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nin acid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3초

팥 품종별 볶음시간에 따른 팥과 팥차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 송석보;고지연;김정인;이재생;정태욱;김기영;곽도연;오인석;우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7-324
    • /
    • 2013
  • 팥의 생리적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식품가공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볶음차를 제조하고 이러한 팥차 제조과정이 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본 결과 볶음시간에 따른 팥 품종별 총 polyphenol, flavonoid 및 tannin 등의 항산화성분 함량은 대체적으로 초반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성분 함량은 16분 볶음처리한 절강성이팥이 각각 12.72 mg GAE/g sample, 3.01 mg CE/g sample 및 3.56 mg TAE/g sample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대체적으로 초반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4분 볶음처리한 붉은이팥 추출물에서 7.81 mg TE/g sample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6분 볶은 금실팥과 절강성이팥, 14분 볶은 붉은이팥에서 21.26, 21.24 및 21.10 mg TE/g sample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탁도는 충주팥, 아라리, 칠보팥, 검구슬, 연금 팥, 금실팥 및 흰이팥은 증가하였고 절강성이팥과 붉은이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팥 품종별 볶음차 열수침출액의 총 polyphenol 함량은 12분 볶은 연금팥($26.55{\mu}g$ GAE/100 mL)이 가장 높았고 총 flavonoid 함량은 10분 볶은 흰이팥($15.10{\mu}g$ CE/100 mL), 총 tannin 함량은 10분 볶은 절강성이팥($14.60{\mu}g$ TAE/100 mL)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팥 볶음차 열수침출액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2분 볶은 연금팥에서 각각 488.72 및 728.25 mg TE/100 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팥을 볶아 차로 제조할 경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 팥차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표고 버섯(Lentinus edodes)의 영양생리 및 기질개발 (Nutritional Physiology and improvement of substrate of Lentinus edodes)

  • 박원목;송치현;현재욱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7-82
    • /
    • 1992
  • 자실체 생장을 위한 액체 정치 배양에서 탄소원, 질소원, pH의 효과를 검출한 결과 dextrin, aspartic acid, pH 4.0에서 각각 가장높은 건물중을 보였으며, 0.8% triacylglycerol 첨가시 자실체 생장이 촉진되었다. 고체배지 사용시 포플라, 백양나무, 참나무 톱밥 그리고 coffee waste 중 coffee waste에서 가장높은 자실체 건물중을 얻었으며 0.1% tannic acid의 첨가시 자실체 및 균사체 생장에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

에탄올의 농도가 계피추출액의 지표성분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Concentration on Index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innamon Extracts)

  • 김나미;양재원;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2-287
    • /
    • 1993
  • 에탄올의 농도를 달리하여 계피로부터 계피추출액을 얻고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계피를 $80^{\circ}C$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을 때 $60{\sim}90%$ 에탄올 추출액에서 cinnamic acid, cinnamic aldehyde, eugenol 함량과 항산화활성도가 높았다. 유리당, 탄닌, 갈색도와 고형분 함량은 70% 에탄올 추출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총아미노산과 무기염류는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Neuroprotective Effect of Chebulagic Acid via Autophagy Induction in SH-SY5Y Cells

  • Kim, Hee Ju;Kim, Joonki;Kang, Ki Sung;Lee, Keun Taik;Yang, Hyun O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4호
    • /
    • pp.275-281
    • /
    • 2014
  • Autophagy is a series of catabolic process mediating the bulk degradation of intracellular proteins and organelles through formation of a double-membrane vesicle, known as an autophagosome, and fusing with lysosome. Autophagy plays an important role of death-survival decisions in neuronal cells, which may influence to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orders including Parkinson's disease. Chebulagic acid, the major constituent of Terminalia chebula and Phyllanthus emblica, is a benzopyran tannin compound with various kinds of beneficial effec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utophagy enhancing effect of chebulagic acid o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 lines. We determined the effect of chebulagic acid on expression levels of autophagosome marker proteins such as, DOR/TP53INP2, Golgi-associated ATPase Enhancer of 16 kDa (GATE 16) and Light chain 3 II (LC3 II), as well as those of its upstream pathway protein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and Beclin-1. All of those proteins were modulated by chebulagic acid treatment in a way of enhancing the autophagy. Additionally in our study, chebulagic acid also showe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1-methyl-4-phenylpyridinium ($MPP^+$) - induced cytotoxicity which mimics the pathological symptom of Parkinson's disease. This effect seems partially mediated by enhanced autophagy which increased the degradation of aggregated or misfolded proteins from cells. This study suggests that chebulagic acid is an attractive candidate as an autophagy-enhancing agent and therefore, it may provide a promising strategy to prevent or cure the diseases caused by accumulation of abnormal proteins including Parkinson's disease.

