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ived record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9초

화상센터에서 치료한 괴사성근막염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Necrotizing Fasciitis in Burn Center)

  • 김의명;전진우;김영민;윤재철;임해준;조용석;김도헌;허준;전욱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6-70
    • /
    • 2019
  • Purpose: The necrotizing fasciitis is a terrifying infectious disease that can rapidly spreads to surrounding tissues when fascia is infected and it can cause sepsis to death if not properly diagnosed and tre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causes, and treatment methods of necrotizing fasciitis in Korea through reviewing patients admitted to our burn center. Methods: 21 patients with necrotizing fasciiti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mong those inpatients with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admitted to Hallym University Hangang Sacred Heart Medical Center from Jan 1, 2008 to June 30, 2019. The medical records and wound photos of those 21 selected subjects were reviewed. Results: There were 13 male and 8 female patients and mean age was 58.76 years old. 13 of 21 subjects were survived and 8 died (38% mortality rate). The surgical treatments performed were I&D, fasciotomy, debridement, allograft, burring, STSG, flap, and amputation. The most common causes were burns in 9 subjects (6 contact burns) and cellulitis occurred on skins in 5 subjects. And other various causes were observed as fournier's gangrene, stab wound, intramuscular injection, tumor and bleu toe syndrome (toe necrosis). The infected areas were 11 feet and legs, 7 hips, 3 abdomen and trunk in 21 subjects. Of the 8 deaths, 3 were infected in feet and legs, 2 were infected in hips, and 2 were infected in abdomen and trunk. As for underlying diseases, 12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were the highest and others such as cancer and stroke were found. Conclusion: The only metho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is to 'suspect' the disease as much as possible and perform early extensive excision. It is advisable to treat the disease by the burn center to properly provide adequate and optimal wound management, infection control, medical care and nutritional supports.

출생체중 500 g 미만의 태아영아 치료성적 및 치료의 실제 (Outcomes and Management of Fetal Infants with Birth Weight Below 500 g at a Tertiary Center)

  • 장윤실;김유진;구수현;이장훈;황종희;최창원;심재원;김성신;고선영;이은경;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9호
    • /
    • pp.939-945
    • /
    • 2005
  • 목 적 : 생존 한계인 출생체중 500 g 미만의 태아영아에 대한 치료성적을 알아보고 이들 중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생존하였던 생존아들의 치료적 특성 및 단기 유병률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출산되거나 생후 24시간 내에 전원된 출생체중 500 g 미만의 태아영아들의 분만 기록과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였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태아영아들을 사망아들과 생존아들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생존아들의 치료적 특성과 단기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0년간 400 g에서 499 g까지의 태아영아 출산 총 53례 중 8례(15.1%)가 생존의 징후가 있어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으며 외부 전원 1명을 포함하여 총 9례의 태아영아가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 치료를 받았다. 이중 4명이 생존하여 44%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출생체중이 가장 작은 생존아는 439 g, 생존아들 중 가장 작은 재태연령은 $23^{+3}$주였다. 사망아들의 사망 시점 중앙값은 15일이었으며 모두 생후 28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사망아들은 생존아들에 비해 재태연령($24^{+2}{\pm}1^{+3}$ vs. $25^{+4}{\pm}2^{+3}$)과 출생체중($424{\pm}17$ vs. $453{\pm}19$)이 의미 있게 작았으나(P<0.05), 성별, 단생아, 부당 경량아, 제왕절개 분만,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생존아들에서 중증 뇌실 내 출혈은 한례도 없었고 기관지 폐 이형성증 및 수술이 필요했던 미숙아 망막증은 각각 75%였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138{\pm}28$일 이었다. 결 론 : 단일기관의 연구이나 생존한계로 알려진 500 g 미만의 태아영아들의 성공적인 생존이 가능하다. 이들에 대한 장기적 발달신경학적 추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생존한계 및 소생술 적용기준의 국내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제시기 총독부 기록과 도시계획 기록의 평가 혹은 재평가 - 이론적 쟁점과 평가의 실제 - (Appraisal or Re-Appraisal of the Japanese Colonial Archives and the Colonial City Planing Archives in Korea: Theoretical Issues and Practice)

