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k-oriented occupational therapy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동작관찰 훈련과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An Impa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 구영화;김보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9-28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Method : 30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in D hospital located in Busan and treated were randomly allocated to Action-Observation Training Group and Task-Oriented Training Group in fifteens. To compa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Korea-modified Barthel index (K-MBI) was carried out. Result : In both groups,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between two groups after therapy interv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improv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application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to clinical occupational therapy will show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Effects of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 Yeong-Ae Yang;Na-Yun Lee
    • PNF and Movement
    • /
    • 제21권2호
    • /
    • pp.193-202
    • /
    • 2023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30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T) and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O). The TT group performed 30 min 5 times a week for 4 weeks in task-oriented training combined wit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TO group performed 30 min 5 times a week for 4 weeks in task-oriented training. To measure upper extremity function,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Manual Function Test, and Cognitive Func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troop Test and the Trail Making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before and after training in both groups, and the T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s.

과제 지향적 훈련과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Activity and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Stroke)

  • 이종민;김보라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2호
    • /
    • pp.23-34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훈련과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3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 그룹과 mCIMT 그룹으로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치료 중재 전 후의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뇌졸중 특이 삶의 질 척도(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를 시행하였다. 결과 : 두 그룹 모두 치료 중재 전 후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치료 중재 후 두 그룹간의 삶의 질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론 : 과제 지향적 훈련과 mCIMT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능 및 움직임 향상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제 지향적 훈련과 mCIMT를 작업치료와 함께 임상에 적용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상지로봇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뻗기 움직임에 미치는 단기 효과 (Short-term Effect of Robot-assisted Therapy on Arm Reach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홍원진;김용욱;김종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79-91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상지 로봇 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단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진단을 받고 1회 1시간씩 상지 로봇 치료와 과제 지향적 훈련(task-oriented training)를 받았던 환자 20명의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로서, 중재 전/후의 3차원 동작분석검사 결과 값을 토대로 두 중재간의 변화량을 비교 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결과 값을 파악 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상지 로봇 치료를 한 경우 팔 뻗기를 하는 동안 팔굽관절 움직임의 순발력, 효율성, 부드러움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과제 지향적 훈련(task-oriented training)과 비교 하였을 때 팔굽관절의 부드러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단기적 상지 로봇 치료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뻗기 시 팔굽관절 움직임에 효과를 보였으며, 추후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상지 기능의 움직임 개선에 대한 효과 입증이 필요하다.

학령기 아동의 글씨쓰기 중재법에 대한 국내외 문헌 고찰: 2013년부터 2020년까지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Interventions for Handwriting Difficulties in School-Aged Children: 2013~2020)

  • 최지은;안선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3-190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mprehensive comparison and analysis of intervention strategies utilized for school-aged children facing difficulties in writing, focusing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intervention approach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primary focus is on assessing the efficacy of each intervention approach and identifying gaps in the existing literature. Methods :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the domestic database RISS from January 2013 to March 2020, and international databases Pubmed and Google Scholar were utilized. The keywords for domestic literature search included 'occupational therapy', 'handwriting', and 'school-aged', while for international literature search, the keywords were 'occupational therapy', 'handwriting', and 'children'. A total of 4 international and 2 domestic articles were selected for review based on predetermined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s : The study findings present a tho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vention strategies, categorizing them into task-oriented intervention, sensory-motor intervention, and integrated intervention. All intervention methods demonstrated notable improvements in the legibility of handwriting. Comparison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vealed a predominant use of task-oriented intervention in domestic studies, while international studies showcased a diverse range of intervention methods. Conclusion : Interventions were categorized into computer-based, task-oriented, sensory-motor, and integrated interventions. Task-oriented interventions were the most common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hile integrated interventions were the most effe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need for handwriting intervention research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well-supported handwriting intervention research with larger sample size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Finally, future research should actively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tailored integrated interventions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handwriting difficulties.

