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t CLA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4초

Characterization of Trueperella pyogenes isolated from caseous lymphadenitis lesions in Korean native goats

  • Aftabuzzaman, Md.;Espiritu, Hector;Kim, Seon-Ho;Mamuad, Lovelia;Jin, Su-Jeong;Lee, Sang-Suk;Cho, Yong-Il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21-326
    • /
    • 2021
  • The study characterized Trueperella pyogenes (T. pyogenes) from caseous lymphadenitis (CLA) in Korean native goats (KNG). CLA samples (n=191) were obtained from abattoir-slaughtered KNG. Pus were obtained and Corynebacterium pseudotuberculosis was detected by PCR using PLD gene. Three PLD-negative samples (1.57%) from supramammary lymph node were subjected to bacterial cultur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16S rRNA and biochemically characterized by APIZYM. Phylogenetic and biochemical analyses identified the isolates as T. pyogenes, and have shown separate clusters and varied enzyme reaction, suggesting genotypic and phenotypic diversity. This first report of T. pyogenes-induced CLA in KNG provided informa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s.

CLA 첨가사료가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성장과 지방산 조성 및 내장 추출지방이 지방세포 3T3-L1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Carotenoids on Growth, Fatty Acid Composition, and 3T3-L1 Cells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곽뢰;쥴리야티 로마;최광수;박시향;하영래;강석중;최병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8-556
    • /
    • 2015
  • 공액리놀레산(CLA)과 카로테노이드 일정량을 함유하는 두 가지 사료구와 대조구를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에 급여하였다. 대조구에는 CLA와 카로테노이드가 포함되지 않았고, CP10구에는 CLA 1%와 카로테노이드 0.1%가 포함되었고, CP25구에는 CLA 2.5%와 카로테노이드 0.1%가 포함되었다. 대조구, CP10 및 CP25구의 일일성장률(SGR)은 0.74, 0.81, 0.97이었고, 사료요구율은 2.65, 2.46 및 2.04이었다. 사육 후 근육 내에 축적된 CLA 함량은 CP10 및 CP25구에서 각각 2.8% 및 5.6%였으며, 내장에 축적된 CLA 함량은 4.0% 및 8.3%였다. 한편, CP25구의 에서 추출된 지용성 물질(VLE)을 첨가한 3T3-L1 지방세포 생존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처리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P25구의 VLE 추출물 농도를 1, 10, 50 및 $100{\mu}g/ml$으로 처리하였을때 각각 $85.9{\pm}0.8%$, $74.8{\pm}0.9%$, $75.5{\pm}0.6%$$72.1{\pm}0.7%$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사료로 감성돔을 사육하는 경우 CP10 및 CP25구의 내장에서 추출한 지질함량 중 CLA함량은 각각 4.0% 및 8.5%, 카로테노이드는 각각 0.62 mg/g 및 0.56 mg/g, EPA 및 DHA는 각각 11.7%와 10.8% 및 11.8%와 12.7%로 증가하였고, 총 PUFA 함량도 각각 48.4% 및 50.5%로 증가하여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어 기능성 어류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in diacylglycerol-rich oil on the lipid metabolism of C57BL/6J mice fed a high-fat high-cholesterol diet

