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urine conten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3초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3. 가물치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3. Taste Compounds of Korean Snakehead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5-119
    • /
    • 1980
  • 주요 담수어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가물치 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betaine, TMA, TMAO 및 총 creatinine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다량으로 함유된 유리아미노산은 glycine, taurine, alanine 및 lysine이고 특히 glycine 함량이 월등히 높아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63\%$를 차지 하였다. 2. 핵산관련물질 중 IMP 함량이 $2.78{\mu}mole/g$으로써 가장 많았다. 3. Betaine 함량은 $19.27mg\%$로써 낮은 편이었다 4. TMA 및 TMAO는 극미량이었다. 5. 총 creatinine 함량은 $350mg\%$로써 총엑스분질소의 $43\%$를 차지하였다. 6. 질소회수율은 약 $80\%$이었다.

  • PDF

자연산 말전복(Haliotis gigantea)과 양식산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 조성 비교 (Overall Composition, and Levels of Fatty Acids, Amino Acids, and Nucleotide-type Compounds in Wild Abalone Haliotis gigantea and Cultur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장미순;장주리;박희연;윤호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3-5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의 일반성분을 비롯한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을 비교 분석하여 전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을 육과 내장으로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육의 경우 자연산 말전복이 양식산 참전복에 비해 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내장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조단백질 함량은 자연산 말전복에 비해 양식산 참전복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조지질 함량은 자연산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에 공통적으로 육보다는 내장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연산 말전복의 내장에 조지질 함량이 $2.02{\pm}0.1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자연산 말전복 및 양식산 참전복의 육과 내장의 포화지방산(SFA)으로는 palmitic acid (16:0),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으로는 oleic acid (18:1n-9),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으로는 eicosatrienoic acid (20:3n-3, ETA), eicosapentaenoic acid (20:5n-3, EPA) 및 docosahexaenoic acid(22:6n-3, DHA)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대표적인 오메가-3 지방산인 EPA와 DHA의 함량은 자연산 말전복의 육에 양식산 참전복의 육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에서 총 17개의 구성아미노산이 분석되었고,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및 arginine 등이 확인되었고, cystine, methionine, histidine 등의 함량은 낮았다. 또한,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alanine, arginine, glycine 등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연산 말전복의 육과 내장에 더 많은 taurine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연산 밀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의 핵산관련물질의 총 함량은 각각 12.93 mg/100g 및 30.75 mg/100g으로 2배 이상의 함량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 간에는 약간의 성분의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전복의 먹이 섭취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바다가재를 이용한 소스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ce Made with Rock Lobster)

  • 이경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2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 the nutrients composition of sauce made with rock lobster shells or heads. Rock lobster head sauce(LHS) turned out to have better appearance, color, taste, flavor, texture and viscosity than rock lobster shell sauce(LSS).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1.95% in LHS and 1.56% in LSS, and the crude lipid content was 1.60% in LHS and 2.27% in LSS. The major free amino acids of LHS were urea, a-aminoadipic acid, L-alanine, taurine, and those of LSS were urea, $\alpha$-aminoadipic acid, $nu$- and DL-$\beta$-aminobutyric acid. The major free fatty acids of both samples were palmitoleic acid and oleic acid, with a high quanitity of palmitoleic acid in LHS, and a significant amount of linoleic acid in LSS. The major minerals in rock lobster sauce were potassium and sodium.

  • PDF

축양품종 염절임 가지의 저장중의 성분 변화 (Changes in Components of Salted Eggplants (Chukyang) during Storage)

  • 남학식;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0-125
    • /
    • 2005
  • 본 연구는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축양 품종의 가지에 대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통하여 최적조건으로 염절임한 축양 품종의 가지를 저장기간 및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고, 침지 저장한 것보다는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것이 변화가 적었다. 신선한 가지에서 분리 정량된 유기산은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그리고 succinic acid 총 5종이었으며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 초기에 비해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가지의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등이었으며, 총아미노산 함량은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저장 20일째 1488.14 mg/100 g으로 생 가지보다도 증가하였는데 반해 침지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총 아미노산 함량이 745.42 mg/100 g으로서 저장 초기에 비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alanine, cystine과 prol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초기에 비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진공 포장하여 저장한 가지에 비해 침지 저장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주 phosphoserine, taurine, ${\gamma}$ -arnjnoisobutyric acid 및 hydroxypro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반해 ${\gamma}$ -arnjnoisobutyric acid는 증가하였다.