치매모델 쥐의 과제지향 훈련이 인지기능 회복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Recovery and CNS Plasticity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Rats)

  • 김석범;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31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치매모델 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로 인지기능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의 한 지표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치매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수행하지 않은 실험군I과 과제지향 훈련을 수행한 실험군II으로 구성하였다. 과제지향 훈련은 앞발의 뻗기, 잡기, 옮기기를 적용하였고 장애물 보행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은 기억력의 측정에 정량화된 수동회피검사를 실시하였고 중추신경계 가소성의 변화는 아세틸콜린의 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의 과제지향 훈련을 실시한 후 4일부터 인지 기능의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00). 둘째,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에 적용한 과제지향 훈련은 아세틸콜린 함량의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00).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중재 중 임상에서 노인성 치매환자에게 많이 수행하고 있는 과제지향 훈련을 치매모델 쥐에게 수행함으로서 기억력 개선을 통한 인지기능 향상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을 확인할 수 있는 아세틸콜린의 함량 증가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였다.

발달성협응장애와 과제-중심 접근법(task-oriented approach)에 대한 문헌 고찰 (Task-Oriented Approaches to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Literature Review)

  • 이승진;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9-84
    • /
    • 2024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발달성협응장애와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과제-중심 접근법을 문헌 고찰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론 : 본 연구는 발달성협응장애의 정의, 진단, 원인,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제시한다. 또한 신경운동과제훈련(Neuromotor Task Training; NTT)과 인지기반작업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의 중재 전략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2000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게재된 국외 문헌 18편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문헌에서 언급된 중재의 목적은 작업치료 실행체계 4판(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4; OTPF-4)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 NTT는 클라이언트 요인(client factor) 영역에 대한 목표 설정의 빈도가 높았고, CO-OP는 작업(occupation) 영역에 대한 목표만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 설정의 차이는 두 중재 간 전략의 차이로 설명된다. 결론 : 발달성협응장애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과제-중심 접근법의 중재에 대한 전략의 이해는 질환에 대한 인식도를 높이고 근거 기반 임상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별사례 연구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Hand Function: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 고석범;박혜연;김종배;김정란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63-7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불완전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불완전 경수 손상 진단을 받은 성인 3명으로,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기초선(A1) 5회기, 중재기(B) 20회기, 재기초선(A2) 5회기로 총 3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 동안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제공되었고, 모든 회기에는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측정하였으며, 기초선(A1) 전, 재기초선(A2) 후로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와 Wolf Motor Function Test(WMFT)를 실시하여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 모든 대상자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통해 기초선(A1)보다 중재기(B)에서 우세 손 기능이 향상되었고, 재기초선(A2)에서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재기초선(A2) 후 COPM, JTHFT와 WMFT의 결과, 우세 손 기능의 향상과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은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선택한 훈련 과제의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의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y : Using Digital Contents Action Observation Educations and Task-Oriented Occupational Therapy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 김고운;김태수;오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445-452
    • /
    • 2015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동작관찰 없이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를 실시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실험군(동작관찰)과 대조군(과제 지향적 작업치료)으로 각각 15명씩 나누어 1주일에 5회 총 30분씩 5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과 후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HFT)과 Box and Block Test (BBT)를 실시하였고, 일상생활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Korean-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를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은 증가하였고, 그룹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는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sk-Oriented Approach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of the Affected Arm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 Song, Chiang-Soon;Hwang, Su-Ji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6-9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ask-oriented arm training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The experimental design in this study was the pre-test and post-test with control group for 4-week intervention. Thirty patient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were recruited from 2 rehabilitation units. The subjec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ask-oriented approach, involving 3 subparts of upper extremity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involved in the general upper extremity exercises. Functional movements of the upper extremities were assessed using clinical measures, including the Fugl-Meyer Assessment-Upper Extremity Section, Box and Block Test, and Action Research Arm Test. The score of Fugl-Meyer Assessment showed greater increa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training. The improvement in Box and Block 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measurements was significantly greater after task-oriented arm training compared to general upper extremity exercises. Action Research Arm Test scores also improved after task-oriented arm training compared to exercises in the control group. The task-oriented arm training improves the gross and fine motor activities and encouraging the use of the paretic arm through activity dependent intervention expedites the recovery of functional activities in the upper extremities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