  • Lee, Jeung Hee;Cho, Kyung-Hyun;Lee, Ki-Teak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1호
    • /
    • pp.47-58
    • /
    • 2014
  • The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esterified in diacylglycerol (DAG)-rich oil on lipid metabolism was investigated. Since dietary DAG has been known to induce the regression of atherosclerosis, CLA-DAG and olive-DAG oils containing similar levels of DAG (51.4~54.2%) were synthesized from olive oil. Hyperlipidemic C57BL/6J mice were then fed high-fat high-cholesterol diets supplemented with these oils (5% each) for 7 wk. The CLA-DAG diet containing 2.1% CLA isomers (0.78% c9,t11-CLA; 1.18% t10,c12-CLA) remarkably increased the levels of total plasma cholesterol and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long with hepatic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TAG) contents. Furthermore, the CLA-DAG diet inhibited fat uptake into adipose tissue whereas fat deposition (especially in the liver) was increased,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fatty livers. Hepatic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CLA-DAG mice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live-DAG mice, showing higher ratios of C16:1/C16:0 and C18:1/C18:0 in the liver. The activity of hepatic 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was higher in CLA-DAG mice while plasma lecithin:cholesterol acyltransferase (LCAT) activity and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were lower in CLA-DAG mice compared to the olive-DAG animal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LA incorporation into DAG oil could induce atherosclerosis in mic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 Review

  • Khanal, R.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315-1328
    • /
    • 2004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 a mixture of 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 of octadecadienoic acid with two conjugated double bonds. Of more than a dozen isomers of CLA found naturally in dairy and meat products from ruminants, c-9, t-11 and t-10, c-12 are the two isomers with known physiological importance, including anticarcinogenic, antidiabetic, antilipogenic, and antiatherosclerotic effects. Positive effects of CLA on immune function and bone modeling have also been reported. In spite of the compelling findings in tissue cultures and experimental animal models, its effect, dose, and mechanism of action vis-à-vis specific isomers remains speculative. Results obtained from animal models are inconclusive and conflicting at times in humans, where the research data is limited. It appears that there is a long way to go before CLA could be accepted unequivocally as having definite effects in any or all of these physiological states and how such effects actually occur in humans.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available literature on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CLA observed in cell culture, animal models, and human subjects, wherever possible and to a certain extent the mechanism of action associated with these biological activities.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돈육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한 동충하초, 누에고치 및 Conjugated Linoleic Acid의 첨가 효과 (Effect of Cordyceps ochraceostromat, Silkworm Cocoon,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Pork Sausage Manufactured by MDCM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Recovered Protein)

  • 진상근;김일석;강석남;허인철;최승연;강상하;양한술;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3-251
    • /
    • 2010
  •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돈육 소시지의 저장 중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햄부위 육만을 사용한 대조구와 대비 40%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T1, 40% 기계발골육에 0.1%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T2, 0.1% CLAT3 및 0.1% 누에고치 분말을 첨가한 T4로 나눠 실험에 공시하였다. 저장 0일차와 4주차에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T1에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이 나타났으며, T2, T3 및 T4에서 T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 함량의 경우, 저장 초기에는 대조구에서 낮은 값을, T2, T3 및 T4에서 높은 지방 함량을 보였으며, 저장 후기 즉, 4주차에는 40%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대체한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명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나며, 적색도 또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전 저장기간에 걸쳐 높게 나타났다(p<0.05). 보수력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보다는 처리구들간의 비교 시 0일차와 2주차에서 대조구에 비해 T1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2주차의 T1에 비해 T2에서 높은 값을 보이며(p<0.05),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T3 및 T4 또한 높게 나타나 40%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돈육 소시지의 낮은 보수력을 동충하초, CLA 및 누에고치 분말 첨가를 통해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도는 대조구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성, 검성 및 씹힘성 또한 경도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TBARS 측정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2주째까지는 감소하다가 4주째에 모든 처리구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대조구에 비해 40% 회수단백질 첨가시 높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기능성 물질 첨가가 TBARS 값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VBN 값은 저장기간이 길어 질수록 증가하며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미생물 수 측정 결과, 저장기간 별 비교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총균수가 증가하였다(p<0.05). 또한 저장 2주째까지는 대조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4주째에는 T2와 T3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40% 회수단백질의 활용은 돈육 제품의 명도 값을 낮추는 등 밝은 육색을 나타내며, 경도 등 조직 특성을 변화시켜 연한 조직감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동충하초, CLA 및 누에고치 분말의 첨가는 VBN 값을 낮추었다. 그러나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동충하초, CLA 및 누에고치 등의 첨가를 통해 제품의 총균수 값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 40% 회수단백질의 높은 TBARS 값은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돈육 제품의 품질 특성에 부합하는 적절한 회수단백질 첨가수준이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충하초 분말, 누에고치 분말 또는 Conjugated Linoleic Acid의 첨가가 산란 노계 회수단백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Cremi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dyceps ochraceostromat, Silkworm Cocoon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Addition on the Quality of Cremi Manufactured using Spent Layer Recovered Protein)

