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esthesia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19초

현대건축공간에 나타나는 신체지각의 구축 층위 연구 - HdM, Sejima, R. Koolhaas의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ve Layers of Body Percep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Space - Focused on the HdM, Sejima, R. Koolhaas's Works -)

  • 오상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12-21
    • /
    • 2017
  • This study is on the constructive ways of body perception applied to architecture space. This research also has a purpose of extending the range of possibility of body perception's application. Research on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pplied to architecture space was mainly focused on sensation, which made limited awareness on the range of body perception. The scope of body perception includes not only sensation, but also perception, cognition, and human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explicate how operant features of body perception works together. Operant features of body perception are perception as cognition, synesthesia, and Interaction with others. Herzog & de Meuron, Sejima, and R. Koolhaas's works are reviewed to verify these features of body perception.

색채의 공감각 현상에 의한 의미 전달 (Transmission of Meaning Using Synaestesia of Color)

  • 신성윤;표성배;신광성;이현창;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277-278
    • /
    • 2011
  • 공감각(共感覺, synesthesia)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syn + anesthesis 로서 union + no sensation 즉, 결합된 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감각이 다른 영역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또는 그렇게 일으켜진 감각이라고 정의 한다. 즉 색채의 공감각은 색채와 다름 감각간의 교류 현상이고, 영국의 유전학자인 프란시스 칼톤은 색채의 공감각은 유전이나 선천성에 의해 생겨난다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오감에 관련된 색채 공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였고, 또한 오감에 따른 따른 색채를 제시하였다.

  • PDF

공감각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조 기술 (Assistive Technology of Bling People Using Synesthesia)

  • 신광성;이현창;이양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5-148
    • /
    • 2011
  • 본 논문은 사용자에게 유연하고 추상적인 데이터를 전달하여 사용자 스스로가 물체를 인지하고 '느낄' 수 있도록 공감각 현상에 대한 연구결과를 응용하다. 또한, 오픈소스(ReacTable)를 사용하여 일종의 TAG 역할을 하는 특징적 그림을 명세코드화한 후 이를 실제 숫자나 문자 혹은 객체 인식에 응용하여 시각적인 정보 없이 객체를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덧붙여 이동성과 휴대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저렴하고 이용가능성이 많은 ZigBee 무선 영상통신 기술을 통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영상을 실내의 서버나 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PDF

건축디자인에서의 다감각적 감성의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ltisensory emotional tendency in Architectural design)

  • 반상철;진보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83-5694
    • /
    • 2015
  • 건축을 비롯한 디자인 분야에서 인간중심의 디자인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부응하는 경향이 조성되고 있으며, 건축분야에서 인간의 감각과 감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동안의 건축디자인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한 연구와 디자인 성과의 대부분이 시각 중심으로 편중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측면에서 인간이 대상을 인지하는 데는 여러 가지의 감각을 동원하게 되고 이의 통합결과로 인지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하였고, 특히 문화적 배경과 인간중심의 경향을 보이는 다감각을 고려하고 적용한 미래지향적인 감성디자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 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디자인이 감성디자인이며 이의 인식과 적용이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건축 디자인에서도 인간 중심적인 경험과 감각, 감성의 감흥을 바탕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다감각적 면에서 인간중심의 감성디자인이란 시각에 편중되지 않고 촉각, 청각을 비롯한 여러 감성요소들이 통합된 관점에서 공감적 대상으로서 건축 디자인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인간의 공감각에 기반을 둔 색청변환을 이용한 영상 인식 (Image Recognition Using Colored-hear Transformation Based On Human Synesthesia)

  • 신성윤;문형윤;표성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35-14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공유 비전과 특수한 청각에 의해 감지되는 인간의 공감각 특징을 구별하는 색청 인식을 제안한다. 카메라를 통한 시각적인 분석이 인간의 구조화된 사물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시각장애인들이 실제 사물과 유사한 비전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왔다. 우선 특정 장면을 대표하는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의 경계가 추출된다. 다음으로, 이미지에서 객체의 위치, 색상 평균 감성, 각 객체의 거리 정보, 그리고 객체 영역의 범위와 같은 4가지 특징을 추출하고, 이들 특징들을 청각적 요소로 사상한다. 청각적 요소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각 인식 형태로 제공된다. 제안된 색청 변환 시스템은 보다 빠르고 세부적인 인지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감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개념을 시각장애인의 영상 인식에 적용할 경우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오디오비주얼아트전 분석 - 백남준의 예술 작품의 관점에서 (An Analysis of Audiovisual Art Exhibition "lux et sonitus" - in the Context of Nam June Paik's Artworks)

