터로부터 흡착 공정이 적합하며 비자발적 발열이었다. 등량흡착열은 흡착량에 의존하지 않아 실로퓨트의 표면에너지가 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