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kju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3초

밀누룩으로 제조한 전통탁주의 이상발효 원인 규명: 사례분석 (Microbes causing abnormal Takju fermentation in traditional wheat-based Nuruk: A case study)

  • 윤정현;이장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43-350
    • /
    • 2022
  • 밀누룩과 탁주의 미생물 군집을 NGS로 분석하여 탁주의 이상 발효 원인을 규명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미생물은 알코올 발효 이후 변화하여, 누룩에서는 Aspergillus 속 곰팡이와 Staphylococcus 속 세균이 우세하였고, 탁주에서는 Saccharomyces 속 효모와 Pediococcus, Bacillus, Lactobacillus, Enterobacter 속 세균이 우세하였다. 특이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된 누룩과 탁주 시료는 유산균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미생물학적 환경에서 Bacillus 속과 Enterobacter 속이 기회 감염균인 Bacillus wiedmannii와 Enterobacter cloacae로 확인되었고, B. wiedmannii와 E. cloacae는 각각 유기산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한 밑술 발효 3일과 원료가 첨가된 덧술 발효 1일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탁주의 미생물은 누룩을 포함한 원료 및 발효 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유산균의 부재가 탁주에서 E. cloacae와 B. wiedmannii의 이상 증식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NGS를 통한 미생물 군집 분석은 누룩과 탁주의 미생물 구성과 발효 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전통누룩의 발효 조건 개선 및 고품질 전통주 생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발효원과 발효온도가 보리상외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rmentation ag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Bori-sangoedduk)

  • 곽은정;박상희;김지상;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173-179
    • /
    • 2007
  • The effects of fermentation ag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Bori-sangoedduk We examined the effects of fermentation ag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ri-sangoedduk a traditional dduk(rice cake) from Jeju, Korea. Bori-sangoedduk was prepared by mixing wheat flour, barely flour, and Borisul or Takju as the fermentation agent the mixture was then fermented at 30, 35, and $40^{\circ}$C. for 3 hr, and steamed. The L- value of the Takju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orisul group, and the samples fermented at $30^{\circ}$C in each group had higher than L-values than those fermented at $35^{\circ}$C and $40^{\circ}$C . The a- and b-valu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the fermentation agent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The loaf volume of the Borisu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akju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fermentation temperature. The values of hard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lower in the Borisul group than in the Takju group due to a greater number of pores and surface cracks. Hard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values were highest at fermentation temperatures of 30, 35, and $40^{\circ}$C , respectively, in both groups, compared to samples at other temperatures. In the acceptance test, the Takju group was preferred over the Borisul group for appearance, texture,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ferences in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for samples fermented at $40^{\circ}$C , in both groups, compared to those fermented at $30^{\circ}$C and $35^{\circ}$C. In the descriptive 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lor according to fermentation ag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however, the Takju group was shinier than the Borisul group. In addition, the Takju group was harder and springier than the Borisul group, and had less sour taste and flavor than the Borisul group. Finally, in terms of overall preference, we found that Bori-sangoedduk made with Takju and fermented at $40^{\circ}$C for 3 hr was the best formula, due particularly to its taste and flavor.

대한민국 대표 전통주 탁주의 알코올 도수 분석 (Alcohol content analysis for Takju,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liquor in Korea)

  • 오창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631-636
    • /
    • 2022
  • 막걸리라고도 불리우는 전통 병행복발효주 탁주의 중요한 규격인 알코올분은 풍미와 연관이 깊은 요인이다. 알코올분 분석은 증류과정과 주정계 측정으로 구성된 부칭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C법을 개선하여 신뢰성을 검증한 후 시중 유통 탁주 14종의 알코올분을 부칭법과 개선된 GC법으로 분석하였다. GC법의 정밀성 및정확성은 만족스러운 수준이었으며, 정량한계 및 정성한계는 0.5도 및 0.1도로 확인되었다. 표시도수 ±1을 초과한 비살균 탁주 3종 중 표시도수 6.0도를 초과하는 9.9도 (GC법) 및 10.1도 (부칭법)로 측정된 1종을 제외한 나머지는 -1.1도를 초과하였으나, 분석법의 에러범위에 해당되는 수준이었다. 14종 탁주의 알코올분 평균 정밀도 (%RSD)는 부칭법 36.2%에 비하여 GC법이 12.8%로 우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선된 GC법은 넓은 범위의 탁주 중 알코올분 규격 관리 및 개선에 효율적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량누룩으로 제조한 탁주의 중요 향미성분 분석 (Analysis of Mahjor Flavor Compounds in Takju Mash Brewed with a Modified Nuruk)

