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k oriented training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1초

The Biofeedback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in Stroke Patients Effect of Muscle Activity and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y

  • Yang, Dae-Jung;Uhm, Yo-Han;Kim, Je-H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5호
    • /
    • pp.325-33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tabilization exercise of biofeedback scapular on muscle activity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the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Method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biofeedback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comprised of 8 patients and a task-oriented training group including another 8 patients, and 30-minute exercise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8 weeks. Electromyogram was used to measure muscular activity of lower trapezius, deltoid middle, and serratus anterior. Fugl-Meyer Assessment and Manual Function Test were used to evaluate functions of the muscles mentioned.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mparison group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muscular activity of lower trapezius, deltoid middle, and serratus anterior, Fugl-Meyer Assessment, and Manual Function Test. Conclusion: Therefore, we could see that biofeedback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is more effective than task-oriented training in facilitating muscle activation and functional capacity of upper limb.

경직형 양마비 아동의 과제지향훈련 시 무게조끼 적용이 대동작 수행력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배정 위약비교 연구 (The Effects of Weighted Vest During Task-Oriented Training on Gross Motor Performance and Balance Abilities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 A Randomized Clinical Trial Study)

  • 권해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6-65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경직형 양마비 아동에게 과제지향훈련을 시행할 때 무게조끼 적용이 대동작 수행력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뇌성마비 아동을 치료하기 위한 중재방법으로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를 단순 무작위 표본추출법으로 실험군(남자 : 9명, 여자 : 8명, 평균연령 : 8.12세)과 위약군(남자 : 9명, 여자 : 8명, 평균연령 : 7.53세) 각각 18명씩 배분한 후 두 중재군 모두에게 1회 40분, 주 2회 과제지향훈련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무게저항을 제공하는 무게조끼를 착용하고, 위약군은 무게저항 없이 무게조끼만 착용하였다. 두 중재군 모두에게 닫힌 운동사슬과 다관절의 기능적인 움직임 패턴을 촉진하는 과제지향훈련을 각각 8~10회 실시하며 과제 사이에 약 3분간 휴식 하였다. 두 중재군의 대동작 수행력, 균형 능력에 대한 사전검사는 중재 전에 측정하였고, 사후검사는 중재 6주후와 12주후 총 2회 시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추적검사는 실험종료 12주후에 실시한 후 두 중재군 사이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결과 : 대동작 수행평가는 중재 6주후와 12주후에는 실험군이 위약군보다 평균 점수가 더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아동용 균형척도는 중재 6주후와 12주후에는 실험군이 위약군보다 평균 점수가 더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그러므로 닫힌 운동사슬과 다관절의 기능적인 움직임을 촉진시키는 과제지향훈련 시 무게조끼 적용은 경직형 양마비 아동의 대동작 수행력과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중재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과제지향적순환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일상생활동작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Effects of Group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on Motor Function, ADLs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Case Study)

  • 고명숙;전혜선;황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94-190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운동학습이론을 기초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병행한 집단 과제지향적 순환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운동기능,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31주간 실시하였다. Chedoke-McMaster 뇌졸중평가, 균형검사, 일상생활활동 운동 처리기술 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와 뇌졸중 영향척도 측정을 치료 전과 후에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운동기능 손상영역, 균형과 뇌졸중 영향척도의 기분과 정서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일상생활활동 운동 처리기술 평가는 운동(motor)영역에서 6명 중 3명에게 처리(process)영역은 4명에서 훈련 후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과제지향적 순환훈련은 지역사회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 향상에 이점이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뇌졸중 환자의 과제지향적 일어서기 시 신체압력중심과 지면반발력 특성 (Center of Pressure and Ground Reaction Force Analysis of Task-oriented Sit-to-stand in Stroke Patients)

  • 임유정;김중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52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enter of pressure (COP) and ground reaction force (GRF) characteristics during each task-oriented sit-to-stand in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 strok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task consisted of sit-to-stand (SS), sit-to-stand for reaching (SR), and sit-to-stand for walking (SW). The response time, COP, and GRF were measured during each task. The COP and GRF data were obtained using a two-force plate. The force plates were placed on a chair (below the buttock) and floor (below the feet).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S (1.48 ± .48 s) and SR (2.09 ± 0.82 s) and between SS and SW (2.27 ± .72 s) in the preparatory phase time during each sit-to-stand exercise (p = .002)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S (13.90 ± 6.44 cm) and SW (34.62 ± 39.38 cm) and between SR (16.14 ± 8.04 cm) and SW in the mediolateral COP range during each sit-to-stand exercise (p = .013).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e complex task-oriented sit-to-stand exercise requires a high-level motor programming process than a simple sit-to-stand task. Therefore, a variety of tasks-oriented sit-to-stand exercises will be useful training to achieve better ADL ability for stroke patients.

