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pension Polymeriz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Sorbitol이 결합된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s of Polyacrylic Superabsorbent Polymer Containing Sorbitol)

  • 김공수;신재섭;문용운;이광용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36-144
    • /
    • 1996
  • 역상현탁 중합방법으로 sodium acrylate 및 아크릴산을 모노머로 사용하고 분산제로는 sucrose fatty acid ester(S-570), 증점제로는 Xanthan-gum, 가교제로는 EDGMA 및 GPGE, 개시제로는 $K_2S_2O_8$, 및 용매로는 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sorbitol의 함유량을 10~50%로 변화시키면서 sorbitol이 결합하고 있는 고흡수성 수지(SAP)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고흡수성 수지를 모노머량의 0.05~0.40mol%로 표면가교 시켰고, 입자형태는 구형이었으며 입자크기 분포는 $177{\sim}707{\mu}m$ 이었다.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은 물에 대하여는 785~1086배 이었고, 0.9% NaCl 용액에 대해서는 50~83배 이었다. Sorbitol의 함유랑이 증가할 수록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과 보수량은 감소하였으며, +5 cal/g SAP의 흡열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폴리우레탄 비드/실리카 복합체의 합성 및 그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urethane bead/silica Hybrid Composites)

  • 양승남;임기홍;김남기
    • 공업화학
    • /
    • 제18권4호
    • /
    • pp.386-39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분자량이 각각 530, 830, 1000, 1250 그리고 2000인 폴리카프로락톤디올(PCD) 및 분자량이 300과 900인 폴리카프로락톤트리올(PCT)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중합하였다. 이 프리폴리머들을 2단계 현탁 중합반응을 통하여 폴리우레탄 비드들을 제조하였다. 비드들의 입도는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비드들의 입자직경은 $10{\sim}30{\mu}m$이었다. 중합된 폴리우레탄 비드들의 구조는 FT-IR 스펙트럼 분석으로 확인하였고, TGA를 이용하여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T_g$$-23{\sim}-53^{\circ}C$ 범위이고, PCD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폴리우레탄 비드의 $T_g$는 다소 감소하였다. 폴리우레탄의 비드의 응집방지를 위해 테트라에톡시실란(TEOS)로 코팅하여 폴리우레탄 비드/실리카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카본블랙의 농도 및 단량체 구성비에 따른 스티렌-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의 유동성 (Effect of Carbon Black Concentration and Monomer Compositional Ratio on the Flow Behavior of Copoly(styrene/butyl methacrylate) Particles)

  • 박문수;문지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2호
    • /
    • pp.122-128
    • /
    • 2010
  • 소수성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반응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스티렌(St)/부틸메타크릴레이트(BMA) 공중합체 (co-PSB) 입자의 전단점도를 모세관 레오미터 (capillary rheometer)를 이용하여 $170^{\circ}C$에서 측정하였다. co-PSB 입자의 전단점도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4,800 g/mol 이하인 경우 낮은 전단속도에서는 뉴톤거동을 보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이 136,800 g/mol을 초과하면서 전단점도는 전단속도의 전 영역에 걸쳐 감소하였고 전단속도에 대한 기울기의 절대값은 분자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St/BMA의 구성비가 7/3, 5/5 및 3/7의 co-PSB 입자는 유사한 분자량을 나타내었지만 BMA의 구성비가 증가하면서 유리전이온도와 전단점도는 감소하였다. St/BMA의 구성비가 1/9 인 co-PSB의 경우 유리전이온도는 더욱 감소하였으나 초기 전단점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co-PSB 복합체 입자의 전단점도는 카본블랙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카본블랙의 농도에 따른 전단점도의 변화는 분자량 및/혹은 구성비의 변화 효과에 비교하여 미약하였다.

Methacrylamidohistidine in Affinity Ligands for Immobilized Metal-ion Affinity Chromatography of Human Serum Albumin

  • Odaba, Mehmet;Garipacan, Bora;Dede, Semir;Denizli, Adil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6호
    • /
    • pp.402-409
    • /
    • 2001
  • Different bioligands carrying synthetic adsorbent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protein separation, We have developed a novel and new approach to obtain high protein ad-sorption capacity utilizing 2-methacrylamidohistidine(MAH) as a bioligand. MAH was synthe-sized by reacting methacrylocholride and histidine, Spherical beads with an average size of 150-200㎛ were obtained by the radical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MAH and 2-hydrosyethyl-methacrylate(HEMA) conducted in an aqueous dispersion medium. p(HEMA-co-MAH) beads had a specific surface area of 17.6㎡/g . Synthesized MAH monomer was characterized by NMR. p(HEMA-co-MAH) beads were characterized by swelling test, FTIR and elemental analysis. Then Cu(II) ions were incorporated onto the beads and Cu(II) loading was found to be 0.96 mmol/g.These affinity beads with a swelling ration of 65% and containing, 1.6 mmol MAH/g were used in the adsorption/desorption of human serum albumin(HSA) from both aqueous solutions and hu-man serum. The adsorption of HSA onto p(HEM-co-MAH) was low(8.8 mg/g). Cu(II) chelation onto the bead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SA adsorption (56.3 mg/g). The maximum HSA ad-sorption ws observed at pH 8.0 Higher HSA adsorption was observed from human plasma(94.6 mgHSA/g) Adsorption of other serum proteins were obtained as 3.7 mg/g for fibrinogen and 8.5mg/g for γ-globulin. The total protein adsorption was determined as 107.1mg/g. Desorption of HSA was obtained using 0.1 M Tris/HCl buffer containing 0.5 M NaSCN, High desorption rations(up to 98% of the adsorbed HSA) were observed. It was possible to reuse Cu(II) chelated-p(HEMA-co-MAH) beads without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adsorption capacities.

