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u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4초

함백산 천연생 주목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Natural Forest of Taxus cuspidata in Mt. Hambaek)

  • 장용석;신만용;정동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0-37
    • /
    • 2004
  • 천연생 주목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함백산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주목군락은 전체적인 계층별 종조성으로 볼 때, 함백산에 있어서 주목-시닥나무- 미역줄나무-큰개별꽃의 군락을 조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조사구 내에 출현한 총 종수는 109개종(목본식물 40종, 초본식물 69종)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는 각각 주목과 시닥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교목층의 주요 구성종으로는 주목, 미역줄나무, 분비나무, 시닥나무,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의 주요 구성종은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당단풍, 회나무, 주목, 신갈나무 등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으로서 나타났으며, 주요 구성종은 미역줄나무, 붉은병꽃나무,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물참대, 함박꽃나무, 괴불나무 등이었다. 초본층에서는 큰개별꽃이 우점종_으로 출현하였다. 조사구 구성종에 대한 생물형은 Ph-D$_1$-R$_{5}$-e 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대한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주목 천연림 군락은 장래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한 음수 교목성 수종에 의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미역줄나무와 같은 덩굴성 수종이 방해수종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천연림 보육 작업과 같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소백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Taxus cuspidata Forests in Mt. SouBaik)

  • 장용석;신창섭;양덕춘;정동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7-74
    • /
    • 2004
  • 천연생 주목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덕유산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주목군락은 전체적 인 계층별 종조성으로 볼 때, 소백산의 경우 주목-시닥나무-미역줄나무-조릿대의 군락을 조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조사구 내에 출현한 총 종수는 85개종(목본식물 40종, 초본식 물 45종)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는 각각 주목과 시닥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으로는 주목, 미역줄나무, 분비나무, 시닥나무,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고로쇠 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은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당단풍, 회나무, 주목, 신갈나무등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으로서 나타냈으며, 주요 구성종은 미역줄나무, 붉은병꽃나무,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물참대, 함박꽃나무, 괴불나무 등이었다. 초본층에서는 조릿대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조사구 구성 종에 대한 생물형은 Ph-D$_1$-R$_{5}$-e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대한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주목 천연림 군락은 장래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한 음수 교목성 수종에 의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미역줄나무와 같은 덩굴성 수종이 방해수종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천연림 보육 작업과 같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덕유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Taxus cuspidata Forests in Mt. DuckYoo)

  • 장용석;양덕춘;정동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8-66
    • /
    • 2004
  • 천연생 주목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덕유산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주목군락은 전체적 인 계층별 종조성으로 볼 때, 소백산의 경우 주목-시닥나무-미역줄나무-조릿대의 군락을 조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조사구 내에 출현한 총 종수는 85개종(목본식물 40종, 초본식 물 45종)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는 각각 주목과 시닥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으로는 주목, 미역줄나무, 분비나무, 시닥나무,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고로쇠 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은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당단풍, 회나무, 주목, 신갈나무등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으로서 나타냈으며, 주요 구성종은 미역줄나무, 붉은병꽃나무,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물참대, 함박꽃나무, 괴불나무 등이었다. 초본층에서는 조릿대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조사구 구성 종에 대한 생물형은 Ph-D$_1$-R$_{5}$-e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대한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주목 천연림 군락은 장래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한 음수 교목성 수종에 의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미역줄나무와 같은 덩굴성 수종이 방해수종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천연림 보육 작업과 같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수분 제거를 위한 식물세포 Taxus chinensis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wave-Assisted Drying of Plant Cells of Taxus chinensis for Moisture Removal)

  • 남현우;김진현
    • 공업화학
    • /
    • 제31권2호
    • /
    • pp.208-21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세포 Taxus chinensis로부터 수분 제거를 통한 바이오매스 보관 및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의 특성 및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파워가 100, 200, 300 W로 증가함에 따라 수분의 제거 효율은 증가하였다. 실험 데이터를 대표적 동역학적 건조 모델에 적용할 때, Page 모델과 modified Page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열역학적 파라미터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의 자발적 및 흡열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건조 과정에서 무질서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마이크로웨이브 파워(100~300 W)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의 유효확산계수(3.445 × 10-9~7.163 × 10-7 ㎡/s) 및 대류물질전달계수(3.1529 × 10-5~1.2895 × 10-2 m/s)가 증가하였다. 작은 비오트 수(0.3890~0.7198)를 고려할 때, Taxus chinensis의 건조 진행은 외부 확산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Expression of Modified Green Fluorescent Protein in Suspension Culture of Taxus cuspidata

  • Kim, Chang-Heon;Kim, Kyung-Il;Chung, In-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91-94
    • /
    • 2000
  • The suspension cells of Taxus cuspidata were transform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harboring binary vector pCAMBIE1302 encoding mgfp. Transient transfection efficiency was compared by using the fluoremetric measurement. The transient transfection efficiency was improved by transformation with DMSO and/or sonication treatment. Optimum conditions for DMSO and sonication treatment were 3% and 30sec, respectively.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transformed cells were continued for 3 months. An insertion of the mgfp gene in transformed cells was detected by PCR and an expression of GFP confirmed by the western blot analysis.

