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C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인식의 오차 보정 (Error Correction of Real-time Situation Recognition using Smart Device)

  • 김태호;서동혁;윤신숙;류근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79-17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의 상황인식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센서부의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오차 보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통한 상황인식에서 기기의 특성상 필수적인 상황 정보 센싱을 함에 있어서 오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이는 예측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칼만필터의 오류보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스마트기기의 3축 가속도 센서에서 입수되는 신호 값을 보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시계열 데이터를 이루는 3축 가속도 센서가 감지하여 보고하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칼만필터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차후 개발되어질 실시간 상황인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서비스 우선순위를 이용한 스마트 관제 서비스의 개선 (Improvement of Smart Surveillance Service using Service Priority)

  • 성동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003-1010
    • /
    • 2018
  • 신청자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 신고 또는 안심 귀가 서비스를 요청하면, 스마트 관제 서비스는 신청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신청자 주위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들을 선택하고 신청자를 자동으로 추적하고 촬영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신청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주변의 CCTV 카메라가 신청자를 계속 촬영하고 모니터 요원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스마트 관제 서비스는 신청자의 응급 상황 또는 안심 귀가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기존의 스마트 관제 서비스는 응급 상황 신고 서비스와 안심 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아 안심 귀가 서비스에 의하여 카메라들이 선점되고 있는 경우에 응급 상황 신고 서비스의 신청자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스마트 관제 서비스는 서비스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이를 개선하였다.

저전력 블루투스 환경에서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데이터전송 방법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Broadcasting in Bluetooth Low Energy Environment)

  • 장래영;이재웅;정성재;소우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63-969
    • /
    • 2018
  •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무선통신기술로는 Wi-Fi와 블루투스를 들 수 있다. 대중화된 Wi-Fi에 비해 블루투스 기술은 Master/Slave 관계의 1:1 연결과 상대적으로 느린 전송속도, 제한된 연결범위 등으로 주로 음성기기 연결에 사용되고 있다. 블루투스는 2010년에 발표된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이후 기존 블루투스 기술의 단점으로 지적된 몇 가지 아쉬운 기능을 개선하였으나 Wi-Fi를 대체할 수 있는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 못했다. 본 논문은 BLE에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을 활용하여 일 대 일 연결 없이 데이터전송을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일 대 다 데이터전송 결과를 보였다. 본 고에서 제안하는 비(非)연결 데이터전송 방법은 일 대 다 데이터전달 및 재난네트워크 등 특수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CI툴을 이용한 해양소프트웨어품질 맞춤형 프로세스 사례 (Case study of customizing a Continous Integration Tool for Maritime Software)

  • 임상우;김길용;이서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893-900
    • /
    • 2015
  • 국제해사기구에서는 e-Navigation의 개발과정에 소프트웨어 품질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해양소프트웨어품질보증을 진행해오고 있다. 소프트웨어 품질 확보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정해진 절차를 따르고, 각 절차를 수행한 결과로 산출물의 작성이 필요하다. 이를 지원하는 도구의 활용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과 문서의 자동화가 가능한 도구를 활용하여 해양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사례를 소개한다. 도구 활용에 대한 기대효과 및 해양 SQA에 적용하기 위한 절차의 개선에 대해서 논의한다. 개선된 절차를 도구에 반영하여 해양 SQA에 맞춤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향후 목표로 한다.

영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저작권 교육 연수 요구조사 (A Study on demands of education training about copyright for infa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오은순;이소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49-35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저작권 교육 연수 요구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원장과 교사 248명을 대상으로 영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저작권 교육 연수 요구를 조사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자료는 내용에 따라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고, 기초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과 ANOVA 검증을 사용하였다. 영유아교육기관 원장과 교사는 소속기관, 직위, 교육경력 등에 따라서 저작권 교육 연수 요구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작권 교육 연수 주제로는 '영유아교육기관의 업무와 관련된 저작권의 이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수 내용으로는 글자체(폰트)와 음원 사용 등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영유아교육현장과 직접 관련있는 내용의 저작권 교육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저작권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컬러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Image De-nosing Techniques based on Color Model Transformation)

  • 김태호;김학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41-1648
    • /
    • 2017
  •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컬러 이미지에서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다양한 필터들의 성능 분석 비교이다. 기존의 노이즈 제거 필터들에 대한 분석에서 한 발 더 나아가 RGB에서 HSV나 $YC_BC_R$로 컬러 모델변환을 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논문에서 사용된 예인 Median, Wiener, Mean 등의 노이즈 제거필터들의 성능 개선에 도움을 주기위해 고안했으며 현재까지는 컬러 이미지를 위한 필터들의 성능분석이나 컬러모델 변환을 이용한 개선 방법들이 제안된 바가 없다. 이에 영감을 받아서, 고안된 새로운 방법을 테스트 하였다. 실행해 본 결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필터들 중에서 몇몇 필터들의 성능을 향상시켜서 컬러 이미지에서의 노이즈 제거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피두개직류자극 적용 시 비활성 전극의 위치가 뇌졸중 환자의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ying tDCS by Inactive Electrode Placement to Cognitive Response on Stroke Patients)

