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lent imag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초

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서 학교별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alent Image of Each School in the Science High School Admissions)

  • 황다현;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1-60
    • /
    • 2022
  •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과학고등학교 인재상과 역량을 '공공성'과 '효용성', '수행'과 '성과' 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 대부분 '공공성-수행'이 우세하였다. 다음으로 3개 과학고등학교의 입학전형에서 인재상 반영 정도와 개선 방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과학고등학교 교사, 교육 전문가, 중학교 교사 총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단계 전형에서는 '공공성' 평가가 매우 제한적이었고, '성과' 중심으로 선발하는 경향이 높았다. 둘째, 2단계 면접 평가에서는 '효용성-성과' 중심으로 선발하는 경향이 매우 강했다. 셋째, 1단계 전형에 '역량 중심의 자기소개서 작성, 학교생활기록부의 타 교과 성적 및 비교과 반영, 전문가의 면담'을 도입하여 '공공성-수행' 유형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학생선발로 개선해야 한다. 넷째, 2단계 면접 평가에서 '공공성-수행' 유형의 인재상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발산적 사고가 가능한 융합적이고 개방형 문항의 공동 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은 역량 중심의 1단계 서류평가와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2단계 면접 평가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epartment of Contents, University Curriculum Introduc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tus of Image-generating AI

  • Sung Won Park;Jae Yun Park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5호
    • /
    • pp.107-120
    • /
    • 202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hanges and realities of the content production process focusing on Image generation AI revolutions such as Stable Diffusion, Midjourney, and DELL-E,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department operations at universities and Find out the status of the current curriculum. Through this, we suggest the need to produce AI-adaptive content talent through re-establishing the capabilities of content-related departments in art universities and quickly introducing curriculum. This is because it can be input into the efficient AI content development system currently being applied in industrial fields, a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alent who can perform managerial and technical roles using various AI system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we will prepare cornerstone research to establish the university's status as a source of talent that can lead the content industry beyond the AI content production era, and focus on convergence capabilities and experience with the goal of producing convergence talent to cultivate AI adaptive content talent, suggests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pplication for value creation.

사서의 인재상 정립에 관한 기초연구 (The Basic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a Librarian's Talent)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51-90
    • /
    • 2021
  • 인재는 국가, 사회, 조직, 개인의 효율적 목표달성과 성과창출을 위하여 필요한 가치와 능력 또는 이를 가진 사람으로, 국가 및 기업의 성공 또는 성과를 발생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며, 사서는 전문성을 갖춘 도서관계와 지식문화기반 국가사회를 이룩할 인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의 인재상을 도출하기 위해 도서관계를 포함하여 사회 각 분야에서 제시된 인재상, 역량, 사서의 역할, 사서직무개발, PEST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1차적으로 11개의 인재상을 도출하고, FGI 과정을 거쳐 4개의 인재상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이용자 및 사서, 학생 등을 대상으로 검증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창의융합형 인재, 인성형 인재, 전문형 인재, 소통형 인재 등 4개의 사서 인재상을 제안하였다.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인식하는 지도자의 이미지와 참여동기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Image Perceived by Elderly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and Participation Motive)

  • 손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71-380
    • /
    • 2019
  • 본 연구는 지도자의 이미지와 참여동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스포츠센터 6곳의 만 65세 이상의 노인 29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이미지에서 성별은 지도자의 자질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연령은 지도자의 자질과 학습지도 이미지, 생활 이미지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참여종목은 지도자 이미지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에서 성별은 내적동기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연령과 참여종목은 참여동기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지도자 이미지는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에서는 학습지도 이미지와 인간관계 이미지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외적동기는 지도자의 자질과 생활 이미지, 인간관계 이미지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지도자의 이미지는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동기를 높여주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대련지역을 중심으로- (Preference for Korean Popular Culture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Focus on the Dalian Areas of China-)