목단피로부터 항균활성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nents from Moutan Cortex)

  • 권오근;김성환;천병열;박채규;손건호
    • 생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0-344
    • /
    • 1999
  • To evaluate antimicrobial activity of Moutan cortex the compounds isolated from $CHCl_3$ and EtOAc fractions of Moutan cortex were subjected to eight pathogenic strains. Benzoic acid, witch was identified from the $CHCl_3$ fraction, had MICs with $625{\sim}1,250\;{\mu}g/ml$ against all of the strains tested. Methyl gallate, p-hydroxy benzoic acid, gallic acid and $1,2,3,4,6-penta-O-gallyol-{\beta}-D-glucose$, which were identified from the EtOAc fraction,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methyl gallate had the widest antimicrobial activity with MICs of $625{\sim}5,000\;{\mu}g/ml$ against all strains tested. p-Hydroxy benzoic acid showed MICs of $1,250{\sim}2,500\;{\mu}g/ml$ against all of the strains tested except C.albicans. Gallic acid had the best antimicrobial activities with MICs against the Shigella dysenteriae and Streptococcus mutans-strains of 78.1 and $312.5\;{\mu}g/ml$, respectively, but not against the C. albicans. And $1,2,3,4,6-penta-O-gallyol-{\beta}-D-glucose$ had the best antimicrobial activitie with MICs against the B. cereus, Staph. epidermidis and C. albicans strains of 39.1, 39.1 and $156.3\;{\mu}g/ml$, respectively, but not against the E. coli and Shig. Dysenteriae.

  • PDF

덖음 횟수에 따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꽃차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Pan-firing)

  • 유정식;우관식;황인국;장영득;정정학;이철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47-652
    • /
    • 2008
  • 덖음 처리가 감국차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감국 꽃을 $230^{\circ}C$에서 3, 5 및 7회 덖음 처리 후 감국꽃 침출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덖음 횟수에 따라 L 및 a value는 감소하고 b value는 증가하여 차의 색택은 점차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총 질소함량은 무처리에서는 2.79%이었으나 덖음 횟수에 따라 $3.42{\sim}3.63%$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18종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Caffeine 함량은 덖음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chlorophyll 함량은 덖음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nnin,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덖음 시간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7회 덖음 시 각각 9.79, 17.44 및 11.09 mg/g이었다. 항산화활성은 7회 덖음 시 전자공여능은 17.22%, 총 항산화력은 16.62 mg AA eq/g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덖음 감국 꽃차의 관능검사 결과 색, 맛, 향 및 종합적 기호도는 5회 덖음 처리된 차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콘(Polymnia sonchifolia)의 건초 잎과 줄기 및 후숙된 괴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Dried Leaves and Stems and Cured Tuber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 은종방;이범수;이진철;양호철;정동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66
    • /
    • 2002
  • 야콘(Polynmia sonchilolia)의 식품가공에의 적용 확대를 위해 그것들의 신선한 잎, 줄기, 괴근과 건조 잎과 줄기 및 후숙 후의 괴근의 화학적 성분들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신선한 잎의 경우 83.38%에서 건조 후 18.08%이었고, 줄기의 경우 92.30%에서 건조 후 27.97%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괴근의 경우 신선한 것은 89.52%이었으나 후숙 후 86.99%로 수분감소가 적게 나타났다. 잎의 지방, 단백질, 가용분, ascorbic acid, chlorophyll과 tannin의 함량은 줄기보다 더 많았다. 생괴근과 후숙괴근에서 단백질은 모두 0.04%, 지방은 각각 0.31%, 0.43%, 회분은 각각 0.40%, 0.42%, ascorbic acid는 각각 2.77 mg/100 g와 2.87 mg/100 9로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요한 무기성분은 잎, 줄기, 괴근에서 모두 P, K, Mg이었다. 유리당은 잎, 줄기, 괴근 모두 glucose와 fructose가 주요한 성분을 이루고 있었으며, 괴근에서는 모든 당이 후숙 후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모든 시료에서 isoleuc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beta$-carotene의 함량은 신선한 잎에서 9.01 $\mu\textrm{g}$/100 g, 건조잎에서 107.87 $\mu\textrm{g}$/100 g이었고, 생괴근에서 0.40 $\mu\textrm{g}$/100 g와 후숙괴근에서 0.55 $\mu\textrm{g}$/100 g로 나타났다.