  • 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1-426
    • /
    • 1999
  • The major flavor compounds of Takju mash which was brewed with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and cultivation of Rhizopus japonicus T2, Aspergillus oryzae L2 and Hansenula sp. BC26 isolated from Nuruk, were analyzed, as compared with those with current fermenting agents such as commerical Nur-uk and rice koji of Aspergillus kawachii. The contents of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and ethyl acet-ate which were known as aroma compounds in Takju were much higher in mash of modified Nuruk than in that of commercial Nuruk or ricd koji.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lactic fumalic and succinic acid in mash of modified and lactic and acetic acid in mash of commercial Nuruk and citric lactic and suc-cinic acid in mash of rice koji. The contents of total organic acids were 5,146mg/L, 1,706mg/L and 1, 388 mg/L in mash of commercial Nuruk rice koji and modified Nuruk respectively.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lanine proline and histidine in mash of modified Nuruk and glutamic acid proline leucine and histidine in mash of commercial Nuruk and arginine proline and glutamic acid in mash of rice koji.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were 14,090mg/L 12,202mg/L and 7,152 mg/L in mash of modified Nuruk commercial Nurcuk and rice koji respectively.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Takju mash of modified Nuruk was better than that of commercial Nuruk or rice koji.

  • PDF

Aspergillus kawachii와 Aspergillus oryzae의 병용에 의한 탁주의 품질개선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the Combined Use of Aspergillus kawachii and Aspergillus oryzae)

  • 소명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5-124
    • /
    • 1991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akju, the effect of combined use of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kawachii in brewing was investigated. The quality of Takju which was brewed by the combined use of Aspergillus oryzae CF7-koji and Aspergillus kawachii CF1-koji in equal amount was better as cmapared with that brewed by existing method using Aspergillus kawachii-koji only as koji. But the good result did not obtained when the koji was made by mixed culture of Aspergillus oryzae CF7 and Aspergillus kawachii CF1.

  • PDF

주박첨가에 따른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Takju(Korean turbid rice wine) lees)

  • 김순미;윤철호;조우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9-364
    • /
    • 2007
  • Effects of Takju(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noodle investigated by substituting Takju lees water extract powder for each 2% and 4% wheat flour in sample II and III, respectively. The lightness(L) of uncooked noodles was decreased, whereas that of cooked noodl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extract added. Redness(a) and difference of total color(${\Delta}$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tract added in uncooked and cooked noodles. Yellowness(b) of the noodles containing 2% Takju lees water extract powder was exhibited lowest values in uncooked and cooked noodles. In cooking property of noodles, turbidity of soup decreased in proportion to amount of extract added, 2% and 4% in sample II and III, respectively whereas the weight and volume of noodles were not significant than those of control. Tension of cooked noodle was highest in sample II and lowest in sample III. Texture profile analysis of cooked noodle showed an significant increase of hardness in addition of Takju lees water extract powder but not significant different in springiness, chewi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was significantly lowest in sample II.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odles with 2% addition groups and control was not recognized but was recognized 4%. Therefore, based on cooking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Takiu lees water extract powder up to 4% could be substituted for wheat flour.

탁주 주박의 섭취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의 혈당수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akju(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순미;조우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38-643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akju(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24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control(NC), diabetic control(DC) and diabetic rats(DS) were fed on experimental diet and water ad libitum for 4 weeks. DS diet was containing 20% Takju lees.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F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C and DS than NC. DS tended to have higher weight, weight gain and FEF than DC nevertheless food intake. Therefore Takju lees could possibly complement casein as a protein source. Gastrointestianl transit time in D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NC while not significantly than DC. Serum lipid profiles and AST. ALT and amyla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abetic DC and DS. Blood glucose was measured at fasting state and 30, 60, 90 and 120 minute by oral glucose tolerance test, DS tended to lower the mean(${\pm}$ SE) incremental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than DC and was significantly low at 120 min. But incremental AUG(area under the curve) of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clusion, in spite of high contents of carbohydrate Takju lees perhaps have a benefit effect on the diabetes.