가자미류 육엑스분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분포와 가열조건에 따른 변화 (Distribution and Changes of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Muscle Extract of the Right-eye Flounder during Heat Treatment)

  • 문수경;안미정;한영실;변재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3호통권12호
    • /
    • pp.43-50
    • /
    • 1990
  • 우리나라 연안에서 어획되는 7종 가자미류를 대상으로 육 엑스분에서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분포를 측정 비교하였다. 그중 어획이 많은 층거리가자미의 경우는 다른 것에 비해 그 육 엑스분 중의 질소함량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가열시간과 온도의 변화에 따른 층거리가자미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함량을 분석·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7종 가자미류 육중에는 조단백질이 $17.54{\sim}19.99%$, 그리고 순단백질은 $15.63{\sim}17.95%$가 함유되어 있었고, 그 엑스분 중의 질소함량이 가장 높은 어종은 돌가자미로 2.12%였다. 2) 생육에서 추출한 엑스분 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 화합물의 조성은 7종 가자미에서 공통적으로 taurine이 전체의 $29.4{\sim}56.9%$로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lanine이 $6.6{\sim}10.4%$, glycine이 $1.6{\sim}16.7%$로 나타났다. 3) 층거리가자미육을 $100^{\circ}C$에서 30분, 60분, 90분, 120분 그리고 150분간 가열시간을 달리 하였을 때 엑스분 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조성은 alanine의 경우는 미소한 증가를 보였다. 반면에 histidine, lysine, ${\alpha}-aminoadipic\;acid$ 및 proline은 감소하였으며, isoleucine, arginine, phenylalanine 및 DL-allo-hydroxylysine은 함량에 큰 변동이 없었다. 4) 층거리가자미육을 $90^{\circ}C$에서 $130^{\circ}C$까지 $10^{\circ}C$간격으로 가열온도를 달리하여 60분간 가열한 뒤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조성은 taurine, alanine 및 leucine은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여 $130^{\circ}C$에서 가장 높았다. Histidine, lysine 및 aspartic acid는 가열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하였고, threonine, serine, valine 및 phenylalanine은 거의 변동이 없었다.

  • PDF

계절에 따른 미더덕의 영양성분 조성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Warty Sea Squirt(Styela clava))

  • 이강호;박천수;홍병일;정병천;조호성;제외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8-273
    • /
    • 1995
  • To study the nutritional value of warty sea squirt, Styela clava, which is one kind of urochoda and it has been used as special seafood stuffs by Korean, the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 was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was ranged from 83.6% to 86.8% in experimental period. Maximun glycogen content showed up in June (3.7g/100g sample). The protein(N$\times$6.25) and lipid content varied with glycogen whereas ash content was not changed remarkably, showing 2.8$\pm$0.3%. Predominant minerals in edible portion and integuments were sodium,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in order. Predominant constitutiional amino acids were asparagine, glutamic acid, taurine, aspartic acid, lysine and glycine and amino acids occupied 50% of the total amino acid. Porportion of nonpolar lipid to total lipid increased from April to early June while polar lipid level decreased. The neutral lipid was composed of triglyceride(59.32%) and free sterol(23.52%), and followed by diglycerides, monoglycerides, esterified sterols and hydrocarbon, free fatty acid. The phospholipid was mainly composed with phosphatidyl choline(49.7%),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33.0%).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total lipid in warty sea squirt were C20 : 5(17%), C22 : 6(13.76%), C16 : o(13.91%) and C16 : 1(12.52%).

  • PDF

Monthly Variations i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 Kim, Min-A;Jung, Hae-Rim;Lee, Yang-Bong;Chun, Byung-Soo;Kim, Seon-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409-419
    • /
    • 2014
  •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various specific component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 the catch season between March and August were investigated. Frozen krill were freeze-dried and milled. The proximate composition comprised water, proteins, fats, ash, fatty acids, and amino acids, while the specific components were vitamins, minerals, nucleotides, betaine, and astaxanth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rill ranged from 77 to 80%, with the highest value in June, and the ash content was between 12 and 13%. The protein content was lowest in May, and the fat content was 18-19%, with the highest value in March. The amino acid content varied according to the season: taurine and glycine were highest in August; ${\beta}$-alanine was higher in April and May; and arginine, ornithine, and lysine were highest in March. The unsaturated fat content was ~50% and omega-3 fatty acids were highest in June. Oil-soluble vitamins A and E were highest in March, and the water-soluble vitamin content was less than that of oil-soluble vitamins. The mineral content was highest in June, and the most abundant mineral was sodium at 235.60 mg/100 g krill. The content of other minerals was lowest (2.94 mg/100 g) in April, except for lead. The nucleotide content was highest in July, while the betaine content was highest in April and lowest in June. The astaxanthin content was highest in May and ranged from 6 to 10 ppm in other months.

