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 status assessmen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4초

Simple Assessment of Taxonomic Status and Genetic Diversity of Korean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Based on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Using Non-Invasive Fecal Samples

  • Kim, Baek-Ju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1호
    • /
    • pp.32-41
    • /
    • 2021
  • South Korea presently harbors less than 800 long-tailed gorals (Naemorhedus caudatus), an endangered species. I report for the first time on the taxonomic status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Korean species using non-invasive fecal sampling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 analyses. To determine the taxonomic status of this species, I reconstructed a consensus neighbor-joining tree and generated a minimum spanning network combining haplotype sequences obtained from feces with a new goral-specific primer set developed using known sequences of the Korean goral and related species (e.g., Russian goral, Chinese goral, Himalayan goral, Japanese serow, etc.). I also examined the genetic diversity of this species. The Korean goral showed only three different haplotypes. The phylogenetic tree and parsimony haplotype network revealed a single cluster of Korean and Russian gorals, separate from related species. Generally, the Korean goral has a relatively low genetic diversity compared with that of other ungulate species (e.g., moose and red deer). I preliminarily showcased the application of non-invasive fecal sampling to the study of gene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taxonomic status and genetic diversity of gorals, based on mitochondrial DNA. More phylogenetic studies are necessary to ensure the conservation of goral populations throughout South Korea.

전통발효식품용 종균의 안전성 평가 필요성 (Safety Assessment of Starters for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 정도원;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0
    • /
    • 2014
  • 식품발효용으로 사용하는 미생물은 오랜 기간의 사용이력에 근거하여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지 않고 사용되어 왔다. 한편, 가공식품산업의 발달로 국제적인 식품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수입국의 소비자와 정부당국은 식품에 첨가하는 미생물의 안전에 대해서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현재, 식품에 첨가하는 미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기준은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가 사용하고 있는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와 유럽연합 European Food Safety Agency (EFSA)의 Qualified Presumption of Safety (QPS)가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GRAS는 식품에 첨가하는 미생물 자체에 대한 안전성이 아닌 특정용도에서의 첨가에 따른 안전성을 의미하고, QPS는 식품에 첨가 가능한 미생물 단위(분류학적 단위, taxonomic unit)에 대한 안전성 평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발효식품의 상업적 생산이 증가하면서 종균 적용이 추진되고 있지만, 식품발효용종균에 대한 안전성 기준규격 없어 안전성 평가 없이 기능성만으로 종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통발효식품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향후 적용될 종균에 대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안전성의 확보가 필요하고, 식품용 미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기준의 마련이 필요한 시점에 도달해 있다.

해양저서동물의 정량적 자료에 대한 정도관리 현실과 개선안 (Present Status of the Quality Assurance and Control (QA/QC) for Korean Macrozoobenthic Biological Data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 최진우;김종성;송성준;류종성;권봉오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3호
    • /
    • pp.263-276
    • /
    • 2021
  • 해양저서동물은 해양의 환경오염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에 활용되었고, 최근에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복원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다. 한국에 있어서도 오염상태를 평가하는 환경영향평가에 주요 구성원으로 들어가 있어서 많은 연안역에서 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정량적 연구가 1970년대 중반 이후 50년간 수행이 되었다. 이런 연구의 종 동정에는 생태전문가가 일정기간 분류에 대한 교육을 받아서 수행해 온 것이며, 그 과정에서 저서동물의 동정을 소홀히 하였거나 잘못 동정하여 정보축적에 혼선이 있었으며, 분류전문가 부족으로 저서생물 시료를 종 수준까지 다루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와 같은 국가적인 연구조사에서도 저서동물에 대한 종 동정에 분류학 전문가의 참여가 적다는 것이 현실이고, 이로 인한 저서동물군집 자료에서 일부 분류군의 종 동정이 미흡하여 자료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 면이 있었다. 영국에서는 해양생물의 정량적 자료 생성을 표준화하기 위해서 1990년대 국가해양생물분석질관리계획(National Marine Biological Analytical Quality Control, NMBAQC Scheme) 이라는 정도 관리체계를 만들었고, 국가 해양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기관에 해양생물 분석역량을 측정하고, 미흡하면 재교육과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이러한 해양생물을 조정할 수 있는 기관과 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같은 공인기관이 존재하고 있어도 생태자료를 담당할 인력 부족으로 생태자료의 정도관리를 맡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서 단기적으로는 (1) 최소한 주요 우점종에 대한 종 동정을 분류전문가에게 확인을 받는 방안, (2) 가능하면 생물군별로 분류전문가를 연구조사에 참여시키는 방안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3) 다양한 분류전문가를 포함하는 (가칭) '(재단법인) 해양생물 분류협회'를 설립하여 생물자료에 대한 정도관리와 전문가 양성과 훈련을 주관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향후 법인의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법제적인 문제는 학회나 공청회를 통하여 보완하는 방안이 있겠다.