  • 황기경;이정우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8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gnitive reaction following inactive electrode placement when applying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primary motor cortex. Methods : For this study a total of 28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Before apply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gnitive reaction was measured (P300 of event related potential, cognitive reaction time), an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scalp with an intensity of $0.04mA/cm^2$ for 15 minutes. All subjects were given an anod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primary motor area and inactive electrodes over the deltoid muscle (group I) and supra-orbital area (group II). Cognitive reactions were measured after apply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Results : For this study a total of 28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Before apply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gnitive reaction was measured (P300 of event related potential, cognitive reaction time), an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scalp with an intensity of $0.04mA/cm^2$ for 15 minutes. All subjects were given an anod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primary motor area and inactive electrodes over the deltoid muscle (group I) and supra-orbital area (group II). Cognitive reactions were measured after apply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nclusion : Thu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the primary motor area may help cognitive reaction regardless of inactive electrode placement.

로토스코핑 기법을 통한 가상현실 영화의 미학적 활용 연구 (Study on Esthetical Experiment of Virtual Reality Cinema with Rotoscoping Technique)

  • 강지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5-282
    • /
    • 2017
  •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영화콘텐츠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웹과 모바일 등의 플랫폼들이 개발되면서 이에 맞는 영화콘텐츠들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가상현실 기술과 디바이스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 영화콘텐츠 분야의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의 가상현실영화 제작을 위하여 로토스코핑 기법 활용한 영화의 미학적 활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기존의 가상현실 영화 중 그래픽 정보를 활용하여 미학적 표현을 한 사례인 'Notes on Blindness'와 'Pearl' 사례에서 어떻게 가상현실 공간을 미학적으로 표현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래픽화된 공간이 가상현실의 관객에게 새로운 미학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사기반 영상에 로토스코핑 기법을 활용한 '웨이킹 라이프' 와 '스캐너 다클리' 사례를 통해 로토스코핑 기법의 판타지적 활용과 성공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사기반의 가상현실 영화에서 관객의 몰입과 욕망의 충족을 위해 '그네 타는 소녀' 작품에 로토스코핑 기법을 적용하여 미학적으로 활용하였다.

경두개직류전류자극 및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치매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Does the Applic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sual Perception Program Enhance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of Dementia Patients)

  • 김고운;김보라;안태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3-221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after simultaneously apply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nd transcranial DC stimulation. Particularly,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what changes in abilities among daily life activities influenced cognition. Methods : This study selected 50 dementia patients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applied transcranial DC stimulation and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to a treatment group (n=25) and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to a control group (n=25).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five times per week and 30 minutes per session (total of 30 intervention sessions). This study measured visual perception functions and daily life activities using MVPT and FIM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intervention. Results : The visual perception, mobility of daily life activities, cognition, and total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n=25), which received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nd transcranial DC at the same time, were significantly (p<.05)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Moreover, when the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of the treatment group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after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they were significantly (p<.05)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nd transcranial DC stimulation was an effective means to enhance the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of dementia patients. The results implied that transcranial DC stimula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s well as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s and daily life activities dementia patients and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he two interventions would increase the effect even further.

Deinococcus radiodurans R1 Lysate Induces Tolerogenic Matura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Dendritic Cells and Protects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 Mice

  • Song, Ha-Yeon;Han, Jeong Moo;Kim, Woo Sik;Lee, Ji Hee;Park, Woo Yong;Byun, Eui-Baek;Byun, Eui-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7호
    • /
    • pp.835-843
    • /
    • 2022
  • Deinococcus radiodurans is an extremophilic bacterium that can thrive in harsh environments. This property can be attributed to its unique metabolites that possess strong antioxidants and other pharmacological properties. To determine the potential of D. radiodurans R1 lysate (DeinoLys) as a pharmacological candidate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einoLys in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s) and a colitis mice model.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BMDCs treated with DeinoLys exhibited alterations in their phenotypic and functional properties by changing into tolerogenic DCs, including strongly inhibite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and IL-12p70) and surface molecule expression and activated DC-induced T cell proliferation/activation with high IL-10 production. These phenotypic and functional changes in BMDCs induced by DeinoLys in the presence of LPS were abrogated by IL-10 neutralization. Furthermore, oral administration of DeinoLys significantly reduced clinical symptoms against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cluding body weight loss, disease activity index, histological severity in colon tissue, and lower myeloperoxidase level in mice. Our results establish DeinoLys as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candidate for IBD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