  • PDF

Allelopathic Potential of Select Gymnospermous Trees

  • da Silva, Jaime A. Teixeira;Karimi, Javad;Mohsenzadeh, Sasan;Dobranszki, Judi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109-118
    • /
    • 2015
  • Allelopathy is an ecological phenomenon that refers to the beneficial or harmful effects of one plant on another plant, both crop and weed species, by the release of organic chemicals (allelochemicals) from plant parts by leaching, root exudation, volatilization, residue decomposition in soil and other processes in both natural and agricultural systems. Allelopathy can affect many aspects of plant ecology including occurrence, growth, plant successi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survival, dominance, diversity, and plant productivity.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concept of allelopathy, some mechanisms of operation within plants and then focus on a select number of gymnospermous tree genera: Ephedra, Pinus, Taxus, Cedrus, Juniperus, Picea, Cunninghamia and Araucaria. Pinus, Taxus (yew) and Cedrus (cedar) trees have a strong negative allelopathic effect on the germination, growth, or development of other plant species in the forest community.

Influence of Different Sugar Regimes on the Growth of Callus Culture of Taxus baccata L. and the Production of Taxanes

  • Silhava, Irena;Lipavska, Helena;Vanek, Tomas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01-405
    • /
    • 2000
  • Influence of fructose addition to the cultivation medium on the production of taxanes and the growth of callus culture of Taxus baccata was studied. The cultures showed an ability to adjust to the substitution of some of the sucrose in the media by fructose and the fresh biomass accumulation was higher on the media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ructose during the second cultivation period.

  • PDF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axol and 10-DABIII from a new Endophytic Fungus Gliocladium sp. Isolated from the Indian Yew Tree, Taxus baccata

  • Sreekanth, D.;Syed, A.;Sarkar, S.;Sarkar, D.;Santhakumari, B.;Ahmad, A.;Khan, M.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1호
    • /
    • pp.1342-1347
    • /
    • 2009
  • We have isolated endophytic fungi from the Indian yew tree, Taxus baccata, and then screened for taxol production. Out of the 40 fungal cultures screened, one fungus Gliocladium sp. was found to produce taxol and 10-DABIII (10-deacetyl baccatin III). These compounds were purified by TLC and HPLC and characterized using UV-spectroscopy, ESI-MS, MS/MS, and proton NMR. One liter of Gliocladium sp. culture yielded $10\;{\mu}g$ of taxol and $65\;{\mu}g$ of 10-DABIII. The purified taxol from the fungus showed cytotoxicity towards cancer lines HL-60 (leukemia), A431 (epidermal carcinoma), and MCF-7 (breast cancer).

한국산 주목의 세포배양에 의한 Taxane 유도체의 생산 (I) (Production of Taxane Derivatives by Cell Culture of Korean Taxus Species (I))

  • 김유선;신승원
    • 생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2-266
    • /
    • 1996
  • Undifferentiated callus were induced from the young leaves of Taxus cuspidata by treatment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plant growth hormones. The effects of light and culturing temperature on production of baccatin III, the precursor of taxol, were studied. The contents of baccatin III in the cultured callus were analysed by HPLC. The illumination of fluorescence and administration of isoleucine, one of the possible substrates in biosynthesis of terpenoids, to the culturing media increased the production of baccetin III.

  • PDF

Screening of Taxol-producing Endophytic Fungi from Ginkgo biloba and Taxus cuspidata in Korea

  • Kim, Soo-Un;Strobel, Gary;Ford, Eugen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97-99
    • /
    • 1999
  • Endophytic fungi from Ginkgo biloba and Taxus cuspidata in Korea were screened for production of taxol. Eighteen and twelve fungal isolates from G. biloba and T. cuspidata, respectively, were shown to produce immunologically detectable amount of taxol. The highest production of taxol at 260 ng/l was achieved by stationary culture of an Alternaria isolate from G. biloba. The strain also produced unidentified antifungal agent(s) against Pythium ultimum. However, the activity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strain was stored at $4^{\circ}C$ for 6 month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