  • 진상근;허인철;신대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7-204
    • /
    • 2011
  •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인 누에고치 분말, 동충하초 분말과 CLA의 단독 혹은 혼합 첨가가 산란 노계 가슴살에서 회수한 단백질을 이용하여 명태 연육을 20% 대체한 크래미의 저장 중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pH 및 백색도를 나타내는 W는 누에고치 및 동충하초 분말을 함께 첨가한 T2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전단력은 T2가 가장 낮았다(p<0.05). 명도를 나타내는 $L^*$과 탄력성에서는 누에고치 분말을 첨가한 T1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 황색도를 나타내는 $b^*$ 및 파괴 강도에서는 T1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표면경도와 부착성에서는 동충하초 분말과 CLA를 함께 첨가한 T3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파괴 강도 및 겔 강도에서는 T2와 T3가 높았다(p<0.05). 따라서 본 실험은 산란 노계 가슴살 회수단백질을 이용하여 명태 연육을 대체하며 제조한 크래미에 누에고치 분말과 동충하초 분말을 함께 첨가하며 생산한다면 크래미의 품질 특성 평가에 있어 중요한 항목으로 구분되는 백색도와 겔 강도를 향상시키고, 전단력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조직과 높은 연도를 가진 제품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누에고치와 동충하초가 가진 항암과 항산화 효과 및 뇌 기능의 활성화 등 다양한 생리 활성 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크래미를 제조 판매 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 첨가가 거세한우의 도체특성과 CLA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Rice Bran and Roasted Soybean in the Diet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CLA in Hanwoo Steers)

  • 김성일;이광호;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435-442
    • /
    • 2013
  • 본 연구는 비육후기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가 거세한 우의 도체특성과 CLA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평균 20.92 개월령 (평균체중 599.89 kg)의 거세한우 36두를 대조구, 미강 첨가구 및 볶은대두 첨가구로 나누고 각각의 처리구는 12두씩 체중과 월령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 수준은 시험사료 내 조지방 함량을 5%로 설정하고, 조지방 부족분을 각각의 첨가원료 (미강과 볶은 대두)로부터 보충 되도록 설계하여 314일 동안 비육시험을 실시하였다. 종료 시 체중은 대조구, 미강 첨가구 및 볶은대두 첨가구가 각각 754.58, 783.33 및 755.67 kg으로 나타났다. 일당증체량은 미강 첨가구 (0.57 kg), 볶은대두 첨가구 (0.50 kg) 및 대조구 (0.50 kg) 순으로 나타났으나,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요구율의 경우 미강 첨가구가 대조구와 볶은대두 첨가구에 비하여 각각 14.5%와 12.8%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의 육량형질과 육질형질은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육질등급 $1^{{+}{+}}$ 등급 출현율은 볶은대두 첨가구 (50.0%)가 대조구 (33.33%)와 미강 첨가구 (25.0%)에 비하여 높은 출현율을 보였으며, $1^+$ 이상 등급 출현율에서도 볶은대두 첨가구 (75.0%)가 미강 첨가구 (66.67%)와 대조구 (41.66%)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 부위별 c9, t11 CLA는 신장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 (0.21%)가 미강 첨가구 (0.15%)와 대조구 (0.16%)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등심지방의 경우에도 볶은대두 첨가구 (0.21%)가 대조구 (0.16%)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 부위별 t10, c12 CLA 함량은 등심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TVA 함량은 신장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 (2.56%)가 대조구 (2.27%)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피하 및 등심지방의 TVA 함량은 볶은대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15.09와 6.92% 증가되었지만,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거세한우의 비육후기에 미강의 첨가는 사료요구율이 개선되었고, 볶은대두의 첨가는 도체등심 내 CLA 함량이 증가되었다.