로봇-보조 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팔에 근활성도와 체중지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bot-Assisted Arm Training on Muscle Activity of Arm and Weight Bearing in Stroke Patients)

  • 양대중;이용선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80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obot-assisted arm training on muscle activity of arm and weight bearing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20 stroke patient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10 people in the robot-assisted arm training group and 10 people in the task-oriented arm training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robot-assisted arm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ask-oriented arm training for 6 weeks, 5 days a week, 30 minutes a day. The measurement tools included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smart insole system.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paired sample t-test. Results: Comparing the muscle activity of arm within th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in the biceps brachii, triceps brachii, anterior deltoid, upper trapezius, middle trapezius, and lower trapezius. Comparing the muscle activity of arms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muscle activity of ar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mparing the weight bearing withi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fected side and non-affected side weight bearing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erior and posterior weight bearing.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non-affected side weight bearing. Comparing the weight bearings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fected side and non-affected side weight bearing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robot-assisted arm training applied to stroke patients for 6 weeks significantly improved muscle activity of arm and weight bear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robot-assisted arm training can be a useful treatment in clinical practice to improve the kinematic variabl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인지손상을 동반한 만성 뇌졸중환자의 메타인지전략 과제훈련의 적용이 작업수행과 고위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Strategy Task Training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High-Level Fun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 with Cognitive Damage)

  • 한가람;김규용;최영은;고태성
    • 대한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9-71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CO-OP program using cognitive strategy on the satisfaction and high-level cognitive fun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with the existing task-oriented approach training method. Method: The group randomly selec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rom 30 patients who suffer cognitive damage due to brain damage, and then randomly presents the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ve Performance (CO-OP)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atien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task performance, and high-level cognitive functions in comparison to those before training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NT testing in control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CNT testing between the two groups, the COPM, AMPS tes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ators (p <.05). Conclusion: The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ve Performance (CO-OP) Intervention Act, which uses meta-in strategies, was previously use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it could be a more effective intervention in task performance and high-level cognitive function than in the Meaningful Task-Specific Training Program (MTST).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Circuit Training on the Function of Lower Extremity and Quality of Life in Hemiplegic Patients)

  • 차현규;오덕원;지상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99-305
    • /
    • 2014
  • 본 연구는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에는 총 25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 참여하였고, 무작위로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 13명, 트레드밀 훈련군 12명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두 군 모두 8주 동안 주 5회, 30분 트레드밀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은 30분 동안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을 추가로 실시하여 슬관절 근력, 균형 능력, 10m 보행 능력, 그리고 뇌졸중 영향 척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이 트레드밀 훈련군에 비해 슬관절 신전근과 굴곡근, 그리고 균형 능력, 뇌졸중 영향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것은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좀 더 많은 환자에게 다양한 과제를 적용하여 일반화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고등학교 교사의 그릿과 직무스트레스 대응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Teachers' Grit and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 장봉석;김진철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9-14
    • /
    • 2020
  •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그릿과 스트레스 대응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릿의 군집유형별 직무 스트레스 대응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실시하는 연수에 참여한 고등학교 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노력 지속성은 도전적 및 정서완화 대응행동에 정적 예측변인이었고, 흥미일관성은 회피적 대응행동에 부적 예측변인이었다. 그리고 높은 그릿과 높은 노력 군집 유형이 낮은 그릿 군집 유형보다 도전적 대응과 정서완화 대응행동의 평균이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교사들이 직무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교사의 그릿을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체중지지 트레드밀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서기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Gait and Standing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 김명진;이정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5
    • /
    • 2003
  •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is a new and promising therapy in gait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hemipleg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gait and standing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Eighteen patients with hemiplegia participated in the study. A 10 m-timed walk test, measurements of step length and standing balance score were administered. Intervention consisted of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five times a week for 2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scoring of standing balance, step length and 10 m-timed walk test showed a definite improvement.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ffers the advantages of task-oriented training with numerous repetitions of a supervised gait pattern. The outcomes suggest that patients with hemiplegia can improve their gait ability and standing balance through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 PDF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글씨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pper Limb Coordinated Movement Based Task Oriented Approach on Improving Handwrit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김미지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77-87
    • /
    • 2016
  • 목적 :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한글 글씨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각 접근이 한글 글씨 쓰기 수행의 질과 글씨쓰기 준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5~10세의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을 통해 두 집단으로 나뉘어 사전-사후 검사로 진행하였다. 두 집단은 과제중심접근 중재군과 과정중심접근 중재군으로 5주 동안 40분씩 주 2회 중재를 받았다. 글씨쓰기 수행은 한글 자모 쓰기 검사로 측정하고, 글씨쓰기 준비요소인 상지 운동 기능, 시 지각 기능과 시 운동기능은 각각 운동 유창성 평가(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중 미세운동조절의 하위검사 일부, 한국판 시 지각 발달 검사(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 개정된 시 운동기술 평가(Test of Visual Motor Skills-Revised: TVMS-R)로 평가하였다. 고찰 : 본 연구는 과제중심접근법을 적용하여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글씨쓰기 수행도를 향상시킨다는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과정중심접근법과 과제중심접근법이 글씨쓰기 준비기술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글씨쓰기 중재방법을 제시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