  • 양유동;김순아;이영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6-217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cultural products (Korean talent, K-pop songs, TV dramas, and movies), for Korean fashion products,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s national brand image and Chinese fashion leadership with the three variables was investigated. Data was collected from 580 Chinese in Dalian, Chin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correlations, reliability, and AMOS for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 K-pop songs, TV dramas, movies, and fashion products showed that the Chinese had a positive response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each item was similar. Second,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 movies, and TV dram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eference for Korean fashion products. In addition,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fashion produc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fashion products. Third,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 and fashion product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ir fashion leadership.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 movies, TV dramas, K-pop songs, fashion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had the same positive relationship with Korea's national brand images. This study examined from a structural aspect how the preference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ducts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This study explored that the preference for Korean cultural products transcended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popular culture with a subsequent national industrial and economic ripple effect that improved the national brand image.

16세기 호남(湖南) 한시(漢詩)의 의상(意象) 연구(硏究) - 박상(朴祥), 임억령(林億齡), 고경명(高敬命)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mage on Honam Chinese poetry in 16th century)

  • 권혁명
    • 동양고전연구
    • /
    • 제63호
    • /
    • pp.43-82
    • /
    • 2016
  • 본고는 16세기 호남 한시의 의상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박상 임억령 고경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의상(意象)을 방법론으로 고찰하였다. 본고가 파악한 호남 한시의 특징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문재불용(文才不用)'의식과 변새(邊塞) 의상(意象)이다. 박상 임억령 고경명은 16세기 호남의 인재들로 뛰어난 문재(文才)를 가지고 중앙정계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당대는 훈구파가 정국을 주도하는 시기로서 3인은 좌절을 겪게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부정(不正)의 현실인식(現實認識), 현실비판(現實批判) 및 회재불우(懷才不遇) 의식(意識)을 드러낸다. 그런데 3인에게 주목되는 개성적 면모는 회재불우(懷才不遇) 의식(意識)이다. 그들의 회재불우(懷才不遇)는 그 기저에 '근본적으로 문재(文才)를 인정받지 못해서 불우하다는 문재불용(文才不用)'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문재불용(文才不用)'에 민감했던 것은 그들의 중앙진출수단이 뛰어난 문재(文才)였기 때문에 문재(文才)가 차단 당하자 좌절도 그만큼 켰기 때문이다. '문재불용(文才不用)' 의식은 특히, 외직을 맡거나 실질이 없고 명분만 있는 군직(軍職)을 맡았을 때 두드려지게 나타나는데, 검(劍), 극(戟), 장군(將軍) 등의 변새(邊塞) 의상(意象)을 통해서 시화(詩化)되고 있었다. 둘째, '화이불류(和而不流)' 의식과 절조(節操) 의상(意象)이다. 박상 임억령 고경명은 정치현실에서 '문재불용(文才不用)'을 토로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였다. 이는 도(道)가 행해지면 나가서 벼슬하고 도(道)가 행해지지 않으면 은거하여 학문과 인격을 닦는 유자 일반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자세와는 변별되는 것이다. 이는 3인이 유하혜(柳下惠)의 '화이불류(和而不流)'를 정치적 삶의 표본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3인은 부정(不正)의 현실이라고 외면하거나 떠나가지 않고 자신의 도를 곧게 세워 지속적으로 현실에 참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정신지향은 접붙인 매화, 꾀꼬리, 지주석 등의 의상을 통해 시화(詩化)되고 있었다.