  • 이상민
    • 기록학연구
    • /
    • 제14호
    • /
    • pp.3-51
    • /
    • 2006
  • 이 글에서 필자는 총독부 도시계획기록을 포함한 일제 식민지 시기 역사기록을 어떻게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러한 기록에 대해서 여러 가지 평가론을 적용시켜 검토해 보았다. 그럼으로써 상대적으로 유용하고 실제적인 평가 방법론을 도출해 보려고 시도했다. 도시계획기록을 포함한 총독부 기록은 기록학적인 평가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당대의 보존기간표에 의해 영구기록으로 결정되어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는 기록으로서, 기록을 생산한 조직의 위상과 기능이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으며, 기록 생산의 맥락이 대체적으로 불분명하고, 전체 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며, 그 일부가 우연히 살아남아 보존되기에 이른 것들이다. 총독부 기록과 도시계획기록에 적용시켜본 평가론의 쟁점은 기록의 본원적 가치에 대한 논쟁, 쉘렌버그의 역사기록에 대한 정보가치 평가론, 미래의 이용가치와 경제성의 논리에 기반한 소장 기록 재평가 이론의 유용성, 기능 기반 평가와 도큐멘테이션 전략, 특정한 역사적 시기의 식민지 기록으로서의 특성에 의한 평가, 일제 식민지 기록의 내재적 가치, 당대와 현대의 기록처분권에서 도시계획기록의 "영구 보존기록"으로의 결정 등이었다. 본원적 가치 논쟁에 비추어보면 총독부와 도시계획기록은 오늘날의 대부분의 공공기록과 마찬가지로 진본성과 객관성을 보장받는 기록은 아니다. 생산자의 기록 생산 의도와 진본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역사적 사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기록이다. 소장기록 재평가론은 경제성 및 효율성의 관점에서 평가를 거치지 않은 기록을 계속해서 더 보존할 필요가 있는가를 판별하는데는 유용하지만 식민지 기록같은 유일성과 희귀성이 있는 기록에는 적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 붐스의 사회 표상화 평가 이론, 즉 기록의 평가 및 선별 준거를 기록의 내적 특성이 아닌 기록이 생산된 사회적 과정과 그 사회를 대표하는 정도에서 찾아야 한다는 접근방식이나 도큐멘테이션 전략, 즉, 당대의 대표적 지표를 선별하고, 개별기관의 범위를 넘어서는 전 사회적 차원의 기록을 평가 선별하고 수집하는 접근 방식이 과거 역사기록인 총독부 기록이나 도시계획기록의 평가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용한 평가틀이 되지는 못했다. 총독부기록은 식민지 통치를 증거하는 얼마 되지 않는 소수의 기록으로서 특정 연대 이전의 기록을 역사기록으로 보존하는 평가 관행으로 볼 때에도 당연히 보존되어야 하는 기록이다. 역사기록으로 결정되는 기년도가 법제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관행적으로 보존된 것이 그런 인식을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다. 총독부 도시계획기록은 색채로 된 도면과 과거의 도시와 가로의 사진 등 실물로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디지털화를 한다고 하더라도 원본을 보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기록으로 평가된다. 총독부 도시계획 기록의 평가는 결과적으로 거시적 기능적 분석론 등 발전된 평가론의 반영 노력에도 불구하고 쉘렌버그식의 역사적 기록의 정보 가치의 평가 방식으로 회귀했다. 역사적 기록이 갖는 정보 가치의 미시적 평가 방식이 위주가 된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총독부 지방행정기관의 조직의 기능과 활동 내용을 어느 정도까지 재구성해주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었다. 맥락 정보를 잃은 보존기록의 맥락 정보 및 배경 정보를 최대한 재구축하여, 전체 총독부 기록의 평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이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른 장기 신경발달 장애의 감소 (Improved survival rate with decreased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in extreme immaturity)

  • 전가원;김묘징;김성신;심재원;장윤실;박원순;이문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67-1071
    • /
    • 2007
  • 목 적 :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라 장기 신경발달 장애가 감소했는지 여부와 이들의 장기 신경발달의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입원 치료 받은 초극소저출생체중아 중 교정나이 18개월에 외래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래 방문 시 진찰소견과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를 1994년 1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인 제 I기와 2000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인 제 II기로 나누었으며 각각 36명과 98명이 해당되었다. 결 과 : 제 I기에 비하여 제 II기에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이 낮았지만 생존율은 향상되었으며(제 I기: 60.0%, 제 II기: 74.7%) 뇌성마비는 감소하였고(제 I기: 22.2%, 제 II기: 8.2%) 따라잡기 성장은 향상되었다(제 I기: 25.0%, 제 II기: 51.0%).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패혈증과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이환율은 제 II기에 감소하였다. 뇌성마비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3도 이상의 고도 뇌실내출혈, 따라잡기 성장의 실패와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이었다. 결 론 :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은 장기적인 예후의 향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신생아 관리의 질향상과 관련된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의 감소, 고도 뇌실내출혈의 감소, 더 나은 영양공급이 장기적인 예후의 향상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임상성적 (Clinical Result of Aortic Valve Replacement)