  • PDF

리포익산 나노 입자의 식욕 억제에 대한 고분자의 영향 (Polymer Effects on Appetite Suppression by Lipoic Acid Nanoparticles)

  • 최혜민;박철호;이기업;박중열;고은희;김현식;이종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6호
    • /
    • pp.349-354
    • /
    • 2007
  • For decades, the various virtues of ${\alpha}-lipoic$ acid (ALA), a natural material synthesized in most cell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and proved.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ALA caused significant bodyweight reduction via appetite suppression. Unfortunately, the efficacy requires an administration over 50 mg/kg. The low bioavailability and the short plasma half life of ALA lead us to explore novel pharmaceutical dosage forms using nanoparticl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olymeric stabilizers on the bioavailability improvement of ALA nanoparticles was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particle size via nano-comminution technology was successful resulting in volume average particle sizes of 320 - 340 nm. The in vitro release rate of ALA did not reflect the decrease of particle size, possibly because of the self polymerization of ALA during nano-comminution. The type of polymeric stabilizers could not affect the release rate either. However, the in vivo food intake results of ALA showed that nano-suspensions were more effective than microparticles or a salt form. The nano-suspension containing polyvinyl pyrrolidone as the primary stabilizer and polyacrylic acid as the secondary stabilizer showed more improved efficacy for 2 hours.

화학적 구성, 분자량, 카본블랙의 농도 및 온도에 따른 스티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입자의 유동성 (Effect of Chemical Composition, Molecular Weight, Carbon Black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Flow Behavior of Styrene/Butyl Methacrylate Homo- and Co-polymer Particles)

  • 박문수;문지연
    • 폴리머
    • /
    • 제35권1호
    • /
    • pp.23-29
    • /
    • 2011
  • 소수성 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법으로 $75^{\circ}C$에서 합성한 고분자입자들을 모세관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전단점도를 측정하였다. 전단점도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증가하면서 비뉴톤거동을 나타내였다. 스타렌(St)/부틸메타크릴레이트(BMA)의 구성비를 변화하며 합성한 공중합체 입자를 이용하여 $170^{\circ}C$$190^{\circ}C$에서 측정한 전단점도는 분자량, 온도 뿐만 아니라 구성비에 따라서도 변화하였다. St/BMA의 구성비가 7/3, 5/5 및 3/7의 공중합체 (co-PSB) 입자의 경우 유사한 분자량을 나타내었지만 BMA의 구성비가 증가하면서 전단점도는 소폭 감소하였다. BMA의 비가 3/7을 초과하며 높은 전단속도에서의 전단점도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BMA 구성비의 증가에 따른 PBMA 사슬의 길이의 증가로 인한 유동성 향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co-PSB 복합체 업자의 전단점도는 카본블랙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카본블랙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단점도의 증가는 분자량의 증가 효과에 비교하여 미약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및 폴리뷰틸메타크릴레이트 복합체 입자의 유동성 (Flow Behavior of Polystyrene and Poly(butyl methacrylate) Composite Particles Fill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Carbon Black)

  • 박문수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3호
    • /
    • pp.336-342
    • /
    • 2009
  • 1.0 wt% 소수성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에 의하여 $75^{\circ}C$에서 개시제의 농도를 변화하며 합성한 폴리스티렌 (PS) 및 폴리뷰틸메타크릴레이트 (PBMA) 입자의 점도를 모세관 레오미터 (capillary rh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이 66,500 g/mol인 PS 입자는 $190^{\circ}C$에서 측정한 경우 낮은 전단속도에서는 뉴톤 (Newtonian) 거동을 나타내었다. PS 입자의 경우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전단속도 전 영역에서 전단 묽어짐 (shear thinning) 거동을 보였다. PBMA 입자는 $170^{\circ}C$에서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56,700 g/mol 인 경우 낮은 전단속도에서만 뉴톤 거동을 나타내었다. 분자량의 증가에 따라 전단 묽어짐 거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변화의 형태는 PS 입자와 유사하였다. 카본블랙을 충전제로 합성한 고분자 복합체 입자의 전단점도는 PS 및 PBMA 둘 다 $170^{\circ}C$에서 측정하였다. PS 및 PBMA 복합체 입자의 점도변화는 카본블랙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충전제의 증가에 따른 점도의 증가는 분자량의 증가 효과에 비교하여 미약하였다. 내부혼합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PS 복합체의 점도변화는 현탁중합법으로 합성한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PS 복합체 입자의 점도변화에 비하여 작았으며 이는 향상된 분산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실험에서 선택한 분자량 및 카본블랙의 농도에서 yield 거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아민화된 다공성 및 비다공성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음이온교환체의 성질 (The Properties of Porous and Non Porous Aminated Polystyrene Divinylbenzene Anion Exchanger)