Intraspecific genetic variation in Corynandra chelidonii (Angiosperms: Cleomaceae) as revealed by SCoT, ISSR and RAPD analyses

  • Sirangi, Subash;Jogam, Phanikanth;Nemali, Gandhi;Ajmeera, Ragan;Abbagani, Sadanandam;Raju, Vatsavaya 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289-297
    • /
    • 2020
  • The genetic diversity of two subpopulations of Corynandra chelidonii, one of terrestrial and the other of aquatic environments, was measured with molecular markers, such as start codon targeted (SCoT),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an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RAPD). The traditional morphological traits such as habitat, habit, leaf morphology, the colour of the sepals and petals, number of stamens, and seed morphology formed the base for their realization as two varieties, C. chelidonii var. pallae and C. chelidonii var. chelidonii. The polymorphism between the two variants was 100% with the primers SCoT-2 and OPA-1 and 4, while maximum polymorphism was detected with ISSR-2, SCoT-3, and OPA-3. The study used, for the first time, more than one molecular marker to assess the genetic variation underscoring the morphological variation in Corynandra chelidonii (L.f.) Cochrane & Iltis. The study justifies the recognition of the two subpopulations of Corynandra chelidonii from aquatic and terrestrial environments as two distinct varieties, C. chelidonii var. pallae (Reddy & Raju) V.S.Raju and C. chelidonii var. chelidonii, respectively, based on the traditional taxonomic evidence.

식물의 희소성 평가를 위한 환경영향평가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for the Grading of Rareness in Plant)

  • 이유미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2호
    • /
    • pp.153-164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new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for the grading of rareness in plant. 17 EISs which were submitted in 1996 were analyzed to know the problems in existent EIA techniques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plants. Category of rare plant was reevaluated and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grading of rareness in plant was develop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valuation technique of rareness in plant was not reflected in the current preparation provision for EIS. And t his fact also appeared in most of the EIS which were reexamined in this study. 2. The category of rare speci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the subject of protection in EIA have to be enlarged to more than legally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by MOE. 3.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species,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geographical characters, extent of threat and its possibility by man resulted from the habitat loss were investigated. Each item was endowed scores from 1 to 5 and all the scores were summed, and then this value was used to evaluate the order of conservation. 4.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rare plants have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rareness grade, and they are absolute conservation, in situ conservation, transplanting and ex situ conservation, post observation and none by the levels from A to E. 5. Considering the phenology of rare plants, investigation for the rare plants have to be made a1 least three times. 6. Size of the MVP(Minimum Viable Population), pollination ecology also have to be considered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plants. And in the case of adopting ex situ conservation measure, the site and methods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plants have to be proposed in detail.

  • PDF

머리뼈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한 한국산 노루의 분류학적 고찰 (Taxonomic Revision of Variation in Skull Morphology of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Pallas, 1771) in South Korea)

  • 박용수;차진열;김남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7
    • /
    • 2016
  • 한반도에 서식하는 노루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까지 내륙과 제주도 지역에 서식하는 노루 간 외부형태와 유전학적 차이가 있다고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부형태와 유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 두 아종으로 여겨지는 내륙과 제주도 노루의 머리뼈 특성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노루의 분류학적 위치를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50개체의 성체 노루 머리뼈를 비교 분석한 결과 머리뼈최대길이, 뒤통수뼈관절융기-치조점사이길이, 머리뼈바닥길이, 머리뼈최대폭, 광대뼈사이폭, 눈확사이폭, 얼굴길이, 위어금니열길이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제주노루가 내륙노루 보다 머리뼈의 크기 및 형태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개골의 형태는 노루 아종 간 차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위도, 경도, 고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이 요소들이 1차 생산자에 영향을 미쳐 먹이식물에 변화를 가져오고 노루의 먹이 선택과 연관되어 순차적으로 두개골 형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반도에 서식하는 노루 두개골의 계량형태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내륙 노루는 아종인 C. p. tianschanicus와 비슷한 반면, 제주 노루는 시베리아노루 3아종 및 유럽노루와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도 지역에 서식하는 노루의 경우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으로 아종 수준의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의 하천환경 평가를 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과 범주 생물지수 개발 (Developmen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amily-Level Biotic Index for Biological Assessment on Korean Stream Environment)