강낭콩을 첨가한 탁주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Takju(Rice Wine) Added with Kidney Bean)

  • 박상순;윤진아;김제중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75-581
    • /
    • 2010
  • 강낭콩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탁주의 이화학적 물성변화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산의 경우, $T_{-5}$에서 산도가 0.70%로 가장 높았고, $T_{-6}$에서 0.50%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p<0.05). pH는 발효 종료 후 $T_{-1}$에서 3.82에서부터, $T_{-2}$에서 4.19로 주세법상 탁주 pH 범위인 3.8~4.7에서 벗어나지 않았다(p<0.05). 환원당의 경우, 발효 2일째 전체적으로 환원당 함량이 $T_{-1}$ 4.96에서 2.00%로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발효 종료 후 환원당 함량의 분포를 살펴보면 $T_{-1}$ 0.49에서부터 $T_{-7}$ 0.59%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고(p<0.05), 발효 6일째부터 12일째까지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알코올 생산량은 발효 직후 $T_{-1}$에서 17.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_{-2}$에서 13.83%로 가장 낮았다(p<0.05). 항산화 효과는 $T_{-1}$ 40.0%, $T_{-2}$ 57.0%, $T_{-3}$ 50.1%, $T_{-4}$ 47.0%, $T_{-5}$ 47.1%, $T_{-6}$ 46.0% 그리고 $T_{-7}$ 45.0%의 항산화 활성을 보이고 있으며, 강낭콩 함량이 높은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측정 결과, 단맛, 신맛, 조직감 그리고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각 시료간의 유의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강낭콩으로 담금한 탁주가 백미로 담금한 탁주에 비해 조직감과 선호도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새로운 제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묵은 쌀(古米)을 사용한 탁주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 박진호;배상면;육철;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09-615
    • /
    • 2004
  • 1998년에서 2001년도에 생산된 묵은 쌀의 일반성분에서는 2000년도 쌀이 11.3%로 가장 높게 나온 수분함량을 제외하고는 일반 쌀의 일반성분과 큰 차이는 없었다. 20분 수분흡수율과 120분 수분흡수율에서는 수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던 2000년도 쌀이 각각 26.62%, 29.0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호화특성에서는 호화개시온도 그리고 최고점도시의 온도가 오래 저장된 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당화속도 비교에서는 1998년 시료가 당화속도가 다른 시료에 비해 24시간 경과시점에서는 늦었으나 36시간 이후에는 시료간의 차이가 없었다. 1998년에서 2001년도에 생산된 쌀을 이용하여 무증자법으로 탁주를 7일간 발효하였고 발효 특성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무증자법으로 탁주를 담금한 후, 알코올 함량은 담금 5일째까지는 빠르게 증가하여 17.3-18.1%이고 그 중 1998년도 묵은 쌀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 7일째 최종 알코올함량은 17.5-18.2%로 역시 1998년도 묵은 쌀이 가장 높았으나 시료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일반 쌀과 마찬가지로 발효가 잘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단맛, 신맛, 선호도에서 2000년산이 최고로 나타났으며 쓴맛에서는 1999년산이 최고로 나타났으나 각각에 대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앓았다. 묵은 쌀 냄새를 비롯한 탁주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능검사에서도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재고로 쌓여있는 묵은 쌀을 무증자 탁주 발효에 활용하면 충분히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효모종류를 달리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 이홍숙;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93-599
    • /
    • 2007
  •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6일차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 14종, 에스테르 13종, 유기산 5종, 알데하이드 3종, 아민 7종, 기타 2종으로 최대 44종이 검출되었다. S. coreanus구에서 44종으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모든 시험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된 성분은 ethan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methyl pentanol, 1,3-butanedi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 ethanol의 알코올 7종과 ethyl lactate, di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의 에스테르 3종, acetic acid, isopentanoic acid, hexanoic acid의 유기산 3종, acetaldehyde의 알데하이드 1종, 1,3-cyclohexane diamine의 아민 1종 등 총 15종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알코올(96.758-99.387%), 에스테르(0.081-0.968%), 유기산(0.040-0.640%), 알데하이드(0.266-0.959%), 아민(0.011-0.047%)으로 나타났다. Methylpentan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ethanol, isoamyl acetate, diethyl succinate, ethyl nonanoate, methyl hexadecanoate, ethyl stearate, hexadecanoic acid 성분은 특별히 S. coreanus구에서 타시험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1-propanol, isobutyl alcohol 성분은 S. ellipsoideus구에서 isoamyl alcohol, 1-pentanol, dimethyl ketol 성분은 S. carlsbergensis구에서 1,3-butanediol, diethyl butanoate, phenylethyl formate 성분은 S. rouxii 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외관, 향,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탁주 술덧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S. coreanus구가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에서 S. rouxii는 외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