숙성 온도를 달리한 참나물 김치의 품질특성 조사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mpinella brachycarpa Kimch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 최미희;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5-49
    • /
    • 2002
  • 예로부터 즐겨 먹어온 산나물의 일종인 참나물의 식품화가치 증진을 위해 일반적인 품질특성과 참나물 김치의 숙성에 따른 변화특성을 살펴보았다. 참나물의 일반적인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도는 Hunter L값 33.28$\pm$1.94, a값 -10.98$\pm$0.74, b값은 14.05$\pm$1.29였으며 shearing force는 2745.2 g이었다. Tannin 함량은 100.9mg%이었으며 섬유소와 무기성분 함량은 섬유소가 24.0%이었고, Ca 7.85 g/kg, K 76.31 g/kg, Mg 4.78g/kg, Fe 0.35g/kg, Na 2.35g/kg로 K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나물 김치의 경우 2$0^{\circ}C$와 4$^{\circ}C$저장 모두에서 Hunter L, a b값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그 변화는 4$^{\circ}C$저장이 완만하게 나타났다. pH는 김치가 발효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산도는 pH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으며 발효온도가 높은 2$0^{\circ}C$에서 상승속도는 빠르게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도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율이 높게 나타나 2$0^{\circ}C$ 저장은 저장 5일에 81.9%, 4$^{\circ}C$ 저장은 30일 저장에 77.3%가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저장기간 동안 2$0^{\circ}C$와 4$^{\circ}C$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와 pH, 산도 변화 등과 관련지어 볼 때 2$0^{\circ}C$ 저장은 발효초기 1~3일, 4$^{\circ}C$ 저장은 발효 20일 이후가 적숙기 임을 알 수 있었다.

석류피(石榴皮)와 화피(樺皮)에 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Study of Pericarpium Granati and Cortex Betulae Platyphyllae)

  • 박수연;나창수;정원철;이종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33
    • /
    • 201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herapeutic meaning of Pericarpium Granati and Cortex Betulae Platyphyllae in herbal medication. Methods : About the origin, the component, the processing the drug, the properties and tastes of drugs, the meridian tropism, the effects, the treating disease, the contraindication and the method of adminictration, I have researched 23 literatures and 10 disquisitions to mention the Pericarpium Granati and Cortex Betulae Platyphyllae. Result : 1. Pericarpium Granati is pericarp of mature fruit of The Pomegranate belongs to Punicaceae and Cortex Betulae Platyphyllae is bark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Miquel) Hara belongs to Betulaceae. 2. Pericarpium Granati consists of tannin 10.4~21.3%, lead 0.8%, resin 4.5%, mannitol 1.8%, sugar 2.7%, gum 3.2%, inulin 1.0%, musilage 0.6%, gallic acid 4.0%. Cortex Betulae Platyphyllae consists of betulin about 35%, various higher fatty acid about 35%, tannin about 7%. 3. The properties and taste of Pericarpium Granati is acid, astringency, warm, nontoxic and the meridian tropism is mainly stomach and large intestine meridian. The properties and taste of Cortex Betulae Platyphyllae is bitter, cold, nontoxic and the meridian tropism is mainly stomach meridian. 4. Pericarpium Granati has come into general use to treat roundworm, tapeworm, old diarrhea, anal prolapse, melena, metrorrhagia, leukorrhea, stomachache from worms, scabies etc. because it is effective on insecticiding, stopping diarrhea, controling hemorrhage and leukorrhea. Cortex Betulae Platyphyllae has come into general use to treat shigellosis, diarrhea, jaundice, cough, sputum, tonsillitis, pneumonia, nephritis, furuncle, prurigo, acne etc. because it is effective on cooling down heat, circulating humidity, removing phlegm, stopping cough, neutralizing poison. 5. Pericarpium Granati and Cortex Betulae Platyphyllae is useful method to external care. To use the herba, pulverize amount of property and then apply to the affected part.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Pericarpium Granati and Cortex Betulae Platyphyllae is useful herb to treat of skin disease and useful method to external care.

완효성 비료 분시방법에 따른 두물차의 수량 및 품질 (Effect of Split-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Yield and Quality of 2nd Harvested Tea Leaves)

  • 박장현;국용인;최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0-194
    • /
    • 2003
  • 두물차의 수량은 관행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완효성 비료 9월, 3월 분시 2회 와 3월 1회 분시는 수량차가 없었으나 9월 1회 분시는 감수되었다. 관행시비에 비해 완효성비료 2회 분시가 총 질소, 총 아미노산은 많았고, tannin과 caffeine 함량은 적은 경향이었으며 엽록소, 비타민 C, 유리당 함량과 감칠맛 주성분인 theanine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품질은 완효성 비료 2회 분시가 1회 분시나 관행 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우수하였다. 그러나 완효성 비료처리는 토양비료성분 중 질소, 인산, 칼리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차잎 수량 및 품질을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