  • 최순호;양현웅;김은규;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591-597
    • /
    • 1998
  • 배경: 이 연구의 목적은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조기 및 중기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시행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8명이었고 여자는 28명으로 남녀의 비는 1.7:1로 남자에 많았고 연령분포는 10세에서 71세까지로 평균 40.5$\pm$11.2세이었다. 조기 사망률은 4.9%(3/61)이었다. 전체적인 추적 관찰은 퇴원한 58명의 환자 중 93.1%에서 이루어 졌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51.5 환자-달이었다. 결과: 퇴원한 환자 58명 중 3명이 사망하여 만기 사망률은 5.2 %이었다. 5명의 환자에서 항응고제에 관련된 출혈이 있었으나 모두 경미하였고 3명의 환자에서 혈전경색을 보였다. 용혈이나 사용된 판막의 구조적인 실패는 없었고, 생존한 환자 중 NYHA 기능등급은 의의있게 호전되었다. 혈전경색과 항응고제에 관련된 출혈률은 각각 1.58 % 환자-년, 2.0% 환자-년이었다. 10년 생존률은 83.6%를 보였다. 결론 : 조기 및 중기의 추적관찰에서 대동맥판막 치환술에 사용한 기계판막은 낮은 인공판막에 연관된 합병증과 훌륭한 혈역학적 기능을 보이고 신뢰성이 있으면서 내구성이 좋은 인공판막이라 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severe neonatal morbidities on long term outcome in extremely low birthweight infants

  • Koo, Kyo-Yeon;Kim, Jeong-Eun;Lee, Soon-Min;NamGung, Ran;Park, Min-Soo;Park, Kook-In;Lee, 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6호
    • /
    • pp.694-700
    • /
    • 2010
  • Purpose: To assess the validity of individual and combined prognostic effects of severe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brain injury,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and parenteral nutrition associated cholestasis(PNAC).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80 extremely low birthweight (ELBW)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the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and who survived to a postmenstrual age of 36 week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4 neonatal morbidities (severe BPD, severe brain injury, severe ROP, and severe PNAC) and poor outcome. Poor outcome indicated death after a postmenstrual age of 36 weeks or survival with neurosensory impairment (cerebral palsy, delayed development, hearing loss, or blindness) between 18 and 24 months of corrected age. Results: Each neonatal morbidity correlated with poor outcome on univariate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odds ratios (OR) were 4.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2.6; $P$=0.044) for severe BPD, 13.2 (3.0-57.3; $P$<.001) for severe brain injury, 5.3 (1.6-18.1; $P$=0.007) for severe ROP, and 3.4 (0.5-22.7; $P$=0.215) for severe PNAC. Severe BPD, brain injury, and ROP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outcome, but not severe PNAC. By increasing the morbidity count, the rate of poor outco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R 5.2; 95% CI, 2.2-11.9; $P$<.001). In infants free of the above-mentioned morbidities, the rate of poor outcome was 9%, while the corresponding rates in infants with 1, 2, and more than 3 neonatal morbidities were 46%, 69%, and 100%, respectively. Conclusion: In ELBW infants 3 common neonatal mornidifies, severe BPD, brain injury and ROP, strongly predicts the risk of poor outcome.

Repeated failure of implants at the same site: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 Kang, Dong-Woo;Kim, So-Hyun;Choi, Yong-Hoon;Kim, Young-Ky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27.1-27.9
    • /
    • 2019
  • Background: Implants are becoming the first choice of rehabilitation for tooth loss. Even though they have a high success rate, failures still occur for many reas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sons for recurring failure at the same site and the results of re-implantation. Methods: Thirteen patients (11 males and 2 females, mean age 60 ± 9.9 years) who experienced implant surgery failure at the same site (same tooth extraction area) two or more times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etween 2004 and 2017 were selected. The medical records on a type, sites, diameter, and length of implants; time and estimated cause of failure; and radiographs were review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and the current statuses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14 implants experienced failure in the same site more than two times. Twelv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xilla, while 2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ndible. The maxillary molar area was the most common site of failure (57.1%), followed by the mandibular molar, anterior maxilla, and premolar areas (14.3% each). The first failure occurred most commonly after prosthetic treatment (35.7%) with an average period of failure of 3.8 months after loading. Ten cases were treated as immediate re-implantation, while the other 4 were delayed reimplantation after an average of 3.9 months. The second failure occurred most commonly after prosthetic treatment (42.9%), with an average of 31 months after loading; during the healing period (42.9%); and during the ongoing prosthetic period (14.3%). In 3 cases (21.4%), the treatment plan was altered to an implant bridge, while the other 11 cases underwent another implant placement procedure (78.6%). Finally, a total of 9 implants (64.3%) survived, with an average functioning period of 60 months. Conclusions: Implants can fail repeatedly at the same site due to overloading, infection, and other unspecified reasons. The age and sex of the patient and the location of implant placement seem to be associated with recurring failure. Type of implant, bone augmentation, and bone materials used are less relevant.