  • 김동원;오제직;민태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3-238
    • /
    • 1985
  • 비다공성 및 다공성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것을 클로로메틸화 한후, 메틸아민으로 아미노화하여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인, 50∼100mesh의 비다공성, N-APSTDVB와 다공성, P-APSTDVB를 만들었다. 합성한 이들 음이온교환수지를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이들 음이온교환수지의 최대 이온교환용량은 4.86meq/g이었다. 다공성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공중합체, P-APSTDVB의 세공용적은, 디비닐벤젠의 볼륨퍼센트를 30%로 하였을 때, X$_{diluent}$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또한 X$_{diluent}$의 양을 0.5로 일정하게 하였을때, P-APSTDVB공중합체의 세공용적은, 디비닐벤젠의 볼륨퍼센트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디비닐벤젠의 퍼센트를 8%로 일정하게 하고, X$_{heptane}$을 0.5로 하였을 때, 합성한 공중합체와 음이온교환수지의 세공용적은, P-PSTDVB >P-APSTDVB >N-PSTDVB순으로 감소하였다. 여러 농도하에서의, 여러종류의 알코올 수용액중에서의 N-APSTDVB음이온교환수지에 대한 붕산의 분포계수가, 또한 논의되었다.

  • PDF

金屬이온結合性 高分子킬레이트에 關한 硏究 (Studies on Polymer Chelates Binding with Metallic Ions)

  • 최규석;신세건;최길현;김문걸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0-66
    • /
    • 1977
  • m-Phenylenediamine(以下 MPD로 略함)과 resorcinol(以下 RES로 略함)을 몰比를 달리하면서 포름알데히드와 酸化觸媒 존재하에서 反應시켜 生成되는 附加共縮合型 樹脂를 流動파라핀을 사용하여 서스펜젼重合시켜 60∼80 mesh의 粒狀重合體를 合成하고 이를 精製한후 5, 10, 15, 20, $25{\%}$의 水酸化 나트륨 水溶液으로 처리한후, 原樹脂와 이들 알칼리 處理樹脂의 金屬이온들에 대한 吸着性을 檢討하였다. $Cd^{2+}$이온에 대한 흡착성은 原樹脂보다 水酸化나트륨水溶液을 처리한 경우 현저히 吸着性은 向上되지만 MPD : RES의 몰比 가 增加함에 따라 原樹脂의 경우와는 달리 減少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Pb^{2+}와\;Al^{3+}$이온들은 알칼리처리로 吸着能增加와 더불어 MPD : RES의 몰比가 2 : 1에서 最大値를 나타내며 $Ca^{2+}$이온의 경우는 MPD : RES의 몰比가 1 : 1에서 최대치를 나타내고 있다. $Mg^{2+}과\;Co^{2+}$이온들은 거의 類似한 傾向을 나타내어 MPD : RES의 몰比增加와 더불어 吸着能은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낸다. $Hg^{2+}$이온의 경우는 特異하며 MPD : RES의 몰比가 減少함에 따라 吸着能은 현저히 增加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窒素含宥킬레이트와의 結合性이 强한 一般性과 잘 一致하고 있다. 이 系의 樹脂들은 輕金屬 이온(例 $Ca^{2+},\;Mg^{2+}$) 들보다 重金屬이온(例 $Cd^{2+},\;Hg^{2+}$)들에 對한 吸着力이 현저히 優秀하다.

  • PDF

비드형 이온교환체의 합성 및 담배 주류연 중 카보닐 화합물의 선택 흡착 특성 (Synthesis of Bead Type lon Exchangers and Selective Adsorption Properties of Carbonyl Compounds in Cigarette Mainstream Smoke)

  • 이존태;박진원;이문수;황건중;황택성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74-80
    • /
    • 2005
  • 담배 주류연 중 카보닐 화합물의 감소를 위한 필터 물질로 비드 형상의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체를 glycidylmethacrylate(GMA)와 d9ivinylbenzene(DVB)의 현탁중합에 의해 중합체를 합성한 후 설폰화 반응 및 아민화 반응에 의해 합성하였다. 합성한 이온교환체의 구조는 FT-IR/AT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주류연 흡착에 따른 이온교환체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온교환용량, 관능화율 및 담배 주류연 중 카보닐 화합물의 흡착 특성을 확인하였다. 관능화율과 이온교환용량은 공단량체 중 DVB의 함량이 5 wt%에서 최대를 나타내었다. 이온교환체에 의한 담배 주류연 중 카보닐 흡착량은 카보닐기 내의 전자 편재화에 의한 음이온교환반응이 더 용이하여 음이온교환체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존재 시 더 많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짧은 접촉 시간에서도 높은 흡착량을 가지고 있어 궐련 필터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