Effects of Protected Conjugate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on Milk Fatty Acid in Dairy Cows

  • Piamphon, N.;Wachirapakorn, Chalong;Wanapat, M.;Navanukraw,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49-56
    • /
    • 2009
  • The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protecte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LA-20 comprising 10% each of cis-9, trans-11 and trans-10, cis-12, on milk production and fatty acid profiles in plasma and milk in lactating dairy cows. Five mid-lactation, multiparous crossbred Holstein Friesian cows with average 402${\pm}$20 kg BW were used in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for 21-d periods. Cows were given a total mixed ration (TMR) and supplemented with CLA-20 at 0, 20, 40, 80 and 160 g/d. The results showed that dry matter intake depression occurred in cows supplemented with CLA-20 at 160 g/d. Milk production slightly increased when CLA-20 supplementation was at 20, 40 and 80 g/d. However, 3.5% fat-corrected milk (FCM) was not affected by CLA-20 supplementation. Increased levels of CLA-20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ly decreased percentage of milk fat. Plasma concentrations of fatty acid were not altered by the amounts of CLA-20 supplementation except for the concentration of trans-10, cis-12 CLA. For all dietary treatments, percentages of fatty acids (C4:0, C6:0, C8:0, C13:0, C14:0 C14:1 C15:0 C15:1 C16:0, C16:1, C18:1n9t, C18:2n6t, C18:2n6c, C20:0, C18:3n6, C18:3n3, C20:1 and C20:3n6) in milk fat were similar. Concentrations of C10:0, C11:0, C12:0 and C18:1n9c were decreased cubically and C18:0 was elevated linearly (p<0.01) according to the increased amounts of CLA-20 supplemented. The linear increase was observed for cis-9, trans-11 CLA (0.62, 1.17, 1.94, 1.87 and 1.82% of total fatty acid), trans-10, cis-12 CLA (0.01, 0.63, 0.67, 0.93 and 0.95% of total fatty acid) and total CLA (0.80, 2.25, 3.16, 3.97 and 3.94% of total fatty acid) in milk fat from 0 to 160 g/d of CLA-20 supplement. In conclusion, concentration of cis-9, trans-11 CLA in milk fat was concomitantly elevated at an increasing rate with the increased amounts of CLA-20.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supplementation of CLA-20 at 80 g/d optimally enhanced total CLA in milk fat.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급여가 돈육의 조직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 이정일;최진성;박준철;문홍길;김영화;박종대;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9-357
    • /
    • 2001
  • 실험동물에서 항암성, 항산화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 후기사료에 2주간 급여하여 비육돈 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출하체중이 105~110kg으로 되도록 비육말기 사료를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 2주전부터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한 사료의 지질원에 대하여 CLA를 4% 첨가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 2주전부터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한 사료의 지질원에 대하여 CLA를 4% 첨가하였으며, 처리구 2는 8%, 처리구 3은 12% 첨가하여 급여한 후 일괄적으로 도살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대조구와 CLA 급여구간의 품질평가를 하기 위해 돈육의 육색,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돈육의 등심과 삼겹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3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육색(L*, a*, b*),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분석 결과 대조구와 CLA 급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대조구와 CLA 급여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는 CLA를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생산된 돈육이 소비자 구매 지표인 육색과 조직감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관능적 특성 변화에 CLA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육색의 변화와 조직감 변화 결과가 뒷받침해 주며, CLA 급여로 인한 이취나, 불쾌취가 발생되지 않아 상품적 가치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