완전탈구 후 재식한 영구 절치의 예후에 대한 후향적 연구 (Prognosis of Replanted Permanent Incisors after Avulsion Injury: A Retrospective Study)

  • 이형섭;김영진;김현정;김소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4-263
    • /
    • 2016
  • 지금까지 완전탈구된 치아의 예후에 대해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으나, 국내의 소아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추적 조사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14세 환자 142명의 재식치 184개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지와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평가함으로써 재식된 영구 절치의 치유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재식치의 치근 발육 단계가 낮을수록 치수의 재혈관화 가능성이 높았다. 구외 시간이 60분 이상인 경우 염증성 치근 흡수의 발생률은 미성숙 치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치성 치근 흡수의 발생률은 성숙 치아에서 높게 나타났다. 20일 이상 경과하여 발수한 경우 염증성 치근 흡수의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대치성 치근 흡수에 비해 염증성 치근 흡수가 생존 기간의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근의 발육 단계와 재식치의 생존 기간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대치성 치근 흡수가 발생한 경우 미성숙 치아의 생존 기간은 성숙 치아에 비해 짧았다. 본 연구는 장기간의 추적 조사를 통해 수행한 연구로서, 완전탈구된 치아의 치료 지침과 예후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기관지경 오염에 의한 비결핵항산균증의 위발생 (Pseudoepidemic of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MOTT) Due to Contaminated Bronchoscope)

  • 곽승민;김세규;장중현;이홍렬;이이형;김성규;이원영;정윤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29-34
    • /
    • 1993
  • 연구배경 : Ikeda에 의해 임상에 도입된 굴곡성 기관지경은 각종 폐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시술 증례도 증가하고 있으나 외국에서는 결핵균, 비결핵항산균 및 여러 세균들에 의한 기관지경의 교차오염예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므로 기관지경의 세척과 소독방법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방법 : 1991년 11월부터 1992년 5월 까지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한 예중에서 기관지세척액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배양된 예들을 분석하고 본원에서 화학살균제로 사용하고 있는 2% alkaline glutaraldehyde의 살균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실내에서 2% alkaline glutaraldehyde와 비결핵항산균 및 세균을 접촉시킨후 균의 사멸 여부를 알아 보았다. 결과 : 2% glutaraldehyde 소독제 용액에 비결핵항산균은 2% glutaraldehyde 1:1 용액으로 30분간 접촉한 후 균이 자라지 않았으며 그 밖의 세균들은 접촉 바로 후에 자라지 않았다. 위발생 인지후 철저한 기계적 세척과 함께 세척기내에서 30분이상 2% glutaraldehyde에 담가둔 이후로는 위양성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기관지경 사용후 기계적 세척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2% glutaraldehyde 용액으로 소독시 비결핵항산균의 소멸을 기대하려면 적어도 30분 이상 접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감염조절 방법을 엄격하게 적용한다 하더라도 오염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비병원균으로 알려진 균들이 비통상적으로 갑자가 높은율로 검출되면 위발생을 생각하여야 한다.

  • PDF

외상성 십이지장 손상의 수술적 치료: 단일 기관 연구 (Surgical Management of Duodenal Traumatic Injuries: A Single Center Study)

  • 박오현;박윤철;이동규;김호현;박찬용;김정철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6권3호
    • /
    • pp.157-162
    • /
    • 2013
  • Purpose: Abdominal trauma rarely causes injuries involving duodenum. But, it is associated with higher rate of the complication and mortality than other abdominal injuries. There are many options for the management of duodenal injuries. Herein we are to review our experiences and find out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morbidity and the mortality in traumatic duodenal injuri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total 25 patients who managed by surgical managements and survive more than 48 hour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2.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s, and outcomes are reviewed. Results: Among 25 patients, most of them (n=17, 68.0%) were managed by the pyloric exclusion and the gastrojejunostomy. The $3^{rd}$ portion is the most injured site (n=15, 60.0%), and the majority exhibited grade 2 severity (n=14, 56.0%). Most of patients had blunt abdominal traumas (n=23, 92.0%) so that many of them (n=14, 56.0%) had other combined abdominal injuries. The mean ISS is $11.5{\pm}6.2$. The surgery related mortality rate was 28.0%.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ach factors and the mortality except leakage (p=0.012). But, we could find some trends about traumatic duodenal injuries in this study. The mortality rates of them who older than 55 years were higher than others. And, all 3 patients who delayed the operation more than 24 hours after the trauma had some complications or died. Also, the patients who had the $2^{nd}$ portion injury, grade 3 injury, or combined abdominal injury were less survived. Conclusion: Duodenal injury is related to high rate of morbidity(47.8%) and mortality(28.0%). Age, portion of injury, OIS grade, ISS>15, combined intra-abdominal operation, and trauma to operation time over 24 hrs have some trend with attribution to mortality. Especially leakage of duodenal injury is related to mortality.