고막 및 새고막의 부위별 식품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Food Components in Granular Ark and Ark Shell)

  • 김귀식;임정훈;배태진;박춘규;김명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2-518
    • /
    • 2002
  • 전남의 남해안 지방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고막과 새고막의 생시료와 자숙 시료를 육과 내장 부위로 나누어 이들의 식품학적 품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지질 및 지방산 조성,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및 무기성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분은 새고막이 고막에 비해 많았고, 조단백질은 적었으며, 다른 성분은 비슷하였다. 고막과 새고막의 비극성지질의 주성분은 triglyceride이었고, 두 시료 모두 내장이 육에 비해 그 조성이 높았다. 극성지질의 주성분은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고, 각 시료간에는 phosphatidyl choline은 내장에, phosohatidyl ethanolamine은 근육에 함유율이 높았다. 주요지방산은 16:0, 20:5n-3, 18:1n-9, 16:1n-7, 18:0 및 U:6n-3이었다. 핵산관련물질은 AMP와 ADP가 주체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들은 내장보다 근육에 그리고 생시료보다 자숙시료에 다소 많았다. 또한 자숙함에 따라 ATP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그외는 다소 증가하였다. 고막과 새고막의 주요 아미노산은 taurine,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phenylalanine 및 aspartic acid이었다. 고막생육은 자숙육에 비해 glycine, alanine 및 $\alpha$-amino-iso-butyric acid의 함량은 많았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은 적었다. 새고막 생육은 자숙육에 비해 taurine과 $\alpha$-amino-iso-butyric acid의 함량은 많았고,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은 적었다. 무기성분은 인, 나트륨, 마그네슘, 철 및 칼슘이 주체를 이루고 있었고, 고막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나트륨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많았으며, 인과 철의 함량은 적었다. 새고막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의 함량이 많았다.

저장방법에 따른 절임 가지(시키부품종)의 성분 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Salted Eggplants during Storage)

  • 남학식;김남우;엄영철;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3-298
    • /
    • 2004
  • 본 연구는 일본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시키부 품종의가지에 대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통하여 최적조건으로 염절임 한 후 저장기간 및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연구하였다. 시키부 품종의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침지저장한 것에 비해 진공포장한 것의 변화가 적었다. 유기산은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저장기간이길어질수록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leucine,aspartic acid, glutamic acid 이었으며 진공포장한 것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침지한 것은 저장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여 저장 20일째에는 진공포장한 방법보다 100 mg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acid, alanine, cystine과 Uol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방법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침지 저장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는phosphoserine, taurine, Y-aminoisobufric acid 및 hydroxypm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반해 Y-aminoisobutric acid는 진공포장하여 20일 동안 저장하였더니 생가지에 비해 5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서해안 3배체 굴 (Crassostrea gigas) 의 계절별 체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및 글리코겐 함량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body composition, amino acid, fatty acid and glycogen contents of triploi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황인준;한종철;허영백;임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9-277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양식된 3배체 굴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조성 및 글리코겐 함량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지방 함량은 겨울철에 가장 높았으며 (2월, $2.10{\pm}0.06%$), 단백질 함량은 가을철에 (11월, $9.09{\pm}0.04%$) 에서 가장 높았고 수분과 회분은 여름철 (8월, $86.00{\pm}0.12%$$2.67{\pm}0.03%$) 에 가장 높았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겨울철 (1,011.5 mg/100 g) 에 가장 높았고,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여름철에 가장 낮았다 (486.7 mg/100 g). 아미노산조성은 tau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및 alanine 등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다. 지방산 조성에서 전체 지방산 함량의 50 % 이상을 차지하는 지방산은 EPA와 DHA로 확인되었다. 글리코겐 함유량은 여름철에 가장 높았으며 ($1.26{\pm}0.03g/100g$), 다른 시기에는 $0.69{\pm}0.04-0.86{\pm}0.01g/100g$의 범위로 일정한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3배체 굴은 불임처리를 통해 산란을 하지 않아 여름철에 글리코겐 함량이 높아 겨울철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도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