  • 공동수;민정기;노성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2-164
    • /
    • 2019
  • In this study, a Benthic Macroinvertebrates Family Index (BMFI) was developed using 100 indicator groups (99 families including Chironomidae with 2 phena). Families were assigned a score between 1 and 10 depending on their sensitivity to organic pollution. The BMFI was composed of the sensitivity and relative abundance of the indicator taxa. Sensitivity values of each group were generally similar to Biological Monitoring Working Party (BMWP) scores or Walley, Hawkes, Paisley, Trigg (WHPT) scores of UK, Japanese BMWP scores, and the FBI tolerance values of North America. However, sensitivity values of some tax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foreign countries, which seemed to have resulted from discrepancy in species composition, difference of taxonomic classification system, or methodological difference for estimation of sensitivity. As an annual average level, BMFI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centration of 5-day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5) (correlation coefficient r = -0.80, n = 569 sites), total suspended solids (r = -0.68), and total phosphorus (r = -0.79). In addition, BMFI revealed strong correlation with Shannon-Weaver's species diversity (r = 0.85), Margalef's species richness (r = 0.85) and McNaughton's dominance (r = -0.84). Correlation between BMFI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or community indices such as species diversit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at of species-level indices such as BMI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This means that BMFI is a more useful indicator in terms of easy identification of organisms. BMFI was used to assess the environmental status of 3,017 sites of Stream Ecosystem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between 2016 and 2018. As a result, about half of all sites appeared to be in good condition, and a quarter in poor condition.

Two Unrecorded Apiospora Species Isolated from Marine Substrates in Korea with Eight New Combinations (A. piptatheri and A. rasikravindrae)

  • Kwon, Sun Lul;Cho, Minseo;Lee, Young Min;Kim, Changmu;Lee, Soo Min;Ahn, Byoung Jun;Lee, Hanbyul;Kim, Jae-Jin
    • Mycobiology
    • /
    • 제50권1호
    • /
    • pp.46-54
    • /
    • 2022
  • Although Apiospora Sacc. has previously been considered a sexual morph of Arthrinium species on the basis of phylogenetic,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diagnoses, a recent study delimited these as different species. Recently, 14 species, including eight new species, of marine Arthrinium have been reported from Korea. Six known species have previously been renamed as species in the genus Apiospora (A. arundinis, A. marii, A. piptatheri, A. rasikravindrae, A. sacchari, and A. saccharicola). However, the eight new species of marine Arthrinium (Ar. agari, Ar. arctoscopi, Ar. fermenti, Ar. koreanum, Ar. marinum, Ar. pusillispermum, Ar. sargassi, and Ar. taeanense) are yet to be studied, and thus the taxonomic status of these species remains to be clarifi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phylogenetic analyses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8S large subunit ribosomal RNA gene,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and beta-tubulin regions to confirm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se eight species. Based on these analyses, we re-identified the eight Arthrinium species as new combinations in Apiospora. Additionally, among the six known Apiospora species, two (A. piptatheri and A. rasikravindrae) have not previously been recorded in Kore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we report these as new species in Korea. Herein, we present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detailing the morphologies of these species, along with phylogenetic trees and detailed descriptions.

구실바위취의 신조합명 및 계통 유연관계 (A new combination for Saxifraga octopetala (Saxifragaceae) an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

  • 김용인;조성현;김보윤;이정훈;강대현;김순옥;;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06-31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간혹 흰바위취(Micranthes manchuriensis)와 동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하는 한국 고유종 구실바위취(Saxifraga octopetala)의 분류학적 지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구실바위취의 계통학적 위치와 종의 경계를 확인하기 위해 두 종의 기준표본에 대한 형태적 검토와 핵 리보솜 DNA의 ITS 지역 염기서열에 대한 집중적인 계통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65개 구실바위취 개체는 ITS 계통수에서 하나의 무리를 이루면서 Micranthes 분기군(clade)에 포함되었고, 톱바위취 및 흰바위취와 가까운 계통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중국과 러시아에서 채집된 다수의 흰바위취 개체 역시 독자적인 분기군을 형성하면서 M. nelsoniana var. pacifica 및 M. fusca와 자매군을 이루었다. 구실바위취의 실체가 모호했던 것은 흰바위취 개체와 톱바위취의 화서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복합표본인 Wilford의 채집품(흰바위취의 기준표본)을 Nakai가 잘못 관찰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구실바위취와 흰바위취의 높은 형태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지하 포복경의 특징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ITS 계통수에서 구실바위취가 Micranthes 내에 자리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실바위취는 Micranthes 내에서 종의 지위를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따라 신조합명(Micranthes octopetala)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