  • 여운승;윤지원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7-122
    • /
    • 2020
  • 는 음악과 영상의 결합을 주제로 하는 오디오비주얼아트 전시 시리즈이다. 2013년 첫 전시를 시작으로 총 5회에 걸쳐 개최되었으며, 오디오비주얼아트의 분야의 핵심 이슈인 공감각에 대한 탐구의 노력으로 '음악의 전시'라는 주제 아래 시각과 청각의 미디어를 융합한 작품을 선보여 왔다. 이러한 성과는 현대예술의 주요 주제인 복합감각 및 공감각의 개념을 선도적으로 제시한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기존 공감각의 영역과 차원을 확장하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 전체의 상세한 내용을 작품목록 및 사진과 함께 정리하여 상세히 소개하고, 작품 창작의 영감을 제공한 백남준의 오디오비주얼아트 작품 세계에서 발견되는 음악, 공감각, 공간의 맥락에서 해당 전시의 이론적 바탕과 창조적 영감을 고찰한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백남준의 작품 세계에서 확장되는 오디오비주얼아트 작품 제작과 분석의 비전 확립에 기여하고, 이를 향후 새로운 작품 창작의 디딤돌로 삼고자 한다.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를 위한 공감각적 음성 훈련 연구 - 유사언어를 활용하여 - (Audiobook Text Shaping for Synesthesia Voice Training - Focusing on Paralanguages -)

  • 조예신;최재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67-180
    • /
    • 2019
  • 본 연구는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를 위해 유사언어를 활용하여 공감각적 음성 훈련 성과를 알아보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훈련을 위한 오디오북 텍스트는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작품을 이용하였고 음색, 톤, 포즈, 속도, 억양, 강세, 감정표현의 유사언어를 활용하였으며, H 도서관 시각장애인 교육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디오 북 텍스트 형상화를 위한 음성훈련에서 오감의 두 개 감각 이상이 동시에 작용하는 공감각적 음성 훈련은 화자에게 텍스트가 갖고 있는 본래의 목적과 의미, 배경 등의 시각화를 형상화하면서 결과물을 창출하였다. 둘째, 유사언어의 활용은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를 위한 문장과 대사의 의미 전달을 표현하는 전 과정에서 도움이 되었다. 또한 연구대상자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었지만 톤, 포즈, 억양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시각장애인은 감각적인 면과 기억력이 발달되어 있어 훈련과정에서 대사 습득과 전달 수용정도가 빨랐다. 또한 훈련과정에서 교사의 우호적 행동이 매우 중요한 핵심적 매개 작용을 하면서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많은 발전을 하여 훌륭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의 오디오 비주얼아트적 고찰 (A Study on in the Context of Audiovisual Art)

  • 윤지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615-624
    • /
    • 2020
  • By enabling musicians to freely control the elements involved in sound production and tone generation with a variety of timbre, synthesizers have revolutionized and permanently changed music since the 1960s. Paik-Abe Video Synthesizer, a masterpiece of video art maestro Nam June Paik, is a prominent example of re-interpretation of this new musical instrument in the realm of video and audio. This article examines Paik-Abe Video Synthesizer as an innovative instrument to play videos from the perspective of audiovisual art, and establishes its aesthetic value and significance through both artistic and technical analysis. The instrument, which embodied the concept of image sampling and real-time interactive video as an image-based multi-channel music production tool,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image within the realm of audiovisual art. The fact that his video synthesizer not only adds image to sound, but also presents a complete fusion of image and sound as an image instrument with musical characteristics, becomes highly meaningful in this age of synesthesia.

의도적인 공감각 기반 영상-음악 변환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Converting Image into Music Signals based on Intentional Synesthesia)

  • 배명진;김성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54-259
    • /
    • 2020
  • 본 논문은 사전에 학습된 기억으로 공감각 현상을 지각할 수 있는 의도적인 공감각으로 영상에서 음악으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영상에서 변환정보로 색상(Color), 질감(Texture), 모양(Shape)을 사용하여 음악의 멜로디(Melody), 하모니(Harmony), 리듬(Rhythm) 정보로 변환하였다. 정적인 영상에서 단조로운 음이 반복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영상에 있는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색상의 분포도에 따라 확률적으로 멜로디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음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고, 영상에서 질감은 통계적 질감 특징 추출방식인 GLCM(Gray-Level Co-occurrence Matrix)의 7가지 특징으로 하모니의 장조와 단조를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모양은 영상의 외곽선을 추출한 후 주파수 성분 분석인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이용해 선 성분을 검출하여 각도의 분포에 따라 리듬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음악을 생성하였다.

미술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요소 및 감성디자인에 관한 연구: 애플리케이션 아트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action Elements and Emotional Design of Art Museum Applications: Focusing on Application Art Keys)

  • 후천위안;안병진;이병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727-73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visual arts in interactive technology in art museum applications and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ve technology and the five sen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respondents who had used art museum ap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valuate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rt museum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y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gender, marital status, age, and social income.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five senses and synesthesia on interaction design among emotional design elements. They reveal that visual, auditory, tactile components, and synesthesia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ractive design. This study reveals that emotional design elements of art museum applications affect interaction design. Also, it suggests that research on interaction design reflecting five senses is continuously needed to improve audience satisfaction and revitalize art museum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