중소기업 인적자원의 교수자이미지가 자아이미지에 미치는 융합연구 : 교수자음성이미지의 매개효과 (Convergence of the Image of the Professor in Human Resour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o Self Image : Mediating effect of voice image)

  • 김정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29-234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재학 중인 대학생 188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대학생에게 자아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는 자료로 제시하기 위해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자이미지와 자아이미지 간의 상관관계,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자 이미지와 음성이미지 간의 상관관계, 또한, 대학생이 지각한 음성이미지와 자아이미지 간의 상관관계에서 각각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자이미지와 자아이미지 간의 관계에서 음성이미지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중소기업 인적자원과 관련된 교수자이미지 수준이 높아지면 음성이미지 수준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자아이미지 수준도 향상되어지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삼략(三略)》에서의 초연적(超然的) 숭고(崇高) 의식(意識) 고찰(考察)

  • 이정미
    • 중국학논총
    • /
    • 제66호
    • /
    • pp.227-264
    • /
    • 2020
  • In Sanyue, the identity of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class, ideology, system, moral ethics, tactical strategy, national view, Talent image, etc. and It pursues a historical approach in the world history and an attempt to self-realize in the history of mankind. This literature expresses the strength of military theory and discusses the main core points of the country as a military political and tactical strategy as follows: "Shangyue, zhongyue, and Xiayue. In the Shangyue in Sanyue, it describes how to distinguish the heroes who have been appointed through the ceremony, and it shows the accomplishment of the reason. In zhongyue, we discuss how to distinguish the contingency plan the meaning of change. In Xiayue, we discuss practical thinking of moral ethics and explain the possibility of All the officials and sages angry by considering the safety of the country."

철학기반의 서비스경제시대 인재상 연구 (A Study on Philosophy-based Human Resource Model in the Service Economy Era)

  • 김재영;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9-138
    • /
    • 2020
  • 과거의 제조업 중심 산업경제시대와는 다르게 서비스경제시대는 무형재화중심, 지식보편화, 욕구확장 등의 특징을 가지며 경제의 근간이 되는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환경이 변화하는 속도가 빠르지 않았기 때문에 변화된 환경을 분석한 후 기업에 필요한 인재상을 도출하더라도 오랜 기간 조직에 바람직한 인재상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환경 변화 속도가 빨라 선제적으로 인재상을 구축하여 적용하지 않으면 효과적인 경영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분석에 의한 기술적(Descriptive) 방식의 인재상 모델 연구가 아닌 바람직한 인재상 모델 도출을 위한 규범적(Normative)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 시대의 특성과 인류사회의 본질을 분석하여 인재상 모델 구축에 반영하였다. 우주의 공통원리, 동양의 대표사상, 서양의 대표사상을 반영하여 인재상의 기본 모델을 구축하였다. 현대 서비스경제시대에 맞는 인재상을 도출하기 위해 현대 경제사회와 현대정신을 분석하여 반영하였다. 도출된 모델은 조직의 두 대립자인 경영자와 직원이 치열한 상호작용을 하며 변증법적으로 균형을 이루어가는 모델이다. 즉 현대 조직에서의 바람직한 인재는 경영자의 역할을 함께 수행해야 하며, 현대 조직의 경영자상과 인재상은 동전의 앞뒷면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인재상의 철학을 인간관, 역사관, 사회관, 경제관, 경영관 등 5개 차원으로 제시하였으며, 인재상 모델은 주인성, 이성성, 지혜, 고객지향성, 혁신성, 유연성, 자율성, 협업성 등 8개 요소로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인재상 모델이 기업의 근무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각 기업에 인재상을 반영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연예인 선호이미지와 모방행동 (Preference of Entertainer Image and Imitation Behavior on Adolescents)

  • 이수경;권수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19-42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reference for the entertainers image and imitation behavior. The research was a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1,03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statistics analysis, t-test, crosstab, ANOVA,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were as follows; The preference for the entertainment, most of the adolescents loved the singer and the TV talent. The feminine and urban image was their favorite image for the entertainer. The favorite ima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Star entertainer imitation behaviors showed the differences according as adolescent's gender and age. The unique marketing strategy is required as the job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so the tend to follow up and imitate all attractive factors and favorite image of the entertainer. This study was for helping the adolescent who are very sensitive and going to set up their identification to get the role model as the fair way to be the social member, helping the one to set up the image-making way for each entertainment's job, and helping the enterprise